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395F3231345F5F5FC0CCC0BAC3B65F20C0CCBBF3BAB95FBFC0BBEFB1D55FB9DABFC1B3B22E687770>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 A Study of Ways to Improve Periodical Indexing Services in Korea 이 은 철(Eunchul Lee)**, 이 상 복(Sangbok Lee)*** 오 삼 균(Sam Gyun Oh)****, 박 옥 남(Ok nam Park)***** 목 차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의의 1.2 연구목 연구문제 2. 선행연구 분석 2.1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발 2.2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련 연구 3. 방법론 4. 연구 조사 4.1 이용자 연구 4.2 국내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5. 연구 결과 고찰 5.1 력기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통합 5.2 메타데이터 표 5.3 식별체계 5.4 거 일 구축 5.5 다각 정보 탐색 기능 5.6 이용자 참여 서비스 확 6. 결론 제언 록 본 연구에서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의 정보자원으로서의 요성을 인식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이용자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에 한 요구사항과 국내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분석하 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방향성으로 이용자에게 심리스(seamless)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시하며 이를 해 력 기반 기사색인 구축, 공유, 검색 시스템의 마련, 표 메타데이터 구축, 거 일 구축, 이용자 참여형 서비스 구축, 패싯 기반 다각 정보탐색 기능 제공, 식별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 다. ABSTRACT The study acknowledges the values of periodical indexing as information resources. The study identified periodicals users' needs of article indexing services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The study also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f periodicals indexing services of libraries and databases in Korea and the US. The study argues for the need of seamless services for users of periodical articles indexing services. The study also recommends the elements needed for improving the current service, which includes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indexing system, adopting a metadata standard, implementing authority files, incorporating social web services, offering diverse ways of information discovery based on facet approach, and stabilizing identification systems. 키워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 Periodicals, Article Indexing, Focus Group Interviews * ** *** **** ***** 본 연구는 국회도서 연구용역과제 ‘국회도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분석 평가 연구’의 일부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성균 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eclee@skku.edu) 진 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sblee@daejin.ac.kr) 성균 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samoh@skku.edu) 성균 학교 사서교육원 강사(ponda777@gmail.com) 논문 수일자: 2009년 2월 23일 최 심사일자: 2009년 2월 23일 게재확정일자: 2009년 3월 5일 19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의의 색인은 정보원과 이용자를 연결시켜주는 매 개체로서 특정 주제 분야의 문헌을 탐색하거나 연구의 성과를 조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요 구하는 문헌을 찾을 수 있는 정보, 특정 문헌을 내포하고 있는 문헌의 서지 사항 는 문헌의 소재 등을 알려주는 검색, 탐색 식별도구이 다(윤구호 2001). 오늘날 학문과 기술이 속 하게 발 함에 따라 정기간행물의 도서 자료 로서의 요성이 단행본 이상으로 증 되고 국 제 으로 그 수요가 확 되어, 정기간행물 검 색 이용의 요성이 증 되고 있다. 재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학술정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연구에 해 벤치마킹 할 수 있는 국내의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국내외 도서 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평 가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의 개선을 한 기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향후 국내 정기간행물 기 사색인 방향제시에도 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 한다. 1.2 연구목 연구문제 본 연구는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에 한 이해를 목 으로 하며, 이를 해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은 어떠한가?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의 문제 은 무엇인가?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는 어떠 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하는가? 의 요소들을 조사하기 해, 본 연구는 우 선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에 한 문헌조사를 실 시하 으며, 학도서 사서, 학원생, 일반 인을 상으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이 용에 한 정보요구를 탐색하 으며, 국내외 도서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 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개선사항을 제시하 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 스에 한 향후 연구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 하 다. 2. 선행연구 분석 2.1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발 우리나라의 경우 기사색인은 1950년 후 서울 학교 사범 학에서 ‘사학잡지’에 수록된 ‘국어국문학 계연구논문목록 논문지’의 한 기 사로 수록하여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이 나타나 기 시작하 다. 이어서 한국도서 회에서 발 간한 ‘학술잡지색인’을 바탕으로 본격 인 정기 간행물에 한 색인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를 국회도서 이 이어받아 제명을 1963년부터 <국내정기간행물기사색인>으로 바꾸어 계간으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191 로 발간하다가 1998년까지 책자로 발행하고 1999년부터 2005년까지 CD-ROM으로 발행 하 다(윤구호 2001). 재 정기간행물 기사 색인은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축되어 제공 되고 있으며,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 기 국립 앙도서 , 국회도서 을 심으로 구축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1848년 W. F. Pool이 편찬한 색인을 기 으로 도서목록분류색인과 정기간행물색인 이 구분되는 상을 보 으며, 20세기에 들어 정기간행물은 과학 기술의 발달과 학문의 세분 화 상에 따라 주제별 연속간행물기사색인으 로 환하기 시작하 다(하우정 2001). 미국 Wilson 출 사가 상호참조법을 이용한 주제 근방식을 취한 을 발행하기 시작한 것이 그 표 인 이다. 이를 시작으로 20세기 반부터 문 주제별로 세분화하기 시작하여, 20세기 후반에는 데이터베이스로 환, 록과 함께 문도 같이 수용하여 서비스하고 있다(윤구호 2001; 하우정 2001). 이 듯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인쇄형태로 발간하던 것을 데이터베이스로 환 색인 뿐 아니라 문도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로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정보검색도구로서의 요성이 증 되고 있다. 