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0352D30333328303334292D2D30312DB9DABCBCB9CC2CB1E8BEE7BFEC2E687770>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ity about Utilization and Contribution to the Union Catalog 조 재 인 (Jane Cho)** 록 종합목록 활성화를 해서는 서지네트워크 참여 도서 의 공동체 의식과 력 정신이 가장 요하겠으나, 기여에 한 한 보상은 참여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종합목록의 기여보상제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학도서 종합목록 참여 도서 의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를 탐사 으로 분석하 다. 연구의 내용을 구체 으로 기술하면 첫째,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종합목록 참여 도서 의 기여 활동과 이용도에 한 반 인 황을 악해 보며, 둘째, 피어슨 상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통해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간에 어떠한 상 계가 존재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셋째, 계층 군집 분석(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 참여 기 을 유형화하여 기여 집단의 규모, 특수 공헌 집단의 존재 여부 등을 분석하 다. ABSTRACT In order to re-activation of shared cataloging, spirit of community and cooperation are most needed. But proper compensation about contribution would motivate. Through representing basic data for making compensation policy about university library’s share cataloging system, this study analyzes activities about contribution and utilization of participated libraries. To put it concretely, this study considers overall status of contribution and utilization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zes relationship between both sides. Furthermore through clustering participating library, this study brightened the libraries that ought to be compensated and who would be need to be specially rewarded. And draw the libraries that need to be paid and need to be led for active participation of shared cataloging. 키워드: 종합목록, 기여보상제도, UNICAT, OCLC Union Database, Compensation Policy about Share Catalogue, UNICAT, OCLC * ** 이 연구는 2014년 인천 학교 자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인천 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chojane123@naver.com) 논문 수일자 : 2015년 2월 22일 논문심사일자 : 2015년 3월 3일 게재확정일자 : 2015년 3월 13일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1): 35-50, 2015.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1.035] 3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필요성 종합목록은 서지네트워크를 통해 도서 간 소장 자원을 공유하고 목록 작성 업무를 공동 으로 수행하기 하여 구축․운 되고 있다. 참 여 도서 은 종합목록에 구축된 서지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자 의 목록 작성에 활용하는 한 편, 자 소장 여부에 한 데이터를 종합목록 에 송부함으로써, 상호 차 원문복사를 해 필요한 소재 정보를 구축하게 된다. 한 신규 서지데이터를 종합목록에 송부하여 타 도서 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종합목록에 존재하는 불완 한 서지를 수정, 보완함으로써 품질 제고에도 기여하게 된다. 40여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72,000개의 도 서 이 참여하고 있는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의 WorldCat은 3억여건의 서 지 코드를 보유하고 있어, 세계 으로 가장 방 한 종합목록을 구축․운 하고 있다. 그 밖 에, 호주, 일본, 국 등에서도 국가 단 종합목 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 호 차와 공동목록 서비스를 운 하고 있다. 우 리나라에서도 1990년 후반 국 학 기반 종 합목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2014년 10월 재까지 738개 기 이 참여하고 있으며, 구축 된 데이터 량은 서지 코드 1,000만 건, 소장 코드 5,094만 건에 이른다. 