<3139332D32313528323136295F5FC0E5C7FDB6F55FC8ABC7F6C1F85FB3EBBFB5C8F15FBFC0C0C7B0E62E687770>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Develop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Korean National Collection Policy 장 혜 란(Hye-Rhan Chang)**, 홍 현 진(Hyun-Jin Hong)*** 노 영 희(Younghee Noh)****, 오 의 경(Eui-Kyung Oh)***** 목 차 1. 서 론 2. 주요국 국가도서 의 장서개발정책 3. 국립 앙도서 장서수집 황 4. 국가장서개발정책의 기본모형 4.1 하이 리드장서 구축 4.2 동연계장서 구축 4.3 장서평가 4.4 장서개발정책 성문화 5. 결론 제언 록 정보자원의 지속 증가와 다양화 그리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근과 활용 등 정보환경의 변화로 도서 장서개발 정책은 더욱 정교하게 변화되어야 하는 상황에 있다. 국립 앙도서 은 이러한 시 조류를 반 하고 그 역할과 사명을 다하기 하여 보다 체계 이고 합리 인 국가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국립도서 장서개발정책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가장서 구축을 한 기본모형을 도출하 다. 기본모형은 크게 하이 리드장서 구축, 동연계장서 구축, 장서 평가, 그리고 장서개발정책 성문화 등 네 가지의 서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별 세부 내용과 추진방안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 more sophisticated library collection policy is required due to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Both traditional resources and diversified networked information resource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hould construct a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order to fulfill its 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framework that is intended to improve the coverage of national collection.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the nation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a model consisting of four sub-models has been proposed. It includes hybrid collection, cooperative linking collection, collection evaluation, and a collection policy statement. Details of the sub-models and strategies are described. 키워드: 국가장서, 장서개발정책, 장서개발모형, 국가도서 National Collectio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Collection Policy Framework, National Library of Korea * ** *** **** ***** 본 연구는 2009년 국립 앙도서 의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상명 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chrhan@smu.ac.kr) 남 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hjhong@chonnam.ac.kr) 건국 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irs4u@kku.ac.kr) 건국 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의교수(ohspace@kku.ac.kr) 논문 수일자: 2009년 11월 20일 최 심사일자: 2009년 11월 23일 게재확정일자: 2009년 12월 16일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193-215, 2009. [DOI:10.4275/KSLIS.2009.43.4.193] 19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1. 서 론 도서 정보환경의 변화, 정보자료의 다양화 자정보원의 증 등으로 각 도서 의 장 서개발정책은 재정비되어야 하며 여러 가지 상 황들이 검토, 반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표 도서 인 국립 앙도서 역시 이러한 시 흐름을 반 하고 그 사명과 역할을 다하기 하여 체계 이고 합리 인 장서개발정책을 수 립해야 할 것이다. 즉 국립 앙도서 은 통 인 장서개발계획으로부터 선진국과 같이 종 합 이고 체계화된 정책에 입각한 장서구축 활 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방 한 국가 기록문화유산을 체계 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해 하이 리드 도 서 구 을 한 온오 라인 자료, 국외 한국 인 작 한국의 사회․문화․역사 등 한국 련 자료, 회색문헌, 장애인자료 등의 포 장서구축 략을 고찰하 다. 연구를 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를 체계 으 로 조사하여 종합하며 국외 국가도서 의 장서 개발정책서들을 검토하여 국가장서 수집 범 , 수집 방법, 수집 규정, 평가 방법 등 장서개발 반에 한 사항을 분석하 다. 한 각 국의 국가도서 련 웹사이트를 직 탐색하여 최근의 변화와 발 방향을 조사하 다. 황에 한 조사와 분석, 국외의 장서개발 정책 사례 등을 기반으로 제시한 장서개발 기 본 모형은 국립 앙도서 의 장서확충 세부계 획 지침을 한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 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장차 국립 앙도 서 이 국가도서 으로서의 상을 정립하고, 우리나라의 기록문화 유산을 망라 으로 수집 보존하여 후 에 승하는 책무를 이행함과 동 시에 국가 지식 집산처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한 국립 앙도서 이 장서수집 업무를 재정비하고 장 기 장서확충계획을 수립하기 한 기 자료로 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주요국 국가도서 의 장서개발정책1) 장서개발정책은 도서 의 목 과 한 련이 있으며, 도서 의 목 은 장서개발정책의 방향, 틀, 범 를 결정한다. 주요 국가도서 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해 보면,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는 목 등을 포함하는 서문 는 개 요, 주제별 장서개발정책, 매체별 장서개발정 책, 지역별 국외자료 개발정책, 장서개발수 범 , 장기장서개발계획, 자자원 개발정 책, 기타 등이며 그 핵심 인 내용을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1) 장서정책 개요 이 부분에서는 국가도서 의 목 , 목 달 1) 미국 의회도서 장서개발정책 페이지. . 국 국립도서 장서개발정책 페이지. . 호주 국립도서 장서개발정책 페이지. . 캐나다 국립도서 장서개발정책 페이지. .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195 성을 해 국가도서 이 추구해야 할 장서개발 의 방향을 제시하고 장서개발의 범 , 장서의 보존 등을 기술하고 있으며, 장기장서개발 략까지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를 들어, 캐나다 국립도서 의 목 은 캐나다의 문화와 역사 자료를 보존하고 승시키며, 국외 자료 를 수집․정리하여 이용하도록 한다고 진술하 고, 장서수집원칙, 장서의 핵심개념, 발 략 등을 제시하고 있다. 2) 주제/매체별 장서개발정책 국외 국가도서 의 경우 주제별 매체별로 장서개발정책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 의회도서 은 상세하게 학문 주제별 46가지와 매체별 16 가지로 구분하여, 장서개발 범 , 상 장서 규모, 강 , 특성, 취약 과 수집제외 자료, 추 구하는 장서 수 등을 기술하고 있다. 호주 국 립도서 은, 주제를 사회과학, 인문과학, 술, 과학 등 계열별로 구분하고, 매체는 구 역사 와 민속기록물, 사진, 지도, 음악, 특수 자료 인 무용 등으로 구분하여, 장서개발 목 , 정의 범주, 장서개발 방법, 근 방법, 련 기 과의 력 등에 하여 기술하고 있다. 3) 지역별 국외자료 개발정책 세계의 자료를 모두 수집하는 목 을 가 진 규모 국가도서 에서는 국외자료의 장서 개발 방향 범 , 수집 략 등을 지역별로 나 어 구체 으로 제시하고 있다. 미국 의회도 서 은 세계의 지역 연구 자료를 망라 으 로 수집하고 있다. 