한 웹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 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하여 통합 목록기반 검색시스템 웹2.0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이 용자 리뷰 태깅을 수용하는 서비스가 실시 되기 시작하고 있다. 2.2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련 연구 자 문의 확 , 학술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팽창을 고려해 볼 때 정기간행물 기 사색인에 한 연구는 소홀히 할 수 없는 분야 로 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에 한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행해진 분야는 아니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과 련하여서는 메타 데이터 표 안 제시에 한 연구와 데이터 품 질에 한 연구 정도로 나 수 있는데, 이도 2000년 반의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에 한 계속 인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메타데이터 표 안 제시와 련하여서는 한 종엽(2000)의 연구를 언 할 수 있는데 한종엽 (2000)은 연속간행물 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을 해 서지데이터 요소의 표 화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 다. ISO 690의 서지기술 10가지 요 소를 기본골격으로 하고 국내외 표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요소 분석 결과를 바탕 으로 7가지를 추가로 선별하여 17가지 요소(표 제, 자, 자소속, 부수 자, 명, 기사 의 수록 치(권호와 페이지), ISSN, 발행지, 발행자, 발행일자, 본문언어, 사항, 키워드, 주제분야, 록( 는 내용목차), 소장기 , 원 문보기)를 정렬하여 표 안을 도출하 다. 이 연구는 기사색인의 17가지 요소를 국제 표 과 국내 기사색인 상 기 을 분석하여 도출하 다는 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이러한 의의에 주목하여, 한종엽의 연구에 서 추출한 17가지 요소를 기 으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서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되, 한종 19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엽의 연구에서 포함되지 않은 기 (국립 앙도 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디비피아, 워싱 턴 학)들을 포함해서 17가지 요소에 제한을 두지 않고 분석하 다. 데이터 품질과 련하여서는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의 ‘과학기술 정기간행물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 코드의 품질(윤정옥 2003)에 한 연구가 있는데 AACR2와 KORMARC 의 편목규칙과 기술표 을 기 으로 정기간행 물 코드 195종에 한 MARC 코드의 품질 을 평가하 다. 이를 기반으로 기본표제, 축약 표제, 등표제, 문표제, 발행지 오류, 불필요 한 언어코드에 한 오류를 지 하여 이에 한 향상 안을 제시하 다. 이 연구는 데이터 품 질을 서지통합기 에 따라 평가함으로써 표 과의 일 성 표 에 따른 정확성을 기 으 로 했다는 에서 의의가 있으나, 본 연구는 연 속간행물 코드에 한 품질만을 고려했을 뿐, 연속간행물 기사 코드에 한 평가는 다루지 않았다. 국외의 경우, 국내의 제한된 연구와는 조 으로 The Serials Librarians, Serials Review 등의 학술지를 통해 정기간행물에 한 꾸 한 연구가 이어져왔다. 자 과 문의 확 , 기술의 발 , Web 2.0 등장 등으로 인해 정기 간행물의 장서수집, 연구방향 등에 해서도 논의가 이어져오고 있다. 자 의 확 로 인한 기 의 정기간행물 리 방안 장서개 발에 한 논의(Nisogner 2008; Scherlen 2004), Web 2.0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 비스(Kemp 2008), 이용자 요구 조사 반 방안에 한 고찰(Connaway 2006; Reynolds 2006; Stephens, Lott and Weston 2001)에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onnaway(2007) 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이용자인 8명의 학부 생, 교수, 학원생을 상으로 진행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이용자가 정기간행물 기사 색인 서비스 이용과 련하여 요하게 생각하 는 3가지 요소로 문헌의 다각 정보 탐색 기능 의 향상(information discovery), 기사색인에 한 이용자 평가 조력 시스템, 구 스칼라 등 의 다른 시스템과의 유기 연결 등으로 악 하 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기간행물 기사색 인 련 정보자원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이 국내에서 어떤 형태로 제공되 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하는 지에 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 에서는 재 국내외 기사색인 서비스 제공기 을 조사하여 국내 기사색인의 황에 한 악을 기반으로 국내 기사색인 서비스의 발 방 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 방법론 본 연구는 이용자 연구, 국내외 도서 상 업 데이터베이스 기 분석을 바탕으로 진행 되었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과 련하여 이용 자 요구를 악하기 하여 사서 3명과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 이용자 7명(학생 4명 직장인 3명)을 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 다.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황을 악하기 하여 국내외 도서 상업 데이터베이스 기 을 심으로 기사색인 황, 검색방법, 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193 타데이터, 서비스, 력기 간의 공유 통합 운 사례 등을 심으로 조사하 으며 조사 상 기 은 아래와 같다. ∙국내: 국회도서 , 국립 앙도서 , 한국교 육학술정보원(이하 KERIS), 한국학술정 보(이하 KISS), 리미디어(이하 DBpia),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국외: 미의회도서 , OCLC,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학(University of North Carolina), 워싱턴 학(University of Washington) 4. 연구 조사 4.1 이용자 연구 이용자를 상으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검 색을 해 주로 사용하는 시스템, 선호 이유, 개 선 사항,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의 우선 순 , 개선 방향 등을 심으로 포커스 그룹 인 터뷰를 진행하 다. 이를 통해 정기간행물 기 사색인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한 요소를 악하 다. • 통합검색 이용자들은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검색을 해 KISS, DBpia, KERIS, 국회도서 등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었다. 선호하는 시스템에는 개인 간 차이가 나타났으나, 이용 자는 검색 시 락되는 자료가 발생하지 않기 해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자가 정기간행물 기 사색인 서비스 개선사항을 지 한 부분하고도 연결되는데 이용자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했다. 이용자 4: cross-check을 해야 하니까. 혹시 라도 락된 자료가 있을 수도 있고 • 최신성 이용자는 최근 1-3개월 내 발행된 최근자료 에 한 정보요구를 강하게 지니고 있음이 악되었다. 오래된 자료에 해서는 정보를 찾 을 수 있는 곳이 많으나 최신 자료는 색인이 되 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시스템 상에서 검색은 되나 인쇄 원문이나 자 원문이 제공되지 않 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자료에 한 신속 한 제공을 원하고 있었다. • 전자 원문 접근성 자 원문 근성 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의 요 요소로 악되었는데 이용자는 문서 비스의 확장으로 모든 기사를 인터넷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원했다. 이용자 3: 도서 에 방문하지 않아도 그냥 온라인상에서 자료를 모두 이용할 수 있었 으면 좋겠어요. • 유연하고 효율적인 검색 기능 이용자는 검색 결과를 유용하게 화면에서 볼 수 있거나 보여거나 검색을 필터링 할 수 있는 기능, 유용한 검색의 제한 확장에 도움을 주 는 검색 기능을 기사검색 시스템 만족도에 19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향을 주는 요소로 지 하 다. 를 들어, 국회 도서 이용자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방 한 기사색인을 제공한다는 은 만족요인이나 잡지별, 발행처별, 주제분야별 라우징을 제공 하지 않고 결과 내 검색 제공 는 다양한 정보 근 을 제공하지 않는 을 불만족 요인으로 지 하 다. 이에 반해 DBpia와 같은 데이터에 비스는 은 정보양에도 불구하고 정보 검색이 유용하고 검색의 확 제한이 용이함을 서 비스 만족의 요인으로 지 하 다. 한 이용자 평가에서 문에서 참고문헌을 링크해서 정보를 확장해나갈 수 있는 기능, 간 략검색 는 상세검색에서 자, 주제, 권호의 클릭을 통해 정보를 확장할 수 있는 정보의 다 각 탐색 능력을 조력할 수 있는 기능 한 요한 것으로 지 되었다. 