서지네트워크는 공동체 의식과 력 정신을 기반으로 유지․운 된다. 따라서 참여 기 모 두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자발 력을 통해 조화로운 발 을 도모해야 한다. 그러나 서지네트워크에는 소수의 기여하는 도 서 과 일방 으로 혜택을 받아가는 도서 이 공존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 반 이상의 참여 기 이 구축 활동에는 참여하 지 않고 일방 으로 서지 코드만을 다운로드 받아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체 서지 코드 의 50%가 단지 20개의 도서 에 의해 구축되고 있어, 심각한 양극화 상이 지 되고 있다. 따 라서 일부 해외의 서지네트워크에서는 기여 도 서 의 공헌을 인정하여 히 보상할 뿐 아니 라, 지속 인 신규 서지 코드 생성과 품질 유 지에 동기를 부여하기 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 여보상제도를 운 하거나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신규 서지 코드 생성과 품질 제고를 하여 한국의 학도서 종합목록에도 기여보상제도가 논의될 수 있다 는 제하에 학도서 종합목록 참여 도서 의 기여 활동 이용 정도를 실증 으로 악 하고 참여 도서 을 유형화해 본다. 1.2 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을 구체 으로 기술하면 다음 과 같다. 첫 번째로 학도서 종합목록 참여도서 의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에 한 반 인 황을 악해 본다. 얼마나 많은 도서 이 종합 목록을 실제 으로 활용하 으며, 얼마나 많은 도서 이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기술 통계와 빈도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두 번째로 종합목록 참여 도서 의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품질제고와 같은 기여 활동과 이 용 정도간의 계를 피어슨 상 계수(Pearson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37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살펴, 기여와 이용도간에 어떠한 상 계가 있는지 악해 본다. 세 번째로 계층 군집 분석을 통하여 참여 기 을 유형화하고 기술통계와 일원분산분석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을 통해 군집의 특징을 분석해 본다. 기여 집단 의 규모, 특수 공헌 집단의 존재 여부를 분석할 뿐 아니라, 수혜 집단, 참여 유도가 필요한 집단 의 규모를 악하 다. 2. 종합목록 황과 기여보상제도 2.1 한국의 학도서 종합목록 황과 특징 한국의 학도서 종합목록은 육안 식별 기 반의 규모 데이터베이스 정비, 회원 등 제 운 , 상시 품질 검증 체계 도입으로 인해 안정 기에 어들었다. 더구나 참여 기 이 꾸 히 확 되어, 근래에는 736개 기 을 포 하는 거 서지네트워크로 성장하게 되었다. 종합목록 은 국립 앙도서 의 국가 서지, 한국출 진흥 원의 신간 서지와 연동되어 일선 도서 의 목 록 작성 작업 효율을 도모하고 있으며, 상호 차/문헌복사 서비스를 한 근간이 되고 있다. (조재인 2012). 종합목록의 서지는 연간 20-40만 건씩 꾸 히 되어 2014년 8월말 기 1,000만 여건에 이르며, 소장정보도 5,094만 건에 이른다(RISS Unicat Hompage 2014). 이용 황을 보면, 연 간 검색 400-600만 건, 다운로드도 80-110만 건 에 이르고 있다(장 연 2014). 2014년 10월 재, 공동목록 회원 도서 은 4년제 학도서 이 부분(306개)이지만 2년 제 학도서 도 129개 이 참여하고 있으며, 그 밖에 문 공공도서 301개가 참여하고 있다. 회원은 가, 나, 다 3종류로 구분되며, 모든 등 의 회원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가회원은 종합목록에 신규 서지 코드와 소장 코드를 모 두 구축하는 도서 으로 서지 코드와 소장 코 드를 온라인으로 한 건씩 실시간으로 업로드하 거나, 일정 기간 축 한 후에 배치로 송부하여 구축할 수 있다. 총 736개 기 가회원 도서 은 176개가 등록되어 있으며, 데이터 업로드 에 한 특별한 보상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 편 나회원 도서 은 소장 코드만을 종합목록 에 구축하는 도서 으로 247개 도서 에 해당되 는데, 상호 차서비스에 참여하기 해서는 나 회원 이상으로 종합목록에 가입되어야 한다. 한 편,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다회원 도서 은 모두 313개 기 으로 특별한 의무 사항과 비용 부과 없이 데이터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받아 카 피카탈로깅에 활용할 수 있다. 2.2 해외 종합목록 서비스의 기여보상제도 해외의 표 인 종합목록 서비스는 OCLC의 WorldCat, NII(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의 NACSIS CAT, 호주 국립도서 의 ANBD (Australian National Bibliographic Database) 를 들 수 있다. OCLC의 WorldCat(www.worldcat. org)은 세계 72,000개의 도서 이 참여하고 3 억건 이상의 서지데이터가 구축된 가장 방 한 종 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이다. 