국 국립도서 은 국 아일랜드, 동 북아 리카, 네덜란드, 독일, 그리스, 인도, 이태리, 스칸디나비아, 슬래 동유럽 등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다. 호주 국립도서 은, 인 지역과 인 국가를 심으 로, 국외장서 일반, 자정보원, 아시아, 태평양 지역, 특수주제, 정부 국제기구 간행물, 신문 자료 등으로 구분하여 장서개발 목 , 범주, 언 어 등에 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4) 장서 수 범 부분의 국가도서 들은 장서개발 수 이 나 범 를 장서개발정책 서문이나, 주제별․매 체별․국외지역별 장서개발정책 기술부분에서 언 하고 있다. 특히 장서 수 을 각 주제별로 제시하고 있는데, 를 들어 미국 의회도서 의 경우, 연구도서 그룹(Research Libraries Group: RLG)이 개발한 컨스펙터스를 용하 고 있다. RLG 컨스펙터스는 연구도서 수 의 장서를 기술하는데 합하며, Level 0부터 Level 5까지 각각 Out of Scope, Minimal, Basic Informational, Study or Instructional Support, Research, Comprehensive 수 을 나타낸다. 호주 국립도서 도 장서 평가를 해 컨스펙터 스를 용하고 있으며, 호주 컨스펙터스는 Level 0부터 Level 5까지 각각 Out of Scope, Minimal, Basic, Intermediate, Research, Comprehensive 수 을 나타낸다. 5) 장서개발 략 균형 있는 장서개발을 체계 으로 진행하기 해서는 장서개발을 한 장기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캐나다 국립도서 에 서는 2005년 ‘Key Directions, 2005-2010’을 제 시하 는데, 하나의 완벽한 LAC 장서구축, 디 지털장서구축계획, 원주민 련 자료, 다문화 자 19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료, 국가장서구축 등에 한 다섯 가지 략을 포함하고 있다. 6) 디지털장서 개발정책 디지털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자료의 수집 보존과 련된 장서개발정책이 제시되 는 경우가 많다. 미국 의회도서 은, 주제별 매 체별 장서정책의 Supplementary Guidelines에 서 ‘Electronic Resources’ 제목 하에 디지털자 료의 정의 수집범주에 해서 언 하고 있 다. 한 디지털 장서를 구축하기 한 지침까 지 제시하고 있다. 국 국립도서 도 ‘Web Collections’을 구축하기 한 방향과 수집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 국립도서 은 2006년 6월 독일도서 법이 통과됨에 따라 non-physical media(즉, 온라인출 물) 수집 업무가 부여되 었으며, 납본규정과 장서 가이드라인이 개정되 었다. 3. 국립 앙도서 장서수집 황 국립 앙도서 은 납본, 구입, 교환, 기증, 자 체생산 등의 방식으로 장서를 수집하고 있다. 2009년 8월 31일 재, 수집 내역별 장서 황 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납본에 의한 수집 이 5,403,444건으로 체의 74.10%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비 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는 기 증에 의한 수집이 774,404건, 구입에 의한 수집 이 558,722건, 교환에 의한 수집이 403,439건, 자체생산이 152,228건의 순이다. 2008년도의 유형별 자료 수집 방법과 수량 은 <표 2>와 같다. 납본 상은 국내에서 출 된 모든 출 물 로, 수집 내역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국립 앙도서 에 직 개별 납본과 한출 문화 회 행 납본의 병행체제를 유지하고 있 다. 한출 문화 회 출 통계에 의하면, 2008 년 한출 문화 회로 납본된 신간 출 물(20 08년 출 물)은 모두 43,099종으로 년도 구분 납본 구입 교환 수증 자체생산 계 장서량 5,403,444 558,722 403,439 774,404 152,228 7,292,237 ※출처: 국립 앙도서 홈페이지 도서 소개. <표 1> 수집 내역별 장서 황 (단 : 책, 부, , 릴) 구분 납본 구입 교환 수증 자체생산 계 단행본도서 296,484 21,663 3,910 16,459 1,255 339,771 단행본비도서 52,256 5,010 1,888 2,131 1,926 63,211 연속간행물도서 266,684 11,710 4,563 1,718 181 284,856 연속간행물비도서 4,108 889 318 - 568 5,883 계 619,532 39,272 10,679 20,308 3,930 693,721 ※출처: 2008 국립 앙도서 연보(pp.261-262에서 재편). <표 2> 2008년 자료유형별 장서 수집 내역 (단 : 책, 부, , 릴)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197 비 4.9%가 증가하 음을 알 수 있다(http://w ww.kpa21.or.kr/bbs/board.php?bo_table=d _total). 한 납본용역 사업에 의하여 납본된 자료의 총 수는 113,800 책( )에 이르는 것으 로 나타났다. 1965년 납본법 시행 이 국내 발행 자료 미소장 희귀자료, 국외 발간 한국 련 자료, 북 한서, 일본서, 국서 서양서 등 다양한 언어 의 자료는 구입에 의하여 수집되며, ‘책다모아’ 홈페이지(http://www.nl.go.kr/sun/index.p hp)를 운 하여 개인이나 단체가 소장하고 있 는 자료들을 기증받아 이들 미소장 자료를 장서로 편입한다. 한 국외 도서 국제기구 등과 교환 기탁 을 통해 국외의 출 정보, 정부간행물, 학술자료, 각종 통계, 국외 발행 한국 련 자료, 국제기구간 행물 등을 수집하며, 국내외 소재 한국 고문헌 조사 인을 통한 자체 생산 자료도 수집하고 있 다. 국내 인사업의 경우 규장각 소장 2,983종 3,246책이 마이크로필름 225롤로 수집되었고, 2010년까지 3년 계획으로 추진 인 국외소재 자료의 인사업은 Harvard 학교 칭도서 소장 한국고서 297종 347책이 디지털화되고 있 으며, 미국 의회도서 의 84종 313책의 자료가 디지털 일 48,592면으로 디지털화 작업을 완료 하 다. 그 밖에도 국외소재 한국 련 근 사 자료를 체계 지속 으로 인 수집하고 있다. 미국 국립문서기록 리청(NARA) 소장 한국 련 자료는 재 1,030,000면을 수집하 다. ‘도서 발 종합계획: 2009-2013’( 통령소 속 도서 정보정책 원회 2008)에 의하면, 국 립 앙도서 은 2013년까지 총 장서량 1,100만 을 넘어서 OECD국가 8 수 으로 성장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4. 국가장서개발정책의 기본모형 국가장서개발정책의 기본모형으로서, 인쇄 자료, 원문자료, 자출 물, 웹 정보자원 등의 균형 있는 수집 방안을 제안하는 ‘하이 리드 장서구축’모형, 정보소외계층(장애인)을 비롯 하여 이용자나 발행처가 한정 인 특수 자료를 효율 으로 수집하는 방안으로 ‘ 동연계장서 구축’모형, 국가장서의 균형있는 발 과 보존 그리고 질 우수성을 유지하기 한 ‘장서평 가’모형, 그리고 ‘장서개발정책 성문화’를 제안 하 다(그림 1 참조). 4.1 하이 리드장서 구축 오 라인 정보자료는 물론 온라인 자출 물을 통합 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하이 리드 장서를 지향하는 국가도서 에서는 통 매 체자료와 더불어 자출 물에 한 장서수집 정책이 새롭게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세 계 각국에서는 기존의 장서개발정책에 추가하 여, 인터넷 디지털 자원의 수집․보존 로젝트 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MINERVA, 국의 CEDARS, 호주의 PANDORA 로젝트가 표 인 이다. 한 우리나라 국립 앙도서 에서도 2004년부터 OASIS(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 로젝트를 추진하여 웹사이트, 웹문서 등의 디지털 자원 을 수집하고 있다. 1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그림 1>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1) 오 라인 장서수집 오 라인 장서의 경우, 행 수집 방법인 납 본(자료제출), 구입, 기증, 국제교환 그리고 기 타 국외 소재 우리나라 고 자료의 인 수집 보존 등을 지속 으로 유지하고, 동시에 주제 별, 유형별, 매체별 수집 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한 국립 앙도서 은 법정 국가 표도 서 으로서 망라 수집을 제로 하되, 집 으로 수집해야할 주제 유형, 장기 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재 국립 앙도서 자료 수집의 근간이 되는 납본업무를 해 략 으로 집 해야 할 부분은, 미납본 자료 의 수집 강화, 납본 증진을 한 홍보, 납본 강 제력 행사로, 이 세 가지는 순차 으로 계획 실 시되어야 할 것이다. 2) 온라인 장서수집 국외 국립도서 에서는 1996년부터 온라인 디지털자원을 수집․보존하고, 작권이 허용 되는 범 내에서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으며, 한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디지털자원의 범 가 방 하여 자국에 합한 온라인 디지털 자원의 수집⋅선정지침을 마련하여 그 지침을 충족시키는 디지털자원만을 수집하고 있다. 