이용자 평가를 통해 본 연구는 단일 검색창 을 사용한 통합 검색의 제공, 문 근성의 확 보, 최신성 있는 자원 제공, 다른 콘텐트의 재검 색 는 검색 제한을 가능하게 하는 다각 탐 색능력을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정기간행물 기 사색인의 주요 요소로 악할 수 있었으며, 이 러한 요소를 기반으로 국내외 기사색인 서비스 를 분석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한다. 4.2 국내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4.2.1 국외 기 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미국에서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원문의 구축은 주로 웹 데이터베이스와 자 업체 에 의존하고 있으며 미국 학도서 , OCLC, 미의회도서 은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따로 구축하지는 않는다. OCLC는 비 리기 으로 시작하여 상업 기 으로 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련 통합검색을 제공하고 있다. OCLC는 이를 해 력기 과 력데이터 베이스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포함하여 FirstSearch와 WorldCat 등의 OCLC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OCLC의 내 부 형식에 맞게 수정을 거쳐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다. 그 표 인 가 OpenURL을 사용 하여 기사색인 코드와 데이터베이스 원문을 연결하는 과정이며 정기간행물의 경우 다양한 외부 기 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되는 정기간행물에 한 정보 정기간행물 표제가 복되거나 같은 정기간행물인데 표제가 다르 게 기록된 경우에 한해 제한 조사를 하여 기 이 되는 정기간행물 표제를 선정 이에 따라 기사색인을 제공하고 있다. OCLC에서 에 띄는 부분이 OCLC WorldCat 인데 표 인 특징은 <그림 1>, <그림 2>와 같 이 Article탭을 통해 기사 검색을 제공하며 단 일검색창을 통해 검색된 정보를 합도 순으로 제공하고, 이용자는 패싯 라우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검색의 결과를 다양한 범 로 재검색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구 , 야후와 같은 포털을 통해서도 자 의 정보에 근할 수 있 는 다양한 근 을 제공하고 있다. 그 외에도 리뷰, 태킹과 같은 이용자 참여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며, MySpace와 같 은 북마킹서비스를 제공하여 검색된 자료의 재 사용성을 조력한다. 한 미국 학도서 의 경우 정기간행물 기 사색인 서비스는 웹 데이터베이스를 구입하여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195 <그림 1> OCLC WorldCat 일반검색 화면 <그림 2> OCLC WorldCat 검색결과 상세페이지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정기간행물을 검 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OCLC WorldCat을 학도서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 소장 자원 과 로벌 자원을 통합 근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WorldCat Local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서 비스를 제공되고 있다. WorldCat Local을 사 용하는 표 인 의 하나인 시애틀 소재 워 싱턴 학은 <그림 3>과 같이 WorldCat Local 을 자 의 시스템에 도입함으로써 워싱턴 학 WorldCat은 ArticleFirst, British Library, 19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그림 3> 워싱턴 학 도서 WorldCat 사용 기사검색 상세페이지 ERIC, NLM Medine, 북서부 도서 콘소시엄 자료, 워싱턴 학이 구독하는 자 자료에 한 정기간행물 기사 색인 검색 원문 링킹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검색결과는 Local(자 자료), Group(지역 콘소시움자료 - 북서부 도서 콘소시움), Global(WorldCat 자료) 순 으로 리스트가 자동 정렬되어 이용자로 하여 근성이 높은 순으로 편리하게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게 같은 검색문에 한 검색결과의 정렬순서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은 검색엔진이 합성 순 화를 하는 과정에 서 자 이 소장한 자료에 가 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한 <그림 3>과 같이 기사가 속한 잡지를 소장하고 있는 지역 도서 의 정기간행 물 링크를 제공하여 자 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사를 지역 도서 으로부터 요청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개별 도서 은 자 의 특성 요구에 맞게 서비스나 인터페이스를 수정할 수 있다. 를 들어, 보여주는 메타데이터 요소의 변경, 메타 데이터 요소의 용어변경, 패싯 요소의 변경, 정 렬기능, 서지 정보의 내보내기 등 검색 후 기능 의 변경이 가능하다. 2007년 워싱턴 학 도서 은 자 의 복잡한 검색 시스템의 비효율성에 직면하고 있었다. 자체 으로 개발한 3개의 목록 시스템을 활용 하고 있었으나 목록시스템 사이에 통합이 이루 어지지 않아 검색과 이용률이 히 낮았다. 결국 학생들은 학업과 연구를 해 구 , 야후 와 같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게 되었 고 도서 의 시스템의 이용률은 더욱 낮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OCLC의 WorldCat Local 서비 스를 도입한 후 출과 상호 차 등 주요 서비스 의 이용 통계가 증하 고 이용자들의 만족도 역시 폭발 으로 증가하 다(OCLC Success Story 2008). 재 시범 용단계에 있으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197 이러한 보고결과는 여겨 볼 만하다. 미의회도서 은 법률, 정치, 음악, 사회과학 의 주제 분야 고문서 등 미국의 역사와 련된 장서에 한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고 있으나, 정기간행물 검색은 이 분야 웹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할 수 있을 정도의 서비스를 제공하 는 수 에 그치고 있다. 미의회도서 은 정기 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제공을 하여 주제표 목표, 거 일, 목록표 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에서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는 법률, 경 제, 인문과학, 사회과학 등의 모든 학문분야별 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문을 제공하는 상용 데이터베이스가 잘 구축되어 있으므로 각 기 에서 이를 복 구축하는 수고를 담당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 한 분야에 다수의 상용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여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가 폐쇄될 경우에도 지 자원의 손실에 큰 험이 없기 때문이다. 한 OCLC라는 정 보센터가 존재한다는 , 각 기 이 기 의 정 보자원에 해 열린 근성(Open Access)을 우선시 한다는 , 기사색인 기사 원문에 식 별자를 주어 식별자를 통한 링크 연결이 가능하 여 기 간 정보 유통이 가능하다는 , OCLC 와 자 사이의 력이 제한다는 으로 인해 자 이 WorldCat을 도입했을 때 이용자에게 근성 있는 정보를 효율 으로 제공 유통 할 수 있는 것이다. 4.2.2 국내 기 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는 국회도서 , 국립 앙도서 , KERIS를 비롯하여, KISS, DBpia와 같은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 업체에 서 각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자체 구축하고, 원문 역시도 부분 으로 자체 구축하는 체제로 운 되고 있다. 미국과는 달리 국내 정기간행 물의 경우 다양한 조직에서 부분 으로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 원문을 구축하는 형태를 띠 고 있으므로, 복성이 불가피하고 효율성도 미흡한 것으로 악되었다. 국회도서 의 경우 학술가치가 있다고 인정 되거나 의정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단되는 모 든 범 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여 기사색인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8년 12월 기 으로 기사색인 정기간행물종수는 8,683종에 이 르고 있으며, 기사색인 6,140종, 색인기사 250 만 건, 원문 데이터베이스 76만 건(원문구축률 약 30%)을 자체 구축하고 있다. 국립 앙도서 역시 학술 가치가 있다고 단되는 정기 간행물에 한해 기사색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자 체 구축 KERIS 구축에 의존 하고 있으며 (기사색인 71만건, 원문 35만건, 원문구축률 약 50%), KERIS는 자체 구축한 것 외에는 링크 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03만건에 한 원문 근제공). 정기간행물 수집의 경우도 각 기 마다 독자 으로 행해지고 있으므로 기 간 정기간행물 수집 황이나 기사색인 원문 구축 황의 정보가 공유되고 있지 않은 실이며 미국과는 달리 구축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원문 근 이 한 곳에서 검색될 수 있는 시스템이 미비한 실이다. 를 들어 재 국회도서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은 KERIS와 통합되어 검색서비 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 각 기 은 복 1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성 지양이라는 우선순 를 표방함에도 불구하 고 자체 구축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원문 의 복성 정도나 각 기 이 소장한 정기간행 물 복성에 해서는 악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 거 일, 주제명표목표를 구축하고 있지 않으며, 국립 앙도서 이 인명 거 일을 구축하 으나 정기간행물에서의 활용은 미흡하며, 주제명표목표(시소러스)를 국회도서 이 구축하 으나 재 사용되지 않 고 있다. 