한 NII의 NACSIS CAT(ci.nii.ac.jp/books)은 2014년 재 1,259 3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개 도서 이 참여하여 1,000만여 건의 서지가 구축된 일본 최 의 종합목록이며, ANBD(www. nla.gov.au/librariesaustralia/about/anbd)는 학, 공공도서 을 모두 망라한 5,000만 건의 서지가 구축된 호주 국가 종합목록이다. 각 국가의 서비스마다 조 다른 회원제 운 방식과 기여 보상에 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 일본의 NACSIS CAT은 우리와 비슷하 게 무료로 운 되면서 아직까지 기여보상제도 를 운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국립 학 12개, 사립 학 6개를 심으로 생성된 신규 코드가 체의 49.70%를 차지할 정도로 신규 코드 생성 기 이 제한되어 있어(佐藤義則 2011), 신규 코드 생성 진을 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NII는 이를 해 데이터 제공 기 에게 공헌도에 합한 칭호를 부여하고 표창 할 뿐 아니라, 일방 으로 혜택을 받아가는 기 에게 가를 요구할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國立 情報學硏究所 2009). 한편, 우리와 일본처럼 기여보상제도를 운 하지 않으면서 회원 기 에게 비용을 징수하는 경우도 있다. 호주국립도서 은 종에 따라 조 씩 다른 멤버쉽 비용을 부과하고 있는데, 학 도서 의 경우, 개별 도서 의 총 산 비 일정 비율이 회비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걷어진 회 비는 종합목록 운 과 연구 개발 등에 투입될 뿐, 기여 활동에 한 보상으로는 지출되고 있지 않 다. 호주 국립도서 은 데이터를 업로드 하는 기 여 행 는 순수한 사 정신으로 이루어지고 있 을 뿐, 기여 활동에 한 보상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Library Austrailia 2013). 마지막으로 OCLC는 호주국립도서 과 같 이 요 을 징수하고 있으나 이런 방식으로 형 성된 재원의 많은 부분이 기여에 한 보상으 로 제공되고 있다. OCLC는 2012년에 $22.4 million을 기여 도서 에 보상했고, 2011년에는 $19.8 million, 2010년에는 $19.6 million을 각 각 보상해 왔다. 기여의 유형은 서지 코드 생 성, 서지 코드 수정, 소장 코드 제거와 그 밖 에 상호 차를 통한 자료 제공 등이 포함되는데, 체 보상액의 46%인 $10,349가 서지 코드 작성에, 33%인 $7,302가 코드 수정 소장 정보 구축에 제공되어져 왔다. 체 회원 기 40%의 기 이 기여에 한 보상 을 제공받 은 셈이며, 2012년에는 0.5%인 100개 도서 이 OCLC에 지불하는 연간 이용료보다 보상 을 더 많이 받아갔다(OCLC 2013). 2014년 6월부 터는 Global Advisory Group on Credits의 제 안에 의해 보상제도 운 방식을 트랜젝션 방식 에서 정액제(flat-rate) 방식으로 환함으로써 보다 극 으로 참여 도서 들의 기여를 보상 할 계획이라고 한다(Goodson 2015). 이와 같이 세계 으로 가장 큰 향력을 가진 OCLC는 거둬드린 수익의 반 가까이를 보상 제도로 환 원하고 있다. OCLC는 보상 자체가 공유와 기 여를 한 정신에 앞서진 않지만, 도서 들에게 동기 부여가 되고 있을 뿐 아니라, 참여 도서 입장에서 이용료를 감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 다(OCLC 2013).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종합목록 회원 기 의 참여 행태 를 이해하기 하여 2014년 10월에 학술정보통 계시스템(rinfo.mest.go.kr)에 가장 최근 데이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39 터로 구축된 종합목록 공동활용 통계를 수집하 다. 종합목록 공동 활용 통계의 조사 년도는 2013년이며, 자료기 일은 2012년 3월 1일이 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 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여 활동’은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품질제고 건수로 설정하고, ‘이 용 정도’는 검색 건수로 정의하 다. 서지 구축 은 온라인 는 배치로 학도서 이 업로드한 데이터가 복 알고리즘과 서지교체 알고리즘 에 의해 종합목록상에 신규 서지로 채택된 경우 를 의미하며, 소장구축은 자 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에 한 정보를 종합목록에 업로드함으로 써 상호 차를 해 필요한 소재 정보로 표시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서지품질제고건수 는 서지수정, 서지삭제, 서지통합 건수를 모두 합산한 데이터로 사서가 온라인으로 종합목록 상에 존재하는 서지의 품질을 제고하거나 사서 가 발견한 복 서지를 통합하는 순수한 기여 활동을 의미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차를 통해 분 석하 으며, 분석 도구는 SPSS 21을 활용하 다. 첫 번째, 참여 도서 의 반 인 황을 살 펴보고,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품질 제고, 검 색 건수로 구분하여 기 통계와 빈도분석을 실 시해 반 인 실태를 악해 본다. 두 번째, ‘기여 활동’ 간의 상 성을 악하기 하여 서지구축과 소장구축, 서지구축과 서 지품질제고, 그리고 소장구축과 서지품질제고간 의 계를 피어슨 상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확인해 본다. 