국 립 앙도서 도 온라인 자출 물에 한 체 계 ․효율 수집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재 국립 앙도서 의 수집 원칙은 온라인 자출 물 수집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 생산 유통된 자출 물 체를 기 으로 하면 재 까지 수집된 자원은 양 으로 지만, 수집정 책의 지속 추진을 해서는 기본원칙을 그 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정보자원은 텍스트, 데이터베이스, 사진과 동 상, 소리, 그림, 소 트웨어, 웹 페 이지를 포함한다. 이 정보자원의 부분은 속 인 가치와 요성을 가지며, 계속 보존되 기 해서는 의도 인 생산, 유지, 리가 필요 하다. 이러한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을 디지 털 아카이 라고 한다. 디지털 아카이 는 단 순히 디지털화한 자료를 모아놓는 보고나 창고 가 아니다. 아날로그 시 의 아카이 는 보 을 목 으로 구축되었지만, 디지털시 가 요구 하는 아카이 는 자료의 극 활용뿐만 아니 라 자료가 합성되어 새로운 자료를 만들어 내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199 기도 한다. 국립 앙도서 의 디지털 아카이 는 우리 나라의 특성 있는 문화원형들을 사운드(음성), 텍스트(문자), 이미지(정지화상), 동 상의 매 체별 주제별 요소로 나 어 데이터베이스로 구 축하여 세계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국가지력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웹 자원은 이용은 편리하지만 잦은 변화로 인하여 가치 있는 정보가 삭제, 변경되어 수집 이나 보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문화자원 으로 장기 인 활용을 해 장서개발의 주요 상으로 인식하고 체계 으로 수집하여, 미래 세 를 한 기록유산으로 보존하여야 한다. 웹 자원을 수집, 보존하는 노력은 1990년 부터, 주로 국가도서 들의 주도하에 시작되었다. 1994 년 캐나다의 EPPP, 이후 호주의 PANDORA, 미 국의 IA, 스웨덴의 Kultturaw3 등을 필두로 웹 사 이트 아카이빙이 본격 으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표 인 웹 아카이빙 은 국립 앙도서 의 OASIS와 민간에서 진행 된 정보트러스트이다. 국가도서 으로서 국립 앙도서 은 가치 있는 인터넷 자원을 수집, 보 하기 해 OASIS를 2001년부터 시작하고 2006 년에 국민서비스를 개시하 다. 정보트러스트 는 개인과 단체 등 민간 역에서 생산된 가치 있는 디지털 자원을 상으로 아카이 를 구축 하기 해 민간에서 진행된 로젝트이다. 웹 아카이빙을 해서는 다양한 련 기술을 가진 기술 인력과 함께 그들의 공동 활동을 조 정할 능력을 가진 리더가 필요하다. 디지털 자 료의 경우, 납본 수집이 확립되지 않아, 디지털 자료에 한 총량 조사나 수집을 한 재원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앞으로 개정 된 도서 법에 의하여 디지털 자료의 수집이, 특히 2009년 5월 개 한 디지털도서 을 심 으로, 본격화될 것으로 망한다. 재 디지털 자료의 총량은, 자도서, 자 잡지, 데이터베이스, 웹정보자료(홈페이지, 웹 사이트), 음악 일(MP3 등), 동 상자료, 이 미지, 각종 자문서 등을 상으로 검색엔진 인 GOOGLE과 NAVER를 통해 재 92억 6 천만 건으로 측하고 있으며, 연간 수집수량 을 재의 10% 수 인 9억 2천만 건으로 추정 하고 있다(곽승진 등 2008). 이러한 상황에서 재 추정 건수를 모두 수집하기 해서는 특 별 산의 확보와 담 인력이 필요하다. 4.2 동연계장서 구축 국립 앙도서 은 망라 수집이라는 사명 을 가지고, 수십 년의 역사를 통하여 소장 주 의 장서를 성실히 구축하여 왔다. 그러나 정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가장서의 범 는 소장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정보 기술을 활용한 근 이나 연계가 가능하도록 확 되어야 한다. 회색문헌, 장애인 체자료등과 같은 자료는 국립 앙도서 이 소장해야 할 의무가 있으나, 출처가 다양하고 배포 방식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미 국내 타 기 에 산발 으로 분산 소장하 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이용자가 한정 인 경우이므로, 국립 앙도서 이 모든 자료를 소장 하는 것보다 타 기 과의 동을 통하여 근을 허용하는 것이 장서개발의 복투자 방지와 완 한 서지통정에 효율 이다. 소장(possession) 뿐만 아니라 근(access)이나 연계(link)로 20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장서 개념을 확 시킬 필요가 있고, 수집정책 에서도 동을 통한 서지정보DB의 구축과 작권에 배되지 않는 범 에서 원문 공유가 실 되는 략이 채택되어야 한다. 본 에서는 회색문헌, 장애인자료, 국외 한 국 련 자료 등 근이나 연계로 개념을 확 시 킬 수 있는 장서를 상으로, 동연계장서 구 축 방안에 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국가 자도서 사업 등을 통하여 서지정 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상호 차 문 제공 에 한 력 사례가 있으므로, 국가차원의 기 술 인 인 라는 조성되어있다고 보며, 다만 참 여기 의 행정 특성과 상을 고려한 역할 분 담과 력의지 그리고 의를 통한 주 기 의 결정이 요하다. ‘도서 법’에서 문화기 도서 종 간의 력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 고 있어 설립 목 수행에 지장이 없는 한 공 이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 자료를 제공할 것 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행정 차이에서 오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4.2.1 회색문헌의 동연계장서 1) 학 논문 국내 표 인 학 논문 수집기 에는 국립 앙도서 을 비롯하여, 국회도서 , KERIS 등 이 있다. KERIS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 w.RISS4U.net)는 국내 191개 학도서 에서 제공하는 737,156건의 학 논문의 검색과 원문 서비스 는 원문연계 서비스를 제공 이다. 국회도서 은 2009년 4월 30일 재 1,051,559 책의 석박사 학 논문을 소장하고 있으며, 매 년 약 50,000책이 넘는 학 논문이 꾸 히 수집 되고 있다. 한 1945년 이후 간행된 석박사 학 논문 1,245,325건에 한 목록정보를 제공하 고 있다. 국립 앙도서 은 의 두 개 기 과 동하 여 링크와 서지정보의 공유를 통한 DB를 구축 하여 보다 완 한 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 다. 특히, 학의 dCollection의 확 보 으로, 인쇄본 형태의 기증 비 이 차 감소될 것이 상되므로, KERIS, 국회도서 그리고 학 도서 들과의 서지정보공유와 링크 컬 션으로 의 확 는 학 논문의 서지통정과 이용자 서비 스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정부간행물 재 정부간행물의 통합 리를 한 정책기 이 없으며 정부간행물을 수집하는 곳도 일원 화되어 있지 않아, 정보를 검색하기 어렵다. 따 라서 정부간행물 동연계수집에 한 총 통 제는 국립 앙도서 이 담당해야하며, 재의 정부간행물 수집기 인 국회도서 , 국가기록 원과의 역할 분담과 서지정보의 공유와 링크를 통한 장서의 구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국립 앙도서 은 정부 앙부처의 간행물 을, 국회도서 은 연구기 공공단체의 간 행물을, 국기기록원은 정부기 의 기록물을 분 담하여 수집하며, 행법을 그 로 용하여, 국립 앙도서 은 납본을, 국회도서 은 기증 을, 국가기록원은 납본을 주요 수집방법으로 유지한다. 각각의 기 이 수집한 간행물의 서 지정보는 종합목록DB로 구축되며, 상호간 공 동으로 활용 는 링크시킴으로서, 동 장서 를 구축하며, 장기 으로는 력 수집 기 을 확 시켜서 완 한 정부간행물의 컬 션을 구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01 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연구보고서 회색문헌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연구보고 서 한 국가장서로서 수집되어야 할 자료이다. 우선 으로 연구보고서를 량으로 생산하고 수집하는 KISTI, SERI, KOSEF 등을 심으 로 서지정보 종합목록DB 구축과 링크를 추진 할 것을 제안하며, 지속 으로 력기 을 확 편입시켜, 국가 규모의 연구보고서 컬 션 을 구축할 것을 제안한다. 