이로 인해 재 국내에서는 주제어에 따른 정기간행물 기사검색은 제공되지 않고 있 으며, 주제어가 아닌 KDC나 DDC의 분류기호 에 의존하여 소수 몇 분야에 걸쳐 주제 분야별 정기간행물 검색을 허용하는 수 의 주제별 검 색만 제공되고 있다. 한 OCLC와 워싱턴 학에서 보여줬던 것과 같은 패싯 기반 클러스터링 서비스, 로컬 도서 , 데이터베이스, 로벌 자료와 연결하는 검색 시 스템, 이용자 서평 태깅과 같은 이용자 참여 기능, 북마킹 서비스 제공과 같은 기능이 충분하 게 제공되지 않고 있음이 악되었다. 이러한 국 내의 황은 이용자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정 보 요구 조사에서 밝 졌던 통합 검색, 자 원문 의 근성 확보, 유연하고 효율 인 서비스 제공 을 해하는 요소임을 악 할 수 있다. 5. 연구 결과 고찰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양은 빠르게 증가하 고 있다. 학술 연구개발 분야의 출 물들은 매일 약 2만 건 이상이 발행되고 있으며 이용자 는 매일 방 한 양의 정보를 하게 된다(고 만 2002). 국내에서 생산되는 정기간행물 기사색 인은 국가의 요한 지 자산으로써 이용자들 이 필요한 정보에 해 신속하고 효율 으로 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앞장에서 논의된 이용자 연구와 국내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악을 바탕 으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심리스(Seamless) 한 서비스의 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효과 으 로 가시화하기 한 요소들이 국내외 정기간행 물 기사색인 서비스에서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 지를 조사하고 서비스를 향상시킬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5.1 력기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통합 재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과학기술 이나 교육 분야를 제외하고는 사회과학, 의학, 경 경제, 인문과학 등의 각 분야를 특징지 을 수 있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데이터베이스 가 충분치 않고 주제분야를 상으로 하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이 부분 으로 여러 기 에 의해 구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을 통합 리하는 기 의 역할이 명확히 규정되지 않고 국내 기 간 기사색인에 한 력 는 의사소통이 제 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재의 상황으로 인해 기 들 간에 기사색인이 복 으로 구축되고 있으 며, 각 기 이 독 으로 구축하고 있는 기사 색인 한 정보공유도 효율 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이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공 유할 수 있는 심센터가 없이는 이용자뿐만 아 니라 도서 사서에게 유용하고 효율 인 기사 색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199 이는 메타데이터 표 , 거 일, 주제명 표 목표 선정을 미국회도서 에서 담당하고, 데이 터베이스와 자 업체에서 생산한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을 OCLC라는 정보 심센터를 통해 통합 검색이 가능하며, WorldCat Local 을 통해 로컬 도서 과 로벌 자료의 통합 검 색이 로컬 도서 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시스템 형식이 시범 운 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와 조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기 의 력을 기반으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통합 목 록(KAUC - Korean Articles Union Catalogs) 을 구축하여 기 간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공 유 통합검색을 추진하며, 원문 서비스 링킹 서비스를 통한 원문의 근을 극 화 할 것을 제시한다. 기사색인 통합목록의 필요성은 다음 과 같다. 첫째, 기사색인의 범 는 주제범 형태 에 따라 다양하다. 형태에 따라 학발행지, 정 부발행 연구 보고서 학회지, 시사교양지(주 간지, 월간지), 학술지 등 범 가 다양하며, 주 제 역시 과학기술, 문화 술, 정치 사회, 법, 의 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있으며, 동시에 기사색 인의 양도 기하 수 으로 증가하고 있다. 앞 으로 자 이 증할 것을 고려하면 기사색 인의 상도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기 는 상용데이터베이스에서 구축된 독 문헌의 존재는 불가피하며, 이에 한 정보의 공유도 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회도서 , 국립 앙도서 , KERIS, KISTI 등에서 구축한 기사색인의 복성은 물론 각 기 이 독 으로 구축한 기 사색인의 분량도 상당한 것으로 악되었다. 국립 앙도서 은 인문 는 문학 등에 을 두는 경향이 있었고, KISTI는 과학기술 분야 에 을 두고 있으며, 국회도서 은 정부간 행물 시사교양지에 장 을 지니고 있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재의 상황에서는 각 기 의 기사색인의 , 원문구축 제공 황, 수집 정기간행물에 한 정보가 공유되지 않고 있어 기 간 기사색인 복이 이루어지 고 있다. 력기반 기사색인 구축 공유는 기 의 문성을 향상시키고 문분야에 한 체 계 인 장서개발, 계속 인 개정, 정기간행물 리스트 작성 등에 을 두어 각 기 의 특성 을 향상시키데 도움을 것이다. 둘째, 국회도서 의 원문 구축률이 30%, 국 립 앙도서 의 경우에도 50% 정도로 원문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 한 이용자의 면담 조사를 통해 기사색인 서비스에서 문 제공이 가장 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을 고려 할 때, 문의 효율 인 제공을 해서도 기 간의 력이 기사색인 서비스의 요한 성공요 인이 될 것으로 단된다. 그러나 력기반 통합은 국내의 실 상황 을 고려하여 볼 때 각 기 의 특성, 력체제, 노력, 시간 산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 다. 따라서 통합을 섣불리 추진하는 방안보다 는 단계별 추진으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기반환경 활용환경을 다지는 것이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기간행물 통합 목록의 구성 체계를 <그림 4>와 같이 제시한다. 의체를 구성하여 국립 앙도서 , 국회도서 , KERIS, KISTI가 력하는 방안으로 나갈 것을 제언한다. 20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그림 4>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통합 목록의 구성 체계 제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종합목록 시스템은 단 지 력 도서 뿐만 아니라 상용 데이터베이스 의 기사색인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종합목록을 통해, 정기간행물 기사색 인은 목록의 복성 지양, 기 의 특성 문 성 향상, 기 간의 상호 차제도를 확립하고, 불필요한 목록 생성을 지양하고 각 개별도서 이 다른 도서 과 구별되는 독자 (Unique) 정기간행물 장서구축에 을 둘 수 있어 정 기간행물 공동수집계획 체계를 수립하는 장기 장 을 수반할 수 있으며(Anderson 2008), 이용자 연구에서 밝 진 단일화된 통합 검색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5.2 메타데이터 표 국내에서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과 련하 여 메타데이터 표 에 한 연구가 활발히 진 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 정기 간행물 기사색인 메타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각 기 이 조 씩 상이한 메타데이터 포맷을 유지 하고 있었으며, 이는 서지메타데이터 요소뿐만 아니라 간략 정보 는 상세정보 검색에서 나 타나는 요소를 통해서도 악되었다(부록 1, 부록 2 참조). 를 들어, KERIS의 경우는 발 행처 URL, KCI 등재여부 등을, KISTI는 원문 형태(인쇄, 자, 인쇄 자), 자료유형( , 발표자료)를, DBpia는 UCI(디지털 콘텐츠 식별체계), 자료유형(학술 , 학술 회자료, 학술연구보고서, 문잡지, 국가지식-학술기사, 국가지식-학술정보), 출처분류(학회, 출 사, 연구기 , 정부기 ) 등을, OCLC, 워싱턴 학은 이용자 참여 서비스 (이용자 서평 이용 자 키워드, 소장기 식별자)를 제공하는 등 상 이한 메타데이터 포맷 메타데이터 값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악되었다. 한 DBpia를 제외하고는 문헌의 이용자 평가를 조력하는 추 가 콘텐츠 를 들어, 서평, 이용자 태그 등은 제공되지 않고 있었다. 한 국회도서 이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201 국립 앙도서 의 경우 재 MARC 형식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Dublin Core(DC)의 기본 서지데이터 요소에서 제공될 수 있는 발행처 URL이나 기사색인의 식별자, 는 자료유형 에 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이 게 메타데이터의 표 포맷이 부재한 상황은 콘텐 츠의 공유와 상호운용성 확보를 해하고 있으 며 이를 타개하기 해서는 정기간행물 기사색 인과 련 표 화된 메타데이터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제안된 메타데이터는 다음 <표 1>과 같다. 