한편,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간의 계를 악하기 하 여 서지구축과 검색, 소장구축과 검색, 그리고 서지품질제고와 검색간의 피어슨 상 계수도 도출해 본다. 세 번째, 공동목록 참여 기 을 유형화하기 하여 계층 군집분석을 수행한다. 덴드로그 램(Dendrogram)을 산출해 군집의 숫자를 결 정하고 결정된 군집간의 차이를 악하기 하 여 기술통계 분석과 일원분산분석(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해 특 징을 규명해 본다. 네 번째, 기여 활동 이용 정도, 양측의 상 계, 그리고 도출된 군집의 특징을 기반으로 기여보상제도 운 방향을 시사해 본다. 한편,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의 기 시 이 2012년 3월 1일이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할 기여 이용 정도, 그리고 군집의 특성과 규모는 해당 연도에 한정됨을 밝힌다. 따라서 연도별로 회원 기 의 기여 활동과 활용 정도에 따라 군집의 특 성과 규모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4. 분석 결과 4.1 기여 활동 이용 정도 분석 본 장에서는 종합목록 회원 도서 의 기여 활동 이용도를 반 으로 살펴 본다. 첫 번째, 종합목록 회원 도서 의 반 인 참여 행태 분석을 하여 기 통계 분석을 실 시한 결과는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회원으로 가입된 도서 실제 데이터가 존재하는 도 서 은 체 회원 기 355개뿐으로 나타났 으며 나머지 도서 은 회원으로 가입은 했으나 시스템에 속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구축 평균은 기 당 1,498건, 소장구축 평 4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기여활동 활용 서지구축 소장구축 품질기여 검색건수 N 유효 355 355 355 355 결측 0 0 0 0 평균 1,498.1972 10,027.7718 22.9634 30,131.3042 최소값 .00 .00 .00 .00 최 값 52,245.00 185,356.00 2,442.00 574,443.00 합계 531,860.00 3,559,859.00 8,152.00 10,696,613.00 <표 1> 기여 이용 정도에 한 기 데이터(데이터가 존재하는 355개 도서 기 ) 균은 10,027건으로 나타났으며, 서지수정, 삭제, 통합과 같은 서지품질제고 건수의 평균은 22건 에 불과하 다. 반면 검색 건수의 평균은 30,131 건으로 나타나,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품질 기여 건수에 각각 20배, 3배, 1,50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종합목록 ‘기여 활동’과 ‘이용도’에 있어 참여 도서 의 분포를 좀 더 자세히 살펴 보기 하여 빈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표 2> 와 같이 나타났다. 실제 참여 도서 인 355개 도서 을 기 으로 분석해 볼 때, 서지구축의 경우, 70%에 해당하는 도서 이 한 건의 데이 터도 구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 지 28.5%가 10,000건 미만에 그치는 수치를 보 여, 서지구축 기여 도서 의 숫자는 제한 인 것으로 악할 수 있었다. 소장구축의 경우는 62%에 해당하는 도서 이 한 건도 데이터를 구축하지 않았으며, 33.4%가 50,000건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000만 건 이상을 구축한 도서 도 7.8%나 존재해, 서지구축 기 여도서 보다는 많은 규모를 나타내고 있었다. 서지품질제고에 있어서는 86%의 도서 이 아 무런 실 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0.6%에 해 당하는 2개 도서 만이 두드러지게 높은 기여 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용도’를 의미 하는 지표인 검색의 경우, ‘기여 활동’을 의미하 는 다른 지표들과 달리 단지 19%의 도서 만 이 기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를 차 지하는 도서 이 100,000만 건 주변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100,000만 건 이상인 도서 도 7.2% 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의 빈도 분포표에서 나타난 특징을 시각화하여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를 좀 더 쉽게 비교하기 하여 산 도를 도출한 결과 <그림 1> 기여 활동 서지구축 비율 빈도 0 70.1 249 1-10,000 28.5 95 10,000-20,000 0.9 3 20,000-30,000 1.5 5 30,000-40,000 0.6 2 50,000- 0.3 1 <표 2> 기여 활용 행태에 한 빈도 분석 결과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41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품질제고 검색 <그림 1> 기여 활동 이용 정도 통계에 근거한 도서 산 도 기여 활동 소장구축 비율 빈도 0 62 217 1-50,000 33.4 112 50,000-100,000 6.6 22 100,000-1,500,000 0.6 2 150,000- 0.6 2 서지품질제고활동 비율 빈도 0 86.0 307 0-500 12.0 46 500-1,000 0.0 0 1,000-1,500 0.0 0 1,500-2,000 0.0 0 2,000- 0.6 2 활용 정동 검색 비율 빈도 0 19.0 69 0-100,000 72.0 258 100,000-200,000 5.6 20 200,000-300,000 0.8 3 300,000-400,000 0.8 3 4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과 같이 나타났다. 