각 기 소장 자료의 주제와 유형에 따라 력과 역할 분담이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국립 앙도서 이 동으로 유지되는 서지정보의 통제, 기 별 주제의 할 당, 원활한 링크 등을 주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회색문헌 유형별 동연계장서에 한 국립 앙도서 의 략은, 납본과 기증 등 기존 수 집 방법의 개선 강화를 주도하고, SIGLE, 국 국립도서 , NTIS 등 국외 사례를 벤치마 킹하여 회색문헌 DB 구축 표 화를 담할 담당부서의 신설을 고려해야할 것이다(남 2008; 신은자 1999). 회색문헌 력 모델의 개 요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2>와 같다. 4.2.2 장애인용 동연계장서 재 국립 앙도서 에는 국립장애인도서 지원센터가 2007년에 설립된 이래로, 장애인을 한 도서 서비스 정책, 장애인을 한 자․ 녹음․확 ․수화․ 자자료 등의 제작 배 포, 장애인서비스를 한 국내외 유 기 도서 간의 력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한 2009년 4월에는 장애인 리터를 개실하 여, 장애인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과 장 비를 마련해주고, 도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 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극 인 노력에도 불 구하고, 국립 앙도서 의 장애인을 한 체 자료의 수는 극히 부족하다. 장애인용 장서 수집에 가장 주력해야 하는 분야는 정보획득에 큰 지장을 주는 시각장애인 과 청각장애인용 장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장애인을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으로 한정하여,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용 장서의 <그림 2> 회색문헌 동연계장서 구축 2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수집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장애인자료 수집을 한 구체 인 개발 략이 제안된 바 있다(윤희윤 2008). ‘도서 종합발 종합계획 2009~2013’의 ‘장 애인 등 취약계층 상의 도서 서비스 활성화’ 를 한 추진 략에서는 장서수집과 련하여 체자료 제작 보 에 한 세부사항을 아동 청 소년 독서진흥을 한 콘텐츠 개발, 학생 연구 자 문직업인을 한 학술콘텐츠 개발, 성인 여가문화활동 지원을 한 콘텐츠 개발 등으로 제시하 다(도서 정보정책 원회 2008). 장애인 자료는 일반장서와는 달리 장애를 가 진 일부 이용자에 한정되어 있으나, ‘정보격차해 소에 한 법률’, ‘도서 법’, ‘장애인복지법’, ‘장 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한 법률’, ‘장애인차별 지 권리구제 등에 한 법률’, ‘ 작권법’ 등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이, 정 보 이용 근에 차별행 가 있어서는 안 된 다. 그러므로 극 인 장서 수집이 장애 유형에 따라 합한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국립장애 인도서 지원센터는 서비스 기 지침에서 장애별 체자료의 유형을 설정하 다. 장애인용 자료는 체자료로 변환되어야만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으나, 형태가 다양하 고 자료제작 인건비와 제작도구비용까지 추가 되므로, 개별 도서 이 자체 으로 수집하여 제공하기 어렵다. 동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 로 개될 수 있는데, 첫째는 체자료의 수집 과 제작이며, 두 번째는 서지DB의 공동 구축과 공유, 링크, 상호 차이다. 력의 구심 은 국 립장애인도서 지원센터가 되어야 하고, 자 도서 과 지역 표도서 이 국 력망의 노 드가 되어 역할을 분담해 나가는 형식으로 모 형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부분의 공공도서 이 장애인에 한 지원 을 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력기 의 수는 지 속 으로 증가할 것이며, 재 수집업무의 력기 으로 참여할 수 있는 표 인 기 들은 다음과 같다(국립장애인도서 지원센터 2008). 즉 구 학교 자도서 ( 자교과서), 부산 시각장애인 자도서 (녹음도서), 서울시각장 애인복지 ( 자학습물), 실로암시각장애인복 지 ( 자학습물, 문서 ), 하상장애인종합 복지 (녹음도서, 자어학간행물), 한국시각 장애인복지 (녹음도서, 자어학간행물),한국 시각장애인복지연합회(화면해설, 녹음도서), 한 국 자도서 (데이지도서, 자도서, 자도서 종합목록 발행), LG상남도서 책읽어주는 도서 (데이지도서 등), 한국농아인 회(데 코리아), 한국수화방송국, 한국농아TV, 청음회 , 삼성소리샘복지 , 구청각언어장애인복 지 , 제주도농아인복지 , 시립서 문농아인 복지 등이다. 에 열거된 다수의 기 에서 체자료를 제 작하고 있지만, 체자료 제작 서비스에 한 정확한 통계를 찾아볼 수가 없다. 가장 표 이 고 많은 양의 체자료를 제작, 소장하는 도서 인 한국 자도서 의 경우, 연간 자도서 3,000 종, Daisy 도서 12,000종을 제작하며, 2008년 재, 21,631종의 자도서와 950종 1,900권의 녹 음도서와 카세트테이 를 소장하고 있으며, 자도서 종합목록도 제작하고 있다. 4.2.3 국외 한국 련 동연계장서 국가도서 은 국외에서 발간된 자국에 한 자료와 국외에 소장되어 있는 자국 련 자료를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03 수집할 책무가 있다. 국립 앙도서 이 한국학 련 국외자료 확보 사업을 추진하는 근거는 ‘도서 법’ 제3장 국립 앙도서 , 19조 국립 앙도서 의 업무에서 ‘국내외 자료의 수집․제 공․보존 리’에 두고 있으며, 재 다음과 같 은 추진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 련 국외 자료의 조사 수집, 미국 국립문서기록 리 청 소장 한국 련 기록자료 수집, 국외 소재 한 국 련 연구기 ․개인 소장 자료 조사 수 집, 한민국 토 련 자료 조사 수집. 국립 앙도서 의 한국 련 자료 수집 황 은 양 으로 매우 부진하다. 국외소재 한국 근 사 련 자료를 체계 으로 수집하여 국가 기록문화유산을 보존, 승하고 국외발행 한국 련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한국학 련 연구 활동을 효과 으로 지원하기 해서는 보다 극 이고 완벽한 자료수집 방안 략이 필 요하다. 국가기록문화유산의 보존, 한국학의 세 계화, 한국학 련 연구 활동 지원을 해 한국 련 자료의 체계 탐색, 한국학 련 국외 소 장기 과의 력, 한국학 문가 견 등을 통 한 한국 련 자료의 극 수집과 동시에 한 국학 련 국내 유 기 을 통한 종합서지목록 DB와 연계장서구축이 필요하다. 국립 앙도서 에서 가장 먼 수행해야 할 과제는 한국학 련 자료소장기 에 한 정보 와 그 기 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학 련 자료의 양과 질을 조사하며 주제별, 매체별 등으로 구 분하여 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국 외기 과의 연도별 력체결 략을 세우고 나 라 수와 기 수를 단계 으로 늘려갈 필요가 있다. 미국 의회도서 , Smithsonian Institute, Harvard 학교 등 한국 련 장서를 수집하고 있는 기 은 물론, 국과 유럽을 심으로 한 세계 각지의 학 연구소 장서를 조사하여 미소장 자료에 해서는 인할 필요가 있다. 한 수집 략에서 기록물의 포함범 에 한 결정이 필요하다. 국외소장 한국 련 자료 조사 구입활동이 서지조사나 주요 도서 의 한국 련 장서목록 조사, 그리고 문출 사 출 정보지, 온오 라인 형서 상의 목록조사 만으로는 수집 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한국학 문가 를 국외에 견하여 자료조사 수집을 지속 으로 수행해야 한다. 한 국외소재 문화원 재외 문화홍보 등을 통하여 수집활동이 지원될 수 있는 체제가 수립되어야 한다. 미국 의 경우 세계 각국의 문화원을 극 으로 활 용하여 미국 련 자료는 물론 지역자료 수집활 동을 하고 있다. 문화원의 활용은 산이 감 될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높을 것이다. 재 재외문화원은 9개국 12개 처에 있으며, 재외 문 화홍보 은 22개국 사 는 사 에 있다. 일반 으로 국외 소재 한국 련 자료의 수집 은 국립 앙도서 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러나 1990년 이후 국내 여러 기 에서 국외소재 한 국 련 자료 수집사업이 본격화되기 시작하 다. 재까지 알려진 한국학 련 자료를 수집 하고 있는 기 은 국립 앙도서 을 비롯하여 국회도서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 원회 등 11 개 기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혜경 2007). 