기사색인 고유의 식별자를 제공하거나 원문의 식별자, 발행처 URL, 자료유형, 출처 분류, 주 제어, 원문형태, 등재 여부 등의 메타데이터 요 소를 추가함으로써 기사색인 이용자의 근 활용도를 높일 것을 제안한다. 한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하여, 이용자 태그 나 이용자 서평을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한 자료유형에서 학술 , 학술 회자료, 학술연 구보고서, 문잡지, 시사교양지(주간지, 월간 지, 계간지) 등의 값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며, 출처분류에서도 정부기 , 연구기 , 학기 , 학회, 출 사 등을 값으로 고려할 수 있다. 특히 기사색인의 경우 국내 부분의 기 이 주제어 를 주제어 표목표에 의존하여 주제어 태그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KDC나 DDC의 청구기 호에 따라 주제 범 정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악되었는데 주제어를 제공함으로써 국회도서 기사색인 서비스의 특성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한 형식(format)에 있어서도 URL 자 료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는 DC기반의 XML 형식으로 변형할 것을 제안한다. XML 포맷으 정기간행물 기사 서지데이터요소 1. 표제 기사의 표 인 이름 2. 자 주된 책임 자 3. 자소속 주된 책임 자가 속해 있는 단체나 기 4. 부수 자 부수 인 책임을 갖는 개인 5. 명 기사가 수록된 명 6. 기사의 수록 치와 페이지 기사가 수록된 치 (권호) 페이지 7. ISSN 정기간행물 표 번호 8. 발행지 발행자나 발행처의 지역명 9. 발행자 발행자나 발행처의 이름 10. 발행일자 발행일자 11. 본문언어 기사의 주요 언어 12. 사항 정기간행물의 사항 13. 주제분야 KDC, DDC 기반 주제분야 14. 주제어 통제 주제어 15. 키워드 자나 색인자부여 비통제 주제어 16. 이용자 태그 이용자가 기사의 내용에 부여한 주제어 17. 서평 이용자가 기사에 해 작성한 서평 18. 록 (내용목차) 록이나 목차정보 19. 소장기 기사의 입수정보 는 원문제공기 20. 기사색인 식별자 기사색인 고유 식별자 21. 자원 식별자 기사의 고유 식별자 22. 발행처 URL 발행처 고유 URL 23. 자료 유형 기사의 자료 유형 24. 출처 유형 발행처 유형 25. 원문 형태 원문 형태(PDF, HTML, 인쇄) 26. 등재 여부 잡지의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여부 27. 원문보기 원문 입수 정보 <표 1>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데이터 요소 로 형식을 변형하는 것은 단지 MARC에서 제 공하지 않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는 장 외에도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 키고 서지시스템의 웹기반 통합 지향 측면에서 도 바람직하다(MARC AND SGML 2002). 2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더 효과 으로 메타데이터 의미를 표 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실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 지 데이터의 효율 인 송을 지향할 수 있다. 5.3 식별체계 메타데이터를 사용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자원의 리 이용을 해서는 기사와 기사 를 설명하는 기사색인 코드, 메타데이터 코드를 효과 으로 연결해야 할 체계가 요구된 다. 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발행자에 한 리가 요하며 이를 기사색인과 연결하는 것도 요하다. 재 국회도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그림 5>와 같이 기사색인 는 원 문에 한 식별자가 부과되지 않으므로, 이용 자가 검색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는 원문을 북마킹 (bookmarking) 하거나 장할 수 없 다. 이로 인해 이용자의 검색된 기사에 한 재 사용성을 효율 으로 조력하는데 방해가 되고 있다. 식별자는 본 연구에서 이용자 요구에서 악한 다른 시스템과의 정보 연계, 정보의 탐 색을 해서 불가피한 요소이다. 이러한 분석을 토 로 본 연구는 기사색인 메타데이터 코드 기사에 한 식별체계를 구축하고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식별자를 통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메타데이터의 효과 이며 효율 인 리가 가 능하게 된다. 메타데이터는 효과 이며 효율 인 정보자 원 리에 필수 인 체계이다. 식별체계는 이 에 더하여 메타데이터의 기능을 제고할 수 있 는 기반을 제공하며 나아가 정기간행물 기사색 인과 련된 모든 정보와 지식을 식별할 수 있 도록 하여 효과 이며 효율 인 기사색인의 활 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기 반환경 조성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림 5> 국회도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검색화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203 표 인 식별체계로써 URI가 있다. URI는 자원의 고유한 불변성 식별자로써 URI의 기능 이 제 로 활용되기 해서는 각 URI의 값을 실 제 자원과 연결된 URL로 변환시켜 주는 시스템 이 필요하다. 재 URI 변환시스템으로 가장 잘 알려진 시스템은 미국 CNRI(The 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에서 개발한 핸들(HANDLE)시스템이다. 한 한국정보사회 진흥원(NIA)에서 핸들과 유사한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디지털 콘텐츠 식별체계) 서버를 활발히 운 하고 있으며, 더블린코어에 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http형식의 URI 값을 제 공하는 형태로 속 인 URL이라는 개념의 PURL(Persistent URL)을 사용하고 있다(오삼 균 2002). 정기간행물과 련하여서는 KERIS 가 메타데이터정보의 고유식별자와 발행처 URL을 함께 제공하고, DBpia 역시 기사색인 에 UCI(디지털 콘텐츠 식별체계)를 제공하고 기사색인의 경우 발행처에 해서는 URL을 제 공하고 있으며, ERIC 데이터베이스는 PURL 을 기사색인에 제공하고 원문에 DOI(Digital Objective Identifier)를 제공하고 있으며, OCLC 는 PURL을 기사색인에 제공하여 고유 식별자 를 활용하여 오 액세스나 북마크 등 웹 자원으 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기 간행물 기사색인 식별자로써 한국문화콘텐츠진 흥원이 개발한 COI(Content Object Identifier), 국외 데이터베이스 업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 는 DOI, DBpia에서 사용 인 UCI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UCI는 디지털 콘텐츠의 온라인 유통에 있어 요구되는 디지털 객체의 식별을 해 개발된 식별체계로 문서 멀티미디어를 식별 상으 로 하고 있다. UCI는 총 기구인 한국정보사회 진흥원 아래 디지털 콘텐츠 등록 행 기 인 등록 리기 (Registration Agency)을 두고 디지털 콘텐츠 보유자로부터 콘텐츠를 등록 받 아, 해당 디지털 콘텐츠 요청 시 디지털 콘텐츠 의 치를 변환시스템을 통해 고정된 주소로써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식별 메타데이터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간략한 정 보를 제공하여 검색 편의를 도모하고 있으며 이 식별메타데이터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메타 데이터와 간단한 매핑 과정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COI는 디지털 콘텐츠의 작물 작 권 리를 식별하고 리하기 해 개발된 식별체계 로 창작정보, 표 정보, 디지털 형태의 작물, 실물 작물, 실물객체를 식별 상으로 하고 있다. COI의 식별 상은 다소 추상 인 상 까지도 포함하고 있음이 특징 이다. COI 한 UCI와 유사한 운 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 총 리기 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아래 등록 리기 을 두어 디지털 콘텐츠 보유자로 부터 콘텐츠를 등록 받아 변환시스템을 통해 고정된 주소로 이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COI 등록 리기 으 로는 도서 수집 콘텐츠를 해 국립 앙도서 의 선정이 완료되었다(COI Handbook 2006). DOI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로써 인터넷 문 서를 식별하고 리하기 해 개발된 식별체 계로 인터넷상의 디지털 콘텐츠의 치 변경 이나 시스템 변화와 무 한 디지털 콘텐츠의 구 인 식별체계이다. DOI는 Corport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aitves(CNRI)와 력 계에 있는 미국출 업 동조합에 의해 고 20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안되었으며 재 DOI 재단(International DOI foundation)에 의해 운 리되고 있다. 5.4 거 일 구축 재 국내 기 이 제공하는 그룹화는 아직 그 한계 을 지니고 있다. 재 자, 권호, 발 행처에 의해 그룹화(collocation)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 기 KERIS의 경우도 거 일의 구축 없이 그룹화를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같 은 인명, 같은 학술지, 같은 발행처가 존재할 경 우 이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이다. 