서지구축의 경우, 부분의 이 하단에 집해 있는데 반해, 소장구축은 좀 더 많은 이 단까지 고루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소수의 도서 만이 서지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나, 소장정보 구축 에는 상 으로 다수의 도서 이 참여하고 있 음을 설명한다. 한편, 서지품질제고의 경우, 부분의 이 ‘0’ 주변에 분포하며, 단 두 개의 만이 높은 곳에 분포해 있다. 이는 극소수의 도서 만이 기여하고 있으며 부분의 도서 은 실 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검색에서는 많은 도서 이 일정 범주 내에 조 하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지나 소장구축, 서지품질제고의 경우 0값에 수많은 들이 모여 마치 굵은 선을 형성하고 있는데 반해, 검색 산 도에서는 0에서 10만 건 사이에 들이 조 하게 분포함으로써, 많은 수의 도 서 이 종합목록을 통해 일정 정도의 혜택을 받아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에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회원 등 제에 의한 개 별 회원의 데이터 구축에 한 의무 조건에도 불구하고, 실제 참여 도서 의 60% 이상이 서 지구축과 소장구축 실 이 부재하 다. 더욱이 서지품질제고 활동에 있어서는 80% 이상의 도 서 이 실 을 가지고 있지 않아, 소수의 도서 만이 종합목록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악 되었다. 반면 다수 도서 이 0에서 10만 사이 의 검색 실 을 가지고 있어, 기여보다는 검색 을 해 종합목록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악할 수 있겠다. 4.2 각 참여 활동 간의 상 성 분석 본 장에서는 피어슨 상 분석을 통해 참여 활 동간의 계를 악하 다. 먼 ‘기여 활동’을 의미하는 지표인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품질 제고간의 상 성을 분석하 으며, 더불어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간의 상 성 측정을 해 서 지구축과 검색, 소장구축과 검색, 그리고 서지 품질제고와 검색간의 상 도를 측정하 다. 첫 번째, ‘기여 활동’ 간의 상 성을 분석한 결과 <표 3>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먼 , 서지구축과 소장구축 간에는 강한 양의 상 성 (0.902)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장도 서가 많은 학도서 에서 작성한 서지가 종합 목록 상에 자주 신규 서지로 채택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해 장서량이 많은 도 서 이 종합목록 상에 존재하지 않는 희귀 도서 를 많이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신간 도서를 다른 도서 보다 먼 수서하여 서지 코드를 작성한 후 업로드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한 일반 으로 이러한 도서 에서 작성된 서 지의 품질이 우수하여, 서지 교체 매카니즘에 의해 기존 서지를 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 한편, 서지구축과 서지품질제고, 그리고 소장구축과 서지품질제고 간에는 각각 0.405, 0.423의 상 으로 높지 않은 수치가 나 타났다. 서지 소장 구축은 일정기간 동안 자 에 된 코드가 배치로 송부되어, 자동 처리되지만, 서지품질제고는 사서가 온라인으 로 속해 직 한건 한건 데이터를 수정해 품 질을 제고하는 행 로, 자 의 소장 도서가 많 다고 해서 품질 개선을 한 노력을 더 많이 기 울이고 있는 것은 아님을 나타내고 있다.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43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구축 Pearson 상 계수 1 .902(**)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소장구축 Pearson 상 계수 .902(**) 1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서지구축 서지품질제고활동 서지구축 Pearson 상 계수 1 .405(**)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품질기여 Pearson 상 계수 .405(**) 1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서지품질제고활동 소장구축 서지구축 Pearson 상 계수 1 .423(**)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품질기여 Pearson 상 계수 .423(**) 1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 P < 0.01 <표 3> 기여 활동간의 상 성 두 번째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간의 피어 슨 상 분석 수행 결과는 <표 4>와 같이 나타났 다. 