주요 기 의 략 인 수집 황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이러한 기 들 간의 력을 통해 복수집을 방지하고 보다 체계 이고 략 인 수집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그림 3>과 20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기 명 수집량 상 국가 기 국립 앙도서 ∙39개 문서군 ∙매년 약 20만면 수집 ∙한국고 자료 4,000 인 수집 ∙귀 자료 5,000책 인 수집 ∙미국: NARA ∙ 국, 미국, 랑스 러시아 국회도서 ∙35책, M/F 74롤, 마이크로피시 1,014 매 ∙미국, 일본, 국 국사편찬 원회 ∙3,297,633면/3,231롤 ∙미주: NARA, 캐나다 국립아카이 즈 ∙일본: 국회도서 , 도쿄 학교, 국문학 자료 , 궁내청서 릉부, 후 아이 신아이쥬쿠, 복각자료 ∙ 국: 국북경시당안 , 국북경국가도서 , 국국가 도서 ∙러시아 유럽: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국제사회연구소, 타쉬 트 문서연구소, 우즈베키스탄 국립 앙아카이 즈 한국학 앙연구원 장서각 ∙2,860면 ∙미국: NARA ∙ 국: 련 학 ∙일본: 홋카이도 학, 도교 학, 카뮤수인 학 등 국가기록원 ∙마이크로필름 3,774롤 ∙문서 1,343931권 ∙도면 1,238,306면 ∙카드(인사기록카드, 병 카드 등) 5,290,190매 ∙러시아: 국방성문서연구소 ∙ 국: 제2 역사당안 , 강소성당안 , 남경시당안 , 연변 시당안 ∙일본: 외교 사료 ∙미국, 국, 몽골, 베트남 등 독립기념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11,963 ∙문건 29,622 ∙수기 88 ∙서화 505 ∙사진 13,691 ∙무기 179 ∙유품 978 ∙ 탁 2,062 ∙복제 10,518 ∙기타 11,480 ∙일본, 국, 일본, 북한 등 <표 3> 한국 련 국외자료 수집기 수집 황 <그림 3> 국외 한국 련 동연계장서 구축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05 같은 력모형을 통해 종합목록 DB를 구축하 고 포 으로 한국 련 자료를 수집할 수 있 는 방안 마련이 시 하다. 한국학 련 자료들은 기존의 도서 분류체 계와는 다르므로 별도의 분류체계를 운 해야 한 다. 즉 국제표 기록물기술(ISAD(G):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분류체계를 따라 출처 존 의 원칙, 원질서 존 의 원칙, 계층 통제의 원칙에 근거하여 자료 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립 앙도서 은 재에도 표 인 분류체계와 기본원칙 을 수하여 수집을 진행하고 있다. 한 력 기 들 간의 표 화 작업을 한 부수 인 업무 를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수 집된 자료에 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 되, 서지DB, 작권이 해결된 자료는 원문DB 를 구축하고, 한 한국 련 자료 소장기 DB 도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4.3 장서평가 4.3.1 컨스펙터스의 도입 장서평가는 도서 임무를 완수하는 장서의 합성을 단하는 과정으로서, 모든 도서 에 서 요시 되어 왔다. 장서는 도서 의 존재 이 유이며, 훌륭한 장서는 도서 의 목 달성에 필수 이다. 장서평가는 과거의 자료수집에 한 노력의 정도를 평가하고, 행 로그램을 검토하고, 장서목 을 성취하기 한 개발 우 선순 를 결정하기 한 정보를 제공한다. 장 서를 평가하기 해서는 도서 의 유형, 사명, 규모가 고려되어야 한다. 국립 앙도서 은 국 가 자료의 망라 수집, 보존, 이용이라는 사명 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순히 이용자 요구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장서의 특성, 구성, 심 도를 평가하여 강 은 유지하고 취약 은 보완 하는 업무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1970년 반부터 도서 들은 타 도서 과 의 상호 력을 하여 주제별 장서 강도와 장 서수 에 심을 가지면서, 주제별 장서에 한 계량 이고 표 화된 평가기법을 찾고자 하 다. 일반 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컨스펙터 스는 미국의 연구도서 구룹(RLG)이 작성한 컨스펙터스로서 주제 분야의 장서수 을 기술 하는데 합하다. RLG 컨스펙터스는 장서평 가도구로 리 사용되었다. 1980년 북미지역은 물론, 국, 호주, 뉴질 랜드, 랑스, 스칸디나비아 국가, 네덜란드, 헝 가리, 벨기에, 이탈리아 등 여러 나라에서 컨스 펙터스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1987년 유럽연구 도서 회는 컨스펙터스를 공식 으로 인정 하고 Conspectus Working Group을 결성하 다. 1990년 에는 IFLA 회의에서 국제 인 컨 스펙터스(worldwide conspectus)를 검토하 다. WLN(Western Library Network)은 단 도서 에서 장서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PC기 반의 소 트웨어를 개발하 고, 1999년 WLN 과 OCLC Pacific의 병합 이후 최근까지 컨스펙 터스 서비스는 OCLC/WLN에 의하여 유지 리되었다. 이후 2006년 7월 RLG가 OCLC에 합 병됨에 따라 컨스펙터스는 체 으로 OCLC 의 책임 하에 운 되고 있다. 최근 자자원의 비 이 확 되면서, 기존 컨스펙터스의 수정에 한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표 인 로서는 Johnson(2004)의 모 형, Clayton & Gorman(2002)의 모형, Biblaz 2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2001)의 모형 등이 있는데, 기존의 장서수 기호를 최 한 유지하면서 유형별 서비스 수 을 제시하기 함이다. 4.3.2 컨스펙터스의 구성 WLN Manual(Powell 1992: 27)에는 “컨 스펙터스란 표 화되어 있는 정의를 이용하여 도서 장서를 체계 으로 기술하고 분석하는 조직화된 과정이다”라고 서술되어 있다. Wood (1992, 6)는 컨스펙터스를 “도서 장서에 한 조사결과를 제고하는 다방면 다목 의 장서 심 평가과정”이라고 정의하 다. 컨스펙터스는 몇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단순한 장치이다. 일 반 으로 주제분류기호(subject classification code), 주제기술어(subject descriptor), 장서 수 기호(collection level code), 언어범 기호 (language coverage code), 비고(comments) 로 구성되어 있다. 1) 주제분류기호 컨스펙터스의 주제분류기호는 각 도서 이 사용하는 분류표의 기호를 따르도록 되어있다. LCC와 DDC의 계층 구조를 용한 컨스펙 터스의 주제는 24개의 주류, 500여개의 강목, 5,000여개의 요목이 있다. WLN 컨스펙터스는 LCC와 DDC의 주제표시어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 2) 주제기술어 컨스펙터스 주제기술어는 분류표의 주제기 술어와 거의 일치하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주 제기술어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도록 한다. 3) 장서수 컨스펙터스는 일반 으로 각 주제별 장서수 을 몇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장서수 기호 라는 표 화된 척도를 이용하여 장서의 능력을 기술한다. RLG 컨스펙터스는 미국 의회도서 , 호주 국립도서 등 규모 도서 에서 사용되 고 있으며, 각 장서수 을 ‘0’부터 ‘5’까지의 6개 등간척도로 구성된 기호로 표시하고 있다. 4) 언어범 기호 컨스펙터스에서는 장서의 언어범 특성에 따라 언어범 기호를 부여하고 있다. 언어범 기호는 장서수 기호와 결합하여 표기되며, 이 표시기호는 장서수 ‘3’~ ‘5’(학습 교육지 원수 ~망라 인 수 )에 해당하는 장서를 다 루는 연구도서 에서 주로 이용한다. RLG 컨 스펙터스와 WLN 컨스펙터스는 장서에 포함된 자료들의 언어특성에 따라 어를 심으로 언 어범 기호를 부여하고 있다. 5) 장서기술 표 화된 장서수 기호를 이용하여 장서를 기술하는 경우에는 장서의 특수한 환경이나 외상황을 표시하거나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컨스펙터스에서는 주제배열의 한계성을 극복하 고 장서수 기호만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장서상 황을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RLG 컨스펙터스에서는 ‘비고’란을 두어 장서에 한 정보를 추가로 기록할 수 있다. 4.3.3 국가장서를 한 컨스펙터스 용 1) 컨스펙터스 수 장서를 평가하기 해서는 도서 의 유형, 규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07 모, 이용자 특성에 합한 기법을 선택 용해 야 한다. 국립 앙도서 은 포 인 연구도서 수 의 장서를 구축하고 있으므로, <표 4>와 같은 RLG의 6단계 수 의 용을 제안한다. 2) 컨스펙터스 주제어 체계 재 세계 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OCLC/WLN의 컨스팩터스는 주제에 해 LC와 DDC 기호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 국립 앙도서 은 이 컨스펙터스에서 DDC부분을 KDC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컨스펙터스 는 일회 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평가 시 추가되는 주제가 발생하면, 새로 기술하여 축 시킴으로써, 데이터베이스로 유지된다. 