한 자가 여러 이름으로 지칭될 경우 는 학술지나 발행처의 이름이 변 경될 경우 이를 검색에 반 하며 그룹화(collo- cation)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주제명의 경우에도 동일한 한계 이 있는 것 으로 악되는데 재 국내 기 에서 제공하는 주제의 검색 그룹화는 KDC나 DDC에 의존 하여 주제 범 를 제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 다. 그러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문정보를 찾는 경우와 많은 이용자들은 이미 주제 분야 에 한 반 인 이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용자는 넓은 주제 범 를 넘어 상 세 주제를 제공해주기를 바라는 정보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반 하기 하여 주제표 목에 의한 주제어 부여가 필요하다. 재 국회 도서 에 경우 이미 2000년 시소러스를 개 발하고 한 차례 그 수정이 이루어졌으나, 이러 한 시소러스가 기사색인에 있어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악되었으므로 재 국내에 서 주제명 표목표에 따른 주제어 부여를 제공 하고 있는 기 은 거의 악되지 않았다. <그림 6>은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ERIC) 데이터베이스의 경우로, 교육 시소러스(ERIC Thesaurus)를 개발, 정기간행 물 기사에 주제어로 부여하고 있는 를 보여 주고 있다. 이미 개발된 시소러스의 극 인 활용은 물 론 시소러스가 계속 인 유용성을 가지기 해 선 지속 인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림 6> ERIC 시소러스 사용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205 5.5 다각 정보 탐색 기능 정기간행물 기사색인과 련하여 키워드 검 색이 기본검색, 상세검색 등으로 주로 사용되 고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발행처, 간행물, 주제별 라우징 기능 ∙ 자, 게재지, 발행처, 주제, 권호별 그룹화 기능 ∙게재지, 발행년도, 연 도, 자, 제목별 결과 내 재정렬 기능 ∙이용자 태그, 인기 간행물 인기 검색어, 련 검색어, 인기 논문, 심학회, 이용자 서평, 검색어 제공, 참고문헌/인용문헌/ 련문헌 링크 기능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통해 이용자 검색을 지원하고 있다. 한 검색 후 기능으로 스크랩, 즐겨찾기, 검색엔진 연동, 문용어 사 , 문자 송, 서지사항 장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여겨 볼 것은 이용자 연구에서 밝 졌던 기사색인 정보의 주요 요소인 다른 콘텐츠의 재검색 는 검색 제한을 가능하게 하 는 “다각 탐색 능력”인데 이는 Connoway (2007)의 연구 본 연구의 이용자 요구 분석 에서도 입증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주요 요소이기 때문이다. 다음 <그림 7>에서 보 이는 바와 같이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학, 워 싱턴 학, OCLC가 패싯 라우징 시스템을 도 입하여 기존 발행처, 수록 잡지, 자, 주제명에 서만 그룹화를 제공하던 것을 확장하여, 치, 발행 연도, 언어 등 검색된 기사 탐색에 도움이 될 만한 요소를 추출 패싯을 사용하여 검색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 이를 통해 검색어와 련된 다른 검색어, 그리고 그 에 해당하는 기사의 수를 한 에 볼 수 있어, 이용자의 검색 확장 제한을 용이하게 하 다. 를 들어서, ‘환율’이라는 같은 검색어를 넣었을 때, <그림 7>에 보이는 KERIS화면에서 는 발행 잡지( : 국민경제연구)를 클릭하게 <그림 7> KERIS 검색 제한/확장 기능 2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그림 8> OCLC 패싯기반 검색 제한/확장 기능 되면 발행 잡지에 한 색인이 나오게 되는데 반해, <그림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OCLC화 면에서는 자명( : Rose)를 클릭하게 되면 환율과 Rose와 연 된 기사가 검색되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각 탐색을 향상시키 기 해 패싯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데 패싯 기반 검색이 주는 유용성은 기존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Yee, Swearingen, Li와 Hearst (2003)는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패싯 검색 시 스템의 유용성 평가에서 패싯 검색이 검색 효 과성, 높은 재 률, 검색의 용이성, 검색 결과 학습효과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고 밝혔으며, Santos(2008)의 연구에서도 이용자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평가를 바탕으로 패싯 기반 요리법 사이트와 키워드 검색 사이트를 비교한 결과, 패싯 기반 검색이 키워드 검색에 비해 유용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목록 검색 시스템 유용성 평가에서도 노스캐롤라이나 주 립 학도서 의 보고서(2008)에 따르면 검색 창에 의존한 기존의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보다 패싯 기반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가 더 나은 유 용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용자는 검색결과를 확장 는 제한할 수 있다 는 에서 패싯 기반 검색을 선호하 으며 주 제, 포맷, 이용가능 도서 , 출 가능성의 패싯 에 해서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 게 패싯 기반 검색을 정기간행물 기사색 인에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다각 탐색기능을 지원하기 해서는 먼 메타데이터 표 , 식 별자, 거 일을 기반으로 하여 자료유형(학 술 , 학술 회, 학술 연구보고서), 원문형태 (인쇄, HTML, PDF), 등재 여부, 검색 히스토 리, 주제, 출처 분류(학회, 출 사, 연구기 , 정 부기 ) 등에 한 정보 근 이 추가로 제공 되어야 하며, 이에 한 정보를 패싯(facet) 검 색을 사용, 그룹화(collocation)를 통해 정보의 제한 확장을 지원하고 정보의 식별을 향상 시키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207 5.6 이용자 참여 서비스 확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에서의 이용자 참여 서 비스는 OCLC를 비롯한 국외 기 에서 이용자 태깅 이용자 서평 등록을 제공하는 것은 물 론, KISTI와 같은 국내기 에서도 이용자 태 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국내외 기 에서 사 용되기 시작한 서비스이다. <그림 9>에서 처럼 컴퓨터공학, 기계공학, 기 자 분야의 데이터베이스인 INSPEC에서 이용자 참여 서비스를 활용, 이용자가 논문에 한 키워드를 생성하고 이용자가 생성한 키워 드를 검색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10> 처럼 이용자가 논문에 태그를 입력 할 수 있고, 이용자들이 논문, 정보에 메모 한 태그의 집합을 보여 으로써 <그림 9>와 같 이 태깅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KISTI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이용자 태킹을 허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으나, 이용자 서평 등을 제공하는 차원으로는 확장되지 않고 있으며, KERIS, DBpia, KISS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을 제 공하는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에는 이 용자 참여 서비스를 반 하지 않고 있다. <그림 9> INSPEC 태그 검색화면 <그림 10> INSPEC 이용자 태그 입력화면 2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시맨틱 기술의 발 과 웹2.0의 확산으로 이 용자 참여를 바탕으로 한 정보 서비스의 큰 흐 름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용자 간 정보 교류를 도와주고 진시키는 소 트웨어의 총칭인 소 셜 소 트웨어(social software), 정보자원에 한 이용자 분류의 총칭인 소셜 태킹(social tagging), 정보 구성에 의 의도를 반 해 야 한다는 개념의 소셜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social information architecture) 등 집단지성 이 고려되는 기술 상에 집단의 의미를 부여하 여 ‘소셜(social)'이란 어두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차세 웹의 흐름이 이용자 심에서 참 여하는 으로 변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고 할 수 있다. 이용자의 잠재된 요구를 충족시 키기 해서는 표출된 의 요구를 반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용자 참여 서비스가 정보 검색 탐색에 본격 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아마존이 사 용자 리뷰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부터 다. 아 마존에서 사용자 리뷰는 페이지의 맨 하단에 치함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자가 사용자 리뷰 를 참고한다는 것은 사용자 리뷰가 이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콘텐트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개개인의 독립 인 활동이 정보 탐색 식별 에 요한 자원으로 작용을 하게 되었다. 즉, 정 보의 홍수 속에서 자원 는 상품에 한 경험 을 가지고 있는 개개인의 참여로 만들어지는 정보는 더욱 유용해질 것이며 이용자가 제공하 는 정보는 이용자에게 개인별 맞춤형 추천 서 비스 기능을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발 이 된 다. 