소장구축건수와 검색간의 상 계수는 0.713 으로 나타나 높은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림 2>의 산 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들이 양의 상 계를 보이며 퍼져 있 어, 소장 도서가 많은 학도서 이 그만큼 많 이 이용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소장 도서 가 많은 도서 의 목록 작성량이 그 지 않은 도서 보다 많아, 종합목록을 검색하는 빈도가 상 으로 높기 때문에 이러한 상 성을 보이 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서지구축과 검색 간에는 피어슨 상 계수가 0.563으로 나타나 상 으로 약한 상 성을 보 는데, 이는 신 간 도서나 희귀 도서를 많이 보유하거나 우수 한 품질의 서지를 제공해 기존 종합목록 서지 를 체한 도서 들이 종합목록에 의존하는 정 도가 상 으로 조한 상을 설명할 수 있 겠다. 신간 도서나 희귀 도서는 카피카탈로깅 이 가능한 서지가 종합목록 상에 존재하지 않 을 가능성이 높고, 고품질의 서지를 작성하는 도서 은 카피 카탈로깅보다 오리지 카탈로 깅(Original Cataloging)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서지품질제고건수와 검색건수 간의 상 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0.285정도의 낮은 상 계수를 나타냈다. 이는 종합목록을 많이 검색한다고 해서 서지데이터 품질 제고를 해 4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서지구축 검색건수 서지구축 Pearson 상 계수 1 .563(**)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검색건수 Pearson 상 계수 .563(**) 1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검색건수 소장구축 검색건수 Pearson 상 계수 1 .713(**)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소장구축 Pearson 상 계수 .713(**) 1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품질기여 검색건수 품질기여 Pearson 상 계수 1 .285(**)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검색건수 Pearson 상 계수 .285(**) 1 유의확률 (양쪽) .000 N 355 355 ** P < 0.01 <표 4> 기여와 이용 정도 간의 상 성 <그림 2> 기여 활용 통계에 근거한 도서 산 도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45 노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다 시 말해, 서지품질제고 실 이 높은 도서 은 데이터의 이용량과 상 없이 순수한 사 정신 을 가지고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에서 ‘기여 활동’간, 그리고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간의 상 분석을 통해 드러난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겠다. 첫 번째, 소장도서가 많은 학도서 의 서지가 종합목록상에 자주 신규 서지로 채택되고 있다. 두 번째, 소장도서가 많거나 신규 서지로 많이 채택된 기 이 특별히 서지품질제고를 한 노 력을 더 많이 기울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세 번째, 소장도서가 많은 도서 이 그 만큼 종합 목록 서지데이터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으나, 그 서지가 종합목록상에 많이 채택된 도서 은 오리지 카탈로깅 비 이 상 으로 높 아, 종합목록 이용도가 다소 떨어진다고 추정 해 볼 수 있겠다. 네 번째, 검색을 많이 한다고 해서 종합목록 서지품질제고에 기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서지품질제고에 기여 하고 있는 도서 은 이용량과 무 하게 순수하 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4.3 군집의 형성 특징 분석 계층 군집분석은 가까이에 있는 상들로 부터 노드를 결합해 감으로써 트리모양의 계층 을 형성해 가는 방법으로 덴드로그램을 통해 군 집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정확히 악할 수 있 다. 여기에서는 서지구축, 소장구축, 서지품질제 고, 검색 건수를 Z값으로 표 화하고 심 군 집화 방식(Centroid Method)을 이용하여 군집 을 형성하 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총 4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군집 1에는 344개 다수의 학이 포함되었으며, 군집 2, 3, 4는 각각 2개, 7개, 2개 학도서 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각 군집의 특성과 차이를 악하기 하여 <표 5>와 같이 기술 통계 분석을 병행하 다. <그림 3> 종합목록 기여 활용 행태에 따른 덴드로그램 <표 5>의 서지 구축 평균을 보면, G3이 30,338건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G4가 21,984건으로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G2는 5,227건, G1 은 770건으로 하게 낮은 수치를 보 다. 소 장 구축에 있어서도 G3이 116,399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108,933건인 G4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반면, G2는 77,780건, G1은 6,894건으로 조한 수치를 나타냈다. 