본 연구는 국가장서를 한 컨스펙터스를 구 성함에 있어, OCLC/WLN의 컨스펙터스를 용하여 개발하 다. OCLC/WLN에서 정하고 있는 주제는 모두 24개의 카테고리이다. 이 사회과학 분야에 해당하는 경 경제, 교육, 지리 지구과학, 법학, 문헌정보학, 정치학, 심 리학, 사회학 카테고리에 하여, 컨스펙터스를 개발하 다. KDC 5 상 색인에서 주제어를 보완하 고, KDC 번호를 SUBJECT RANGE 로 부여하 다. 향후 국제 력이나 서양서의 처 리 등을 하여 DDC번호와 LCC번호를 병기 하 다. 개발한 컨스펙터스의 일부 시는 다음 <표 5>와 같다. 3) 장서수 결정 방법 컨스펙터스를 활용하여 장서수 을 평가하 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서가목록분석(shelflist analysis)방법: 도 서 의 서가목록을 분석하여 평가 상 장 서의 각 주제별 장서 수, 언어범 , 출 년 등을 조사. ② 서지 조(bibliography checking)방법: 문 평가용 서지를 선정/작성하여 평 가 상 도서 의 장서목록과 조하여 소 장 자료의 비율을 조사. WLN Collection Manual에서는 장서수 의 결정에 보조도구로 계량 지침을 명시하고 장서수 기호 내 용 수 0 - 제외수 . 도서 의 수집범 에서 벗어나 수집하지 않는 자료 수 1 - 최 수 . 매우 기본 인 자료 이외에는 거의 선택하지 않음 수 2 - 기 정보수 . 한 주제에 하여 입문 인 지식과 개요를 제공함 수 3 - 학습 교육지원수 . 한 주제 분야의 지식을 체계 으로 유지, 보완하는데 합함 - 문 연구를 지원하기에는 낮은 수 - 독립연구, 학부 학원 교육은 물론 공공/ 특수도서 이용자의 학문 요구 지원에 합함 수 4 - 연구수 . 연구보고서, 새로운 연구결과, 과학 검증결과, 기타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는 물론 학 논문과 독립연구에 필요한 주요 정보원을 포함함 - 박사과정 기타 순수연구를 지원함 수 5 - 망라 수 . 한 도서 이 매우 제한된 주제 분야에 하여 모든 실용 언어로 쓰인 기록지식 즉 모든 주요 자료를 소장하고자 노력함 - 한 주제 분야에 한 문 장서를 유지하며 자료를 포 으로 소장하는데 목 을 둠 <표 4> RLG 컨스펙터스 2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DIVISION CATEGORY SUBJECT RANGE(CALL NUMBER) KDC LCC DDC 경 & 경제 통계학 310-310.09  HA0-9999  310-311 313-319 경제 이론 320.1 HB0-9999 304.6 307.2 312 330-330.8 332.83 338.5 339.5 339-339.2 경제 역사 & 상황 320.9-320.906 HC0-9999 330.9 339.3-339.41 339.43-339.49 경제- 산업, 토지이용, 노동 323 321.32 321.5 HD0-2320 333.73-333.74 333.76-333.77 333.9-333.91 333-333.6 338.9 338-338.1 658.4 658.9 658-658.2 659.2 : : : : : : : : : : 사회학 범죄학, 형사 사법 364.4 367 HV6001-9999 362.28 363.2 363.42 364-365 <표 5> 국가장서 평가를 한 컨스펙터스(사회과학분야 일부 시) 있는데, 단행본에 하여 주류별 장서 수, 주제 별 표 서지에 수록된 소장률에 따라 수 을 결정하고 정기간행물에 하여는 색인지에 수 록된 소장정도에 따라 수 을 결정하는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그 밖에 외국어 자료 수, 최신 성, 수서율 등 다양한 요소에 따른 수 결정 지 침이 있다. RLG에서는 학문분야별로 보충지 침을 마련하 다. 4) 언어범 기호 장서의 언어범 기호는 장서에 포함된 자료 의 언어범 에 한 특성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RLG 컨스펙터스에서는 장서의 언어범 특성 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호를 부여하고 있다: 어자료가 우세한 장서(E), 어자료 이외의 외 국어자료가 일부 소장된 장서(F), 여러 언어로 된 자료를 범 하게 선택하고 있는 장서(W), 어 외 1개 외국어 자료로만 구성된 장서(Y).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09 도서 장서의 언어범 는 해당주제분야 장 서의 언어별 출 량과 출 물의 언어범 에 따 라 결정된다. 미국도서 회 Resources and Technical Services Division은 E, F, W, Y를 규정하고 있다. 언어범 기호는 한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와 도서 의 특성에 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Canadian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는 회원 도서 들의 컨스펙터스 이용에 편의를 제공하고자 자체 언어범 기호를 다음과 같이 개발하 다: 랑스어(P), 어/ 랑스어(V), 어와 외국어(S), 랑스어와 외국어(T), 외 국어(X). 국립 앙도서 은 국어 외에, 일본어 한문 국어 등 동양어(Asian Language), 어(Eng- lish), 유럽어(European Language), 기타 언어 등을 간주하여야 될 것이다. 4.4 장서개발정책 성문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주요국의 국가도서 은 부분 장서개발정책에 한 성문화된 정책 진술서를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있다. 국립 앙 도서 의 홈페이지에는 간략한 자료수집 방법 과 황 등을 안내하고 있으나, 정책진술서라 고 하기에는 미흡하다. 성문화된 장서정책은 해당 부서의 업무와 부 서간의 계나 방향을 분명히 하고, 일 성 있 게 업무를 수행해 나가기 한 것이며, 자료 선 정과 수집, 계획, 공 과의 계, 외부와의 력 등에 용하여 일 성 있는 장서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한 시간이 경과되고 담당직원이 바 더라도 장서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 를 제공한다. 성문화된 정책에는 서문, 주제 별 장서정책, 매체별 장서정책, 특수장서정책, 장기 개발계획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음 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4.4.1 서문 서문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장서의 목 이 국가도서 의 사명과 일치하며 법 행정 권 에 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한 국가도서 의 목 을 달성하기 해 추구해야 할 장서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장서수집 방법과 범 , 장서의 보존 등을 기술 하며, 자료의 폐기와 수집정책의 개정에 한 사항도 포함하여야 한다. 국립 앙도서 의 장서개발정책의 서문에는, ‘도서 법’ 제18조(국립 앙도서 설치 등) 제 2항에 의한 국가 표도서 의 목 과 지 , ‘도 서 법’ 제19조 제1항에 의한 국립 앙도서 의 업무, ‘도서 법’ 제20조(자료의 납본, 온라 인자료의 수집)와 구입․기증․국제교환 등 에 의한 자료수집 방법, 특수장서 정책, 자원공 유를 한 동연계장서 구축, 폐기 등 장서 리에 한 사항 등을 서술한다. 4.4.2 주제별 매체별 장서개발정책 주제별 장서 정책에서는 분야별 장서개발의 범 , 장서의 강 , 수집정책, 취약 , 수집제외 자료, 수집원 등을 기술한다. 매체별 장서개발 정책에서는 매체별 장서개발목 , 정의 범 주, 장서개발방법, 장서 근방법, 타 기 과의 력 등에 해 기술한다. 요한 것은 주제를 어떻게 구분하느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 분야를 재의 국 2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립 앙도서 이 채택하고 있는 분류체계에 따 라 구분하고 각 주제 분야별 장서개발정책을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매체별로는 문제 이 많은 부문부터 정책을 수립해 나가야 하며, 온 라인 자료, 회색문헌 정부간행물 등이 매체 별 정책의 우선순 로 간주된다. 국립 앙도서 분 이 설립되는 경우 분 의 주제는 각 분 이 담당하여 장서개발정책을 개선하고 발 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4.3 자자원 개발정책 국외 국가도서 장서개발정책을 보면, 이 미 자자원에 한 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하여 체계 으로 수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미 국 의회도서 의 경우 5가지의 supplementary guideline(도서자켓, 자정보원, 마이크로자료, 비도서 자료, 웹아카이빙) ‘ 자정보원’에 서 디지털자료의 정의 수집범주에 해서 언 하고 구체 인 수집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국의 국립도서 도 ‘Web Collection’을 구축하기 한 방향과 수집 가이드라인을 제시 하고 있다. 