이로 인해 웹 2.0는 빠르게 확산해 나갈 것 이라고 견하고 있다(Porter 2008). 이용자 참여 서비스는 개인 정보 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의 도구로 이용자가 자신들이 검색한 정보를 재사용하기 한 도구 로 시작되었으나 이용자는 장서, 이미지, 상품에 한 심을 공유함으로서 그들이 속한 는 속 하고자 하는 커뮤니티의 구성원으로서 역동 (dynamic)이며 방향 (interactive)으로 활 동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이는 역 시 도서 서비스 제공에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Spiteri 2009). 정기간행물 기사색인과 련한 연구 (Connaway 2007)에서도 이용자는 자료에 한 다른 이용자들의 서평 등의 정보가 검색 뿐 아니라 정보의 식별에 도움 된다고 이용자 연 구 연구를 통해 밝힌바 있다. 한 이용자참여 서비스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정보의 유통에 도 도움을 될 것이다. 이러한 의 요구를 정 기간행물 기사색인에 반 하는 것은 이용자 참 여 서비스를 통해 그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 이용자참여 서비스가 정기간행물 기사색 인에 용됨으로써 가져올 장 은 다음과 같이 열거될 수 있다(Kemp 2008). 첫째, 정기간행 물 기사색인에 있어서 기사색인 작성자의 지 능력에만 의존하는 주제어 부여 주제어 검 색을 보완한다. 둘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주 제어 부여에 통제주제어휘(시소러스)에만 의 존할 시, 통제주제어휘와 이용자 어휘가 일치 하지 않음으로 인한 검색상의 혼란을 보완한다. 셋째, 학문분야의 최신의 어휘를 이용자가 사 용한 언어를 통해 악 가능하며, 이를 통해 통 제주제어휘(시소러스)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기사색인으로 부여할 수 없는 의미 인 데이터(서평)를 제공함으로써, 기사에 한 상세한 정보제공이 가능이 가능하며, 이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209 이용자의 정보의 식별을 돕는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참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 진 기사 색인 서비스의 주요요소인 색인의 최신성을 도 모한다. 국내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역에서의 이 용자 참여 서비스는 에서 악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는 이용자 태깅 기능을 제공하는 정도 와 국외에서는 이용자 태깅 서평을 제공하 는 정도에서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용자 태 깅 서평을 통한 정보의 검색 식별 기능을 넘어 Spiteri(2009)가 제안한 것과 같이 이용자 가 커뮤니티에 역동 으로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이용자 참 여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에게 심분야의 정기 간행물 기사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역에서의 이 용자 참여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공 될 수 있다. ∙이용자 태깅: 이용자가 정기간행물 기사 색인에 태깅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이를 검색에 활용하도록 하는 서비스 ∙이용자 서평: 이용자가 정기간행물 기사 색인에 서평을 작성하는 것을 허용하여 문가 는 사서에 의해 주어지는 정보 가 아닌 다른 이용자의 의견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이용자 심 분야 등록 서비스: 이용자가 정기간행물과 련 심 분야를 등록함으 로서 이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 고 심 커뮤니티 활동을 돕는 서비스 ∙북마킹 서비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이나 원문을 북마킹함으로써 개인정보 리 정보의 재사용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추천 서비스: 이용자의 심 분야 등록 정 보, 기사색인 원문의 북마킹, 다운로드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기간행물 기사를 제안하는 서비스 Web 2.0의 잠재성을 고려할 때 국내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은 다양한 이용자 참여서비스를 제공하여, 커뮤니티를 활용한 업작업, 정보공 유 등 다양한 지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집단 지 활동은 이용 서비스의 측면에서는, 정보 의 재생산에 기여하여 의미론 으로 보다 의미 있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기반을 마련 할 것이다. 한 업무 지원 서비스의 측면에서 는 기사색인을 기사색인 담당자 는 목록 생 성자만 의지하는 시스템을 확 하여, 기사색인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여 수 있을 것며, 나 아가 이용자의 정보행태를 도서 에 반 함으 로써 이용자가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 는 검색 식별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그 의의 가 있다고 할 수 있다. 6. 결론 제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양은 빠르게 증가하 고 있다. 학술 연구개발 분야의 출간물들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더미를 이용자들은 매일 마주치게 된다. 국내에서 생 산되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은 국가의 요한 지 자산으로써 이용자들이 필요한 정보에 해 신속하고 효율 으로 근할 수 있도록 하 2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동기 아래 본 연구에서 는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평가 발 방향을 제시하기 하여 문헌조사를 비롯 하여 이용자요구조사, 국내외 기사색인 기 조사를 진행하 다. 본 연구는 이용자요구조사를 통해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이 갖추어야 할 요소를 분석하 고, 국내외 기 조사를 통해 재 국내 정 기간행물 기사색인의 황을 악하 다. 이 를 통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의 심리스 (seamless)한 제공을 강조하 다. 이용자는 여 러 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기사색 인을 검색할 수 있는 정보의 게이트웨이, 원문 제공기 으로의 링킹, 다른 이용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 정보의 검색 식별, 커뮤니티의 구성원으로서의 활동, 이용자의 심에 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유연하 고 효율 인 정보의 근 사용 환경이 요구 됨을 악하 다. 이를 효과 으로 가시화하기 한 체계 인 요소로서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 색인 서비스 구축, 메타데이터 표 , 거 일, 이용자 참여 서비스, 패싯 기반 다각 정보 탐 색 기능, 식별체계 구축을 제시하 다. 본 연구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국내외 도 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국내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의 황을 악함으로써, 정기간 행물 기사색인의 요성을 강조하고 서비스 제 공에 요구되는 요소의 향상 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련 연구에 도움을 가능성을 제시했 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메타데이터는 표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기 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이용자 평가 색인 용을 통해 평 가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기 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에 요구되는 요소들은 향후 연구를 통해 활용 방안에 해서 추후 논 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고 만. 2002. ꡔ 문정보 통합센터로서의 국회도서 ꡕ. 국회도서 50년사, 서울: 국회도서 , 377-385. [2] 오삼균. 2002. 시멘틱웹 기술과 활용방안. 정보 리학회지 , 19(4): 297-319. [3] 윤구호. 2001. ꡔ색인․ 록ꡕ. 서울: 한국도서 회. [4] 윤정옥. 2003. 연속간행물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코드 품질평가.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37(1): 27-42. [5] 하우정. 2001. ꡔH. W. Wilson사 색인의 변천과 발 에 한 연구ꡕ. 계명 학교 석사학 논문. 구: 계명 학교. [6] 한종엽. 2000. ꡔ연속간행물 기사DB의 서지데이터요소 표 화연구ꡕ. 앙 박사학 논문. 서울: 앙 학교.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211 [7] COI 핸드북: 문화콘텐츠 식별체계 사업. 2006.