서지품 질제고건수에 있어서는 G4가 압도 으로 많은 2,291건을 보 고, G3은 118건, G2와 G1은 각 4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N 평균 최소값 최 값 서지구축 G1 344 770.5 0.0 12778.0 G2 2 5227.0 4206.0 6248.0 G3 7 30338.4 21443.0 52245.0 G4 2 21984.0 10149.0 33819.0 합계 355 1498.1 0.0 52245.0 소장구축 G1 344 6894.2 0.0 92846.0 G2 2 77780.5 75990.0 79571.0 G3 7 116399.0 85389.0 185356.0 G4 2 108933.0 67251.0 150615.0 합계 355 10027.8 0.0 185356.0 검색건수 G1 344 23446.8 0.0 320322.0 G2 2 496591.0 418739.0 574443.0 G3 7 180563.6 126047.0 338843.0 G4 2 186890.0 143967.0 229813.0 합계 355 30131.3 0.0 574443.0 품질기여 G1 344 7.9 0.0 462.0 G2 2 6.5 1.0 12.0 G3 7 118.3 0.0 316.0 G4 2 2291.0 2140.0 2442.0 합계 355 23.0 0.0 2442.0 <표 5> 각 군집의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기술 분석 결과 자유도 F 유의확률 서지구축 3 343.352 .000 소장구축 3 140.172 .000 검색건수 3 100.828 .000 품질기여 3 1609.748 .000 <표 6> 각 군집간의 기여 활용 행태 차이 악을 한 일원분산분석(ANOVA)결과 각 10건 미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 수치 를 통하여 4개 그룹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겠다. G1은 기여 활동과 이 용 모두 조한 그룹이며, G2는 이용은 많이 했으나, 기여도는 그리 높지 않은 그룹으로 특 징지을 수 있겠다. 한편, G3은 극 으로 기여 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용도 많이 하는 그룹으 로 설명할 수 있으며, G4는 극 으로 기여하 고 이용할 뿐 아니라, 종합목록 품질 제고를 해 노력하는 그룹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 변수에 있어,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 으로도 유의미한지 살펴보기 하여 추가 으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 다. 분산분석 결 과 <표 6>과 같이 검정통계량 F값의 유의확률 이 모두 .000으로 나타나, 모든 변수에 있어 그 룹 간에 차이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기술 통계 분석을 통해 비교한 평균 차이 가 의미 있는 집단 간의 차이임이 입증되었다.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47 5. 논 의 본 연구는 학별 종합목록 참여 통계를 기 반으로 ‘기여 활동’ ‘이용 정도’를 살펴보고 각 행태간의 상 성을 분석하 다. 한 군집 분석을 통해 참여 도서 을 유형화하 다. 첫 번째, 종합목록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 를 의미하는 각 지표별로 기 통계 빈도 분 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 다. 서지 구축과 소장 구축은 실제 참여 기 을 기 으로 할 때, 60% 이상이 실 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서지품질제고 활동의 경우 참 여 기 의 80% 이상이 실 을 가지고 있지 않 았다. 그러나 검색 실 은 많은 도서 이 고르 게 가지고 있어, 종합목록 기여 활동은 소수 도 서 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분이 혜 택만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단되었다. 따라 서 종합목록 기여 활동에 참여하는 소수의 도 서 에 한 보상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기여 활동’과 ‘이용 정도’에 한 상 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 하 다. 서지 소장구축 활동이 극 일수 록 검색 건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여 활 동에 극 인 도서 이 이용도 극 으로 하 고 있는 것으로 단되었다. 그러나 참여 도서 서지가 종합목록에 신규로 채택되거나 고품질의 서지를 업로드 해 서지 교체가 이루 어진 도서 의 검색 건수는 소장정보만 구축된 도서 보다 상 으로 조하게 나타났다. 한편, 서지품질제고와 검색 건수간의 상 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서지품질제고는 이 용과 무 한 순수한 기여 활동으로 단되었다. 따라서 기여보상제도를 운 한다면, 서지품질 제고에 한 기여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소장 <그림 4> 군집별 략맵 4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구축보다는 서지구축에 한 기여를 좀 더 인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세 번째, 군집분석 결과, 종합목록 참여 기 은 모두 4개의 군집으로 클러스터링되었다. 첫 번째 군집은 기여 활동과 이용이 모두 조한 군집(G1)으로 형성되었고, 두 번째 군집은 기 여 활동은 조하나 이용도가 매우 높은 군집 (G2)으로 형성되었다. 