호주의 도서 은 특히 ‘Australian Electronic Resources’와 ‘Overseas Electronic Resources’로 구분하여 보다 체계 이고 략 인 장서개발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5. 결론 제언 국가 표도서 인 국립 앙도서 은 우리나 라에서 생산된 모든 자료(인쇄자료와 자자 료)를 납본을 통해 수집하고, 고 는 문화원 형 자료 등과 같은 국가기록유산을 수집하며, 우리나라 언어로 쓰인 자료와 국외에서 출 된 우리나라에 한 자료를 수집하여, 국가장서를 구축해 나가야하는 책무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들의 국립도서 장서개발정책을 조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체계 으로 종합하여, 하이 리드장서 구축, 동연계장서 구축, 장서 평가, 그리고 장서개발 정책 성문화 등 네 가지 서 모형으로 구성된 기본모형을 도출하 다. 하이 리드장서는 도서 이 물리 으로 소 장하는 오 라인 자료는 물론 온라인 자출 물을 통합 으로 수집한다. 다양한 회색문헌과, 이용자가 한정되어 있는 장애인자료, 한국 련 국외자료 등에 하여는 일반 인 납본 등의 수집방법 외에 련기 간 상호 동을 통한 연계장서 모형을 제안하 다. 우수한 장서수립 에 필수 인 장서평가를 하여 포 장서에 합하며 세계 표 방법으로 확립된 컨스펙 터스 방법을 제안하 다. 마지막으로, 체계 이 고 일 성 있는 장서개발을 지속 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국가장서개발정책의 성문화를 제안하 다. 국립 앙도서 은 복 이후 60여 년에 걸쳐 장서개발 노력을 경주함으로써 오늘날의 장서 를 구축하 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최근 의 국립디지털도서 의 개 등 국제 상은 상당히 높아졌지만, 아직 선진 외국에 비교하 면 장서는 미흡한 상태로 남아 있다. 국립 앙 도서 은 그 동안 축 되어 온 지식과 업무 차를 유지하는 한편 새로운 세부 인 장서수집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발 된 국가장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행 제도 안에서 장서개발 모형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11 을 도출하 다. 우리나라의 실이 일 이 서 지통정이 확립된 선진국과 다르며 법 , 제도 변경이 가까운 장래에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을 감안할 때, 완 한 국가장서의 구축은 막 한 인력과 산의 투입을 필요로 한다. 동 연계장서 구축의 상이 될 회색문헌, 장애인 용 체자료, 한국 련 국외소재 자료의 수집 을 한 역할분담과 표 화 그리고 종합서지 DB의 구축 한 인력의 투입과 산을 필요로 한다. 디지털자료의 수집은 이제 시작하는 보 상태에 있으며, 이해 당사자에 한 홍보 와 계도와 의는 도서 의 업무 부하를 가 시킬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국가도서 장서개발 기 본모형의 각 서 모형을 실 하기 해서는 후 속 연구 구체 인 실천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하이 리드장서 구축을 추진하기 해서는 온․오 라인 출 물의 완 한 납본 과 수집을 한 국내출 물 상시 모니터링 체 계를 구 할 것을 제언한다. 회색문헌, 장애인 용 체자료, 국외 한국 련 자료 등의 동연 계장서 구축을 해서는 각각 참여기 으로 구 성된 추진 원회를 통하여 수집범 , 역할, 장기 세부계획을 확립하고 의체를 결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장서의 재 수 을 평가하 고 목표를 설정하는 장서평가는 발 장서개 발의 선행조건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 과학 분야 컨스펙터스를 분야에 걸쳐 확 개발하고 진 으로 평가 작업을 실행에 옮겨 야 할 것이다. 장서개발의 지속 추진을 한 주제별, 유형별 장서개발정책의 성문화는, 재 사용하는 방법과 차를 기반으로 국외의 사례 를 참고하여 지침이 될 상세한 내용을 갖추도 록 해야 한다. 재 장서 취약한 주제분야, 수집범 와 원칙이 명확하지 않은 자료, 새로 운 정보원 등이 우선순 가 되어 순차 으로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곽승진 외. 2008. ꡔ디지털자료 납본체계 이용보상 에 한 연구ꡕ. [서울]: 국립 앙도서 . [2] 국립장애인도서 지원센터. 2008. ꡔ도서 장애인서비스 기 지침ꡕ. [서울]: 국립 앙도서 국립장애인도서 지원센터. [3] 김유승. 2007. 웹 아카이빙의 법 제도 문제에 한 고찰: 웹 정보자원의 특성을 심으로. ꡔ한국 문헌정보학회지ꡕ, 41(3): 5-24. [4] 남 . 2002. 디지털 시 의 회색문헌 이용 활성화에 한 연구. ꡔ정보 리학회지ꡕ, 19(4): 233- 255. [5] 도서 정보정책 원회. 2008. ꡔ도서 발 종합계획: 2009-2013ꡕ. [서울]: 통령소속도서 정보 정책 원회. 2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6] 박진희. 1997. ꡔ컨스펙터스 방법을 이용한 장서 평가 연구ꡕ. 박사학 논문, 연세 학교 학원. [7] 서혜란. 2003. 디지털자료의 납본과 보존을 한 각국의 노력. ꡔ정보 리학회지ꡕ, 20(1): 379-399. [8] 신은자. 1999. 자 회색문헌의 활용에 한 연구. ꡔ정보 리학회지ꡕ, 16(3): 83-98. [9] 윤희윤. 2001. 국가도서 의 자출 물 수집 보존방안. ꡔ도서 ꡕ, 56(3): 3-48. [10] 윤희윤. 2003. 한국납본제도 개선모형에 한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37(4): 23-52. [11] 윤희윤. 2008. ꡔ장애인용 체자료 개발 지원방안 연구ꡕ. [서울]: 국립 앙도서 . [12] 장덕 . 2009. 자자원 선정을 한 컨스펙터스 수정 모형 연구. ꡔ한국비블리아학회지ꡕ, 20(2): 31-44. [13] 조혜경. 2007. ꡔ일제강 기 해외소재 한국 련 기록의 통합활용에 한 연구: 컬 션 기술을 심 으로ꡕ. 석사학 논문, 명지 학교 기록과학 학원 기록 리학과. [14] 홍 진, 노 희. 2008. 정책정보통합서비스시스템 구축 모형에 한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2(1): 95-125. [15] Biblaz, D. 2001. Guidelines for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using the conspectus model. Hagu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Section on Acquisition and Collection Development. [16] British Library. 1996. Proposal for the Legal Deposit of Non-print Publications to the Department of National Heritage from the British Library. London: British Library. [17] British Library. 2002. Extension of Legal Deposit to Non-print Materials. [online]. [cited 2002.12.13]. . [18] Calang, M., Tabata K., & Sugimoto S. 2002. “Linking collection management policy to metadata for preservatio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blin Core and Metatdata for e-Communication, 35-43. [19] Carroll, B., & Cotter, G. 1993. “A New Generation of Grey Literature: The Impact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5-17. [20] Cassell, Kay Ann. 2004. “Report on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Collection Building, 24(2): 70. [21] Chillag, J. P. 1985. “Grey Literature: Its Supply and Bibliographic Access at the BLLD." British Library Lending Division Catalogue and Index, 78/79: 6-8. [22] Clayton, P., & Gorman, G. E. 2002. “Updating Conspectus for a Digital Age."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26: 253-258. [23] Committee on an Information Technology Strategy for the Library of Congress. 2000. LC 21: a Digital Strategy for the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13 Press. [24] Conference of Directors of National Libraries, Working Group. 