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8] Anderson, R. 2008. “Future-Proofing the Library: Strategies for Acquisitions, Cataloging, and Collection Development.” The Serials Librarian, 55(4): 560-567. [9] Connaway, L. S. 2007. “Mountains, Valleys and Pathways: Serials Users' Needs and Steps to Meet Them-Part 1." The Serials Librarian, 52(1/2): 223-236. [10] Litteltree, S. 2008. Endeca Catalog Usability Test. . [11] Nisogner, E. 2008. “The 80/20 Rule and Core Journals.” The Serials Librarian, 55(1/2): 62-84. [12] Scherlen, A., 2004. “Courage of Our Convictions: Making Difficult Decisions About Serials Collections." Serials Review, 30(2): 117-121. [13] Kemp, R. 2008. “Catalog/Cataloging Changes and Web 2.0 Functionality: New Directions for Serials." The Serials Librarian, 53(4): 91-112. [14] Porter, J. 2008. ꡔDesining for the social webꡕ. Berkeley, CA: New Riders. [15] Reynolds, R. R. 2007. “Mountains, Valleys and Pathways: Serials Users' Needs and Steps to Meet Them-Part 2." The Serials Librarian, 52(1/2): 237-249. [16] Santos, A. 2008. Clustering and Faceted Search. . [17] Spiteri, L. F. 2009. “The Impact of Social Cataloging Sites on the Construction of Bibliographic Records in the Public Library Catalog."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 52-73. [18] Stephens, D., Lott, C., and Weston, B. 2001. “Prioritizing Periodicals: A Web-based Approach to Gathering Faculty Advice on Journal Subscriptions." The Serials Librarian, 40(3/4): 369-373. [19] Yee, K-P., Swearingen, K., Li, K., and Hearst, M. 2003. “Faceted Metadata for Image Search and Browsing." Proceedings of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401-408. . [20] OCLC Success Story: University of Washington Libraries. . • 국문 참고자료의 영어 표기 (English translation / romanization of references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1] Young Man Ko. 2002. “Jeonmunjeongbo Tonghapsenteoroseoui National Assembly Library” in 2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National Assembly Library 50nyeonsa. 377-385. Seoul: National Assembly Library. [2] Sam Gyun Oh. 2002. “The Semantic Web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9(4): 297-319. [3] Koo-ho Yoon. 2001. Saegin․Chorok.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4] Cheong-Ok Yoon. 2003.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Records of the Serials Union Catalog Datab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1): 27-42. [5] Woo Jung Ha. 2001. A study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wilson periodical indexes. Graduate thesis, Keimyung University. [6] Jong-Yup Han. 2000. A Study on standards for bibliographic data elements of the articles in serials. Ph.D. diss,, ChungAng University. [7] Korea Culture and Content Agency. COI Handbook: Munhwa contents Sikbyeolchegye Saeop. 2006. Seoul: Korea Culture and Content Agency. .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황 발 방향에 한 연구 213 국내외 기사색인 서지데이터요소 입력 서지요소 간략정보 상세정보 국회도서 기사명, 자명, 입력일자, 본문언어, 발행사항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청구기호, 수록사항(수록지명, 권호, 쪽, ISSN) 기사명, 자명, 발행년도, 수록사항 (수록지명, 권호, 쪽, ISSN) 발행사 항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청구 기호, 원문, 목차, 록, 원문 기사명, 자명, 수록지명 (수록지명, 권호, 쪽, ISSN), 발행사항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청구기호, 목차, 록보기 (제한된 자료에 한하여), 원문 국립 앙 도서 제목, 자, 발행자, 발행년, 수록잡지 명, 언어, 청구기호, 형태사항, 청구기 호, 키워드 표제, 자, 수록잡지명, 발행자, 발 행년도, 청구기호, 소장처, 목차, 록, 원문 표제/논문명, 자, 주기사항, 수록 잡지명, 청구기호, 소장처, 록 KISTI 논문명, 등논문명, 자, 자료유형, 이용가능형태, 게재지명, 발행기 , 발행일, 언어, 권호정보, 페이지, 주제 어, 소장기 [사용자시스템의 경우] 논문명, 자명, 게재지명, 권호수, 발행년도, 페이지(시작-끝) * 주제분야 련 검색어 제공 논문명, 등논문명, 자, 자료유형, 이용가능형태, 게재지명, 발행기 , 발행일, 언어, 권호정보, 페이지, 주제 어, 록 *원문 근경로 제공 한국학술정보 (KISS) 간행물명, ISSN, E-ISSN, 자사항, 발행처, 언어, 제공시작년, 제공마감 년, 주기, 주제명, 권호, 기사명 기사명, 자, 발행처, 간행물명, 연 도, 원문보기 기사명, 문기사명, 자, 발행년도, 발행기 , 발행정보(간행물명, 권호, 시작페이지, 종료페이지, 총페이지), 주제키워드 한국교육학술 정보원 (KERIS) 논문명, 문논문명, 자명, 학술지 명, 권호사항, 발행처, 발행처URL, 자 료유형, 수록면(시작페이지, 종료페 이지, 총페이지), 언어, 발행년도, KDC, 등재정보, 주제어, 고유URL, 록, 목차, 원문보기, DDC, ISSN, 후 속 학술지명, 인쇄 소장기 , 발 행국, 간기 학술지논문명, 문논문명, 자,발 행정보(학술지명, 권호, 연도), KCI 등재정보, 원문보기, 록보기, 목차 보기 논문명, 문논문명, 자명, 학술지 명, 권호사항, 발행처, 발행처URL, 자료유형, 수록면(시작페이지, 종료 페이지, 총페이지), 언어, 발행년도, KDC, 등재정보, 주제어, 고유URL, 록, 목차, 원문보기, DDC, ISSN, 후속 학술지명, 인쇄 소장기 , 발행국, 간기 DBpia 제목, 어제목, 자, 부 자, 수록 페 이지, 총페이지 수, 간행물명, 발행기 , 간행물 유형, 언어, 일형식, KORMARC, DBPIA고유번호( 리 식별자), UCI, 목차, 국․ 문 록, 국‧ 문 키워드, 주제분류, 세주제분 류, 간행물 유형분류, 출처분류, 발행 기간, 사항, ISSN/ISBN, 발행주기 제목, 자, 부 자, 발행기 , 잡지 명, 사항, 발행년월, 수록 페이지, 총 페이지 수, 주제분야 어제목, 자, 부 자, 수록 페이 지, 총페이지 수, 간행물명, 발행기 , 간행물 유형, 언어, 일형식, KORMARC, DBPIA고유번호, UCI, 목차, 국․ 문 록, 국․ 문 키워드 OCLC WorldCat 기사명, 자명, 사용자평가도, 자료 유형, 언어, 수록사항( 명, 권호, 발행년, 쪽), 출 사항(발행지, 발행 처, 발행처정보), 색인데이터베이스, ISSN, OCLC Number, 소장기 , Detatils( 록), Reviews, Tags 기사명, 자명, 자료유형, 언어, 수 록사항( 명, 권호, 발행년, 쪽), 출 사항(발행지, 발행처, 발행처 정보), 색인데이터베이스 기사명, 자명, 사용자평가도, 자료 유형, 언어, 수록사항( 명, 권호, 발행년, 쪽), 출 사항(발행지, 발행 처, 발행처정보), 색인데이터베이스, ISSN, OCLC Number, 소장기 , Detatils( 록), Reviews, Tags 워싱턴 학교 (시애틀) UW WorldCat 기사명, 자명, 사용자평가도, 자료 유형, 언어, 수록사항( 명, 권호, 발행년, 쪽), 출 사항(발행지, 발행 처, 발행처정보), 색인데이터베이스, ISSN, OCLC Number, 소장기 , Detatils( 록), Reviews, Tags 기사명, 자명, 자료유형, 언어, 수 록사항( 명, 권호, 발행년, 쪽), 출 사항(발행지, 발행처, 발행처 정보), 색인데이터베이스 기사명, 자명, 사용자평가도, 자료 유형, 언어, 수록사항( 명, 권호, 발행년, 쪽), 출 사항(발행지, 발행 처, 발행처정보), 색인데이터베이스, ISSN, OCLC Number, 소장기 , Detatils( 록), Reviews, Tags * LC와 UNC의 경우 단 까지만 검색을 제공 그러므로 기사색인 메타데이터 비교표에서는 제외. <부록 1> 국내외 기사색인별 간략/상세정보 서지데이터 요소 분석 2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 2009 연속간행물 기사 서지데이터요소 기사색인 국회 도서 KISTI KERIS 국립 앙 도서 KISS DBpia OCLC LC UNC UW EBSCO Host 1. 표제 ○ ○ ○ ○ ○ ○ ○ ○ ○ 2. 자 ○ ○ ○ ○ ○ ○ ○ ○ ○ 3. 자소속 ○ 4. 부수 자 ○ ○ ○ ○ 5. 명 ○ ○ ○ ○ ○ ○ ○ ○ ○ 6. 기사의 수록 치 와 페이지 ○ ○ ○ ○ ○ ○ ○ ○ ○ 7. ISSN ○ ○ ○ ○ ○ ○ ○ ○ ○ 8. 발행지 ○ ○ ○ ○ ○ ○ ○ 9. 발행자 ○ ○ ○ ○ ○ ○ ○ ○ ○ 10. 발행일자 ○ ○ ○ ○ ○ ○ ○ ○ ○ 11. 본문언어 ○ ○ ○ ○ ○ ○ ○ 12. 사항 ○ ○ ○ 13. 키워드 ○ ○ ○ ○ ○ ○ ○ ○ ○ 14. 주제분야 ○ ○ ○ 15. 록(내용목차) ○ ○ ○ ○ ○ ○ ○ ○ 16. 소장기 ○ ○ ○ ○ 17. 원문보기 ○ ○ ○ ○ ○ ○ ○ ○ ○ 18. DC 지원 (XML 기반) ○ ○ <부록 2> 국내외 기사색인별 서지메타데이터 요소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