세 번째 군집은 기여 활 동과 이용도가 모두 높은 군집(G3)으로 형성 되었으며, 네 번째 군집은 기여 활동과 이용도 가 높을 뿐 아니라, 서지품질제고 활동이 특별 히 높은 군집(G4)으로 형성되었다. 이들 군집 의 특징을 도식화해 설명하기 하여, 기여 활 동을 합산하여 Y축으로, 검색 건수를 X축으로 지정하고 서지품질제고에 10배의 가 치를 두 어 산 도를 산출하 다. <그림 4>의 산 도를 보면, 높은 기여도를 보인 G3과 G4는 상단 간 부분에 치하고 있으며, 기여 활동과 이용 모두 조한 G1은 좌측 하단, 검색 건수가 특 별이 높게 나타난 G2는 우측 단부에 치하 는 것으로 표시되었다. 산 도에서 상단에 치한 군집 3-4는 높은 기여도를 보인 집단으로 보상을 고려할 수 있 겠으며, 지속 인 서지 구축과 품질제고 활동 을 독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서지품질제고를 통해 극 인 기여 활동을 수행한 군집 4는 특 수 공헌을 인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두 드러지는 이용도를 보인 그룹 2는 상황에 따라 가의 요구를 고려할 수 있겠으며, 기여와 활 용 면에서 모두 소극 인 그룹 1은 일단 그 요 인을 악하고, 활성화를 해 홍보와 유인책 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종합목록 참여 도서 의 ‘기 여 활동’과 ‘이용 정도’를 탐사 으로 분석하여 기여 집단의 규모와 특징, 특수 공헌 집단의 존 재 여부, 수혜 집단과 참여 유도가 필요한 집단 의 략을 살펴 보았다. 분석 결과, 종합목록 참여 도서 의 기여 활 동은 매우 소수의 도서 에 집 되어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분의 도서 이 혜택 만을 취하고 있어, 기여 도서 에 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단되었다. 특히 상 분석 결과 이용량과는 상 없이 순수한 기여 활동이 보여 지는 서지품질제고에 한 기여를 가장 높게 인정하고 그 다음 서지구축, 소장구축 순으로 기여 정도를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단되었다. 한편, 군집분석을 통해 참여도서 을 유형화한 결과 총 4개의 군집이 생성되었다. 기여가 두드러진 군집, 기여와 이용이 모두 극 인 군집, 이용이 두드러진 군집과 기여와 이용 모두 조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따라 서 군집의 규모와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 보상을 통한 지속 인 서지 구축과 품질 제고 독려, 가의 요구, 참여 유도 등 차별화된 응 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기 데이터만을 제공하고 있어, 실제 운 을 해서는 각 기여 활동 이용 정 도에 따른 보상 방식의 결정이 필요하겠다. 한 재원 마련 가능성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 다. OCLC는 보상제도의 재원을 마련하기 하 여 서비스를 유료화하고 보상액을 이용료로부 터 차감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우 리는 일단 유료화하지 않으면서 기여를 보상해 학도서 의 종합목록 기여 활동 이용 정도에 한 탐사 연구 49 수 있는 방안의 모색과 그에 앞서 기여보상 에 한 참여 기 의 의견 수렴 등이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國立情報學硏究所. 2009. 次世代目録所在情報サービスの在り方について [online]. [cited 2014.3.26]. . 장 연. 2014. 2014년도 상반기 종합목록운 원회 [online]. [cited 2014.10.1]. . 장 연. 2012. 2012년도 상반기 KERIS 종합목록 운 원회 [online]. [cited 2014.10.1]. . 조재인. 2012. 한국과 일본의 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 비교 연구. ꡔ한국도서 정보학회지ꡕ, 43(4): 23-45. 佐藤義則. 2011. これからのNACSIS-CAT/ILLの運用体制について [online]. [cited 2014.3.26]. . Goodson L. 2015. Question about enhance program. 3 March 2015. [cited 2015.3.3]. Personal Communication. OCLC. 2013. Final Report Global Advisory Group on Credits and Incentives [online]. [cited 2014.3.26]. . RISS Unicat Hompage. [cited 2014.10.5]. . Library Austrailia. 2013. Response to your Libraries Australia enquiry, 8 July 2013. [cited 2013.7.8]. Personal Communication. •국문 참고자료의 영어 표기 (English translation / romanization of references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Chang, K. Y. 2014. UNICAT Management Committee the first half year of 2014 [online]. [cited 2014.10.1]. . 5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5 Chang, K. Y. 2012. UNICAT Management Committee the first half year of 2012 [online]. [cited 2014.10.1]. . Cho, J. 2012. “A Comparative Study of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