1997. The Leagal Deposit of Electronic Publications. Paris: Unesco. [25] Conference of European National Librarians, Federation of European Publishers(CENL/ FEP). 2002. Statement on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Codes of Practice for the Voluntary Deposit of Electronic Publications. [online]. [cited 2002.6.1]. . [26] Dominic, J. et al. 2005. “Access to Grey Content: An Analysis of Grey Literature Based on Citation and Survey Data, A Follow-up Study." Proceeding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ey Literature. [27] Dupont, Henrik. 1999. “Legal Deposit in Denmark: the New Law and Electronic Product." LIBER Quarterly, the Journal of European Research Libraries: 9(2). [online]. [cited 2002. 1.20]. . [28] Evans, G., Eeward., Saponaro, & Margret, Zarnosky. 2005. Developing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Collections. 5th ed.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29] Ferguson, A. W., Grant, J., & Rustein, J. S. 1988. “The RLG Conspectus: It's Uses and Benefit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49(2): 197-206. [30] Gatenby, Pam. 2002. “Legal Deposit, Electronic Publications and Digital Archiving: th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s Experience." 68th IFLA Council and General Conference. Glasgow, August: 18-24. [online]. [cited 2002.12.13]. [31] Hakala, Juha. 1999. “Electronic Publications as Legal Deposit Copies." Tietolinja News [online]. 1/1999: [cited 2001.11.21]. [32] IFLA. Committee on Copyright and Other Legal Matter(CLM). 2000. The IFLA Position on Copyright in the Digital Environment. [online]. [cited 2002. 12. 13]. [33] IFLA and IPA. 2002. Preserving the Memory of the World in Perpetuity: a Joint Statement on the Archiving and Preserving of Digital Information. [online]. [cited 2002.12.13]. . [34] IFLA Headquarters. 2005. Libraries for the Blind in the Information Age-Guidelines for Development. Hague: IFLA Headquarters. [35] Jasion, Jan T. 1991. The International Guide to Legal Deposit. Aldershot: Ashgate. [36] Johnson, P. 2004. Fundamentals of Collection Development & Management, Chicago: ALA. [37] Joint, Nicholas. 2006. “Legal Deposit and Collection Development in a Digital World." Library Review, 55(8): 468-473. 2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38] Owen, J., Mackenzie, S., & Walle, J. V. D. 1996. Deposit Collections of Electronic Publications.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39] Wood, D. 1982. “Grey Literature-The Role of the British Library Lending Division." Aslib Proceeding, 34(11/12): 359-465. •국문 참고자료의 영어 표기 (English translation / romanization of references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1] Seung-Jin Kwak et al. 2008. Digitaljaryo Napbonchegye mit Yiyongbosanggumae gwanhan Yeongu.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 The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2008. Doseogwan Jangaeinservice Gijun mit Jichim. Seoul: The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3] You-Seung Kim. 2007. “A Study of Legal Issues for Web Archiv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5-24. [4] Yoong-Joon Nam. 2002.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Grey Literature in Digital Ag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19(4): 233-255. [5]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Library & Information Policy. 2008. Doeseogwanbaljeonjongha pgehoek: 2009-2013. Seoul: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Library & Information Policy. [6] Jin-Hee Park. 1997. A Study of Collection Evaluation Using Conspectus Methodology. Ph.D. diss., Yonsei University. [7] Hye-Rhan Seo. 2003. “Legal Deposit and Preservation of Digital materials in Various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20(1): 379-399. [8] Eun-Ja Shin. 1999. “A Study on the Use of Electronic Grey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16(3): 83-98. [9] Hee-Yoon Yoon. 2001. “Archiving Strategies of Electronic Publication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Doseogwan, 56(3): 3-48. [10] Hee-Yoon Yoon. 2003. “A study on the Reform Model of Legal deposit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4): 23-52. [11] Hee-Yoon Yoon. 2008. Jangaeinyong Daechejaryo Gaebal Jiwonbangan Yeongu.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12] Duk-Hyun Chang. 2009. “A Study on a Revised Conspectus Model for the Assessment of Electronic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31-44.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215 [13] Hye-Kyoung Jo. 2007. A Study for Integrated Use of Overseas Record on Korea During the Japanes Rule -Focus on Collection and Description. M.A. thesis, Myoungji University. [14] Hyun-Jin Hong, & Young-Hee Noh. 2008. “A Study on Modeling a Unified Policy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95-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