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7-064_______03-(¿Ï)-ÀÌÁö¿ø.hwp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및 직무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Librarian Competencies and Job Type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이지원(Ji-Won Lee)** 초 록 본 연구는 도서 장에서의 요구하는 인력 황을 살펴보고, 정보조직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하여 정보조직 사서직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과 직무 유형을 분석하 다. 미국 도서 의 채용공고 298건을 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 기존의 자격요건들의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새로운 환경 변화를 반 한 표 자자원 련 요구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하 다. 정보조직 직무 유형은 크게 통 인 정보조직의 특성이 반 된 것과 자자원, 정보기술의 특성이 반 된 것으로 나 수 있었다. 한 정보조직 교육의 개선을 하여 자자원 교육의 확 , 이론과 실습의 조화, 정보기술 활용의 강화, 새로운 교수 방법의 용을 제안하 다.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librarian competencies and job type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required librarian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278 job announcement, the traditional qualifications and the knowledge of new standard and S/W related electronic resources are required. The job type divided between cluster for the traditional demands and cluster for electronic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proposed the expansion of education related electronic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e adoption of new teaching method fo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키워드: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채용공고, 문헌정보학 교육, 자자원, 정보기술 organization of information, librarian competencies, job announcement, LIS education, electronic resources, information technology * ** 본 연구는 2010학년도 구가톨릭 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구가톨릭 학교 임강사(jiwon@cu.ac.kr) ■ ■ 논문 수일자: 2011년 8월 16일 ■최 심사일자: 2011년 8월 16일 ■게재확정일자: 2011년 9월 12일 정보 리학회지, 28(3): 47-64, 2011.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3.047] 48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1. 서 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도서 정보센터 장에서 정보조직은 수 집된 다양한 정보 자원들을 효과 으로 이 용자와 연결하는 필수 인 과정이다. 한 다 양한 정보원의 주제 분석, 분류, 그리고 목록을 비롯한 2차 정보원의 작성과 리 등에 한 정 보조직학은 문헌정보학의 발 기부터 핵심 교육 역으로 자리잡아 왔다. 다른 분야들과 마찬가지로 정보조직 역시 도 서 내․외부의 환경 변화에 직․간 으로 많은 향을 받아왔다.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발달은 통 인 정보조직의 근본 인 변화를 가져왔고, 네트워크의 발 과 웹 환경으로의 변 화는 엄청난 양의 디지털 형태의 정보를 만들어 내면서 이에 한 정보조직을 새로운 과제로 내 놓았다. 해외의 경우 정보조직 업무를 수행하 는 직명에서도 통 으로 사용해 온 목록사서 (cataloger)외에도 메타데이터 사서(metadata librarian), 자자원 사서(electronic resources librarian)가 등장하 다. 한 인터넷과 웹의 향력이 강해지면서 도서 과 목록의 역할에 한 기의식이 커지게 되었고, 필연 으로 정보조직 분야에서의 개선과 변화에 한 많은 고민과 심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서지 코드의 기 능상 요건), 국제목록원칙규범(The Statement of International Cataloguing Principles), RDA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자원 기 술과 근)와 같은 새로운 원칙과 표 한 만 들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도서 장에서의 변화에 발맞추 기 해서는 정보조직 업무를 수행하는 문직 양성 교육에서의 개선 한 반드시 필요한 사 안이다. 정보조직학 교육과 련하여 해외에서 는 교과과정 연구, 교육 황과 방법 연구, 장 의 요구 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지속 으로 수 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1990년 반과 최 근 몇 건의 연구가 발표된 정도이다. 본 연구는 도서 장에서의 요구하는 인력 황을 살펴보고, 정보조직학 교육의 개선 방안 을 모색하기 하여 정보조직 사서직의 역량과 직무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한 정보원 으로 2007년부터 2011년 6월까지의 미국 도서 의 채용공고를 사용하 다. 사서의 채용공고 는 사서에게 요구되는 직무와 자격요건에 한 장의 요구를 잘 반 하고 있는 정보원인데 국 내의 경우 발생량이 충분하지 못하고 정보조직 과 같은 직무별로 공고가 게재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 정보원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 문이다. 도서 이나 정보센터의 규모나 주제 분 야 등에서 미국 도서 과 국내의 상황이 차이가 있으나, 국내 도서 의 발 과정을 살펴볼 때 미국 도서 의 재의 모습이 앞으로의 국내 도 서 의 변화를 측하여 용하는데 있어서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1.2 연구의 방법 정보조직 사서직의 역량과 직무 유형을 분석 하기 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 내용분석, 계 량 분석 방법을 사용하 다. 문헌 연구는 정 보조직학 교육 정보조직 사서직의 역량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49 자격요건에 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내용분 석과 계량 분석을 해서 정보조직 사서직 련 채용공고를 298건을 수집하여 분석하 으며, 데이터 구축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2.1 데이터 수집 구축 데이터 수집을 하여 사용한 정보원은 다 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미국도서 회지인 American Libraries에 2007년부터 2011년 6월 까지 사서 채용공고 정보조직 련 고이 다. 내용을 확인하여 복 게재된 것, 상세 내용 이 구인 기 의 홈페이지로 연결되어 있어 게 시물 내에는 자세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것 은 제외하 다. 둘째, 정보조직 분야의 표 listserv인 AUTOCAT의 2007년부터 2011년 6월까지의 게시물 에서 채용공고에 해당하는 키 워드(job announcement, job posting, position announcement, position posting)로 검색된 것 을 수집하 다. 마찬가지로 복 게재된 것, 상 세 내용이 구인 기 의 홈페이지로 연결되어 있 어 게시물 내에는 자세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것, 그리고 정보조직 분야와 련이 없는 것은 제외하 다. 셋째, 미국도서 회(ALA) 홈페 이지에서 제공하는 Joblist1)에서 Job Category 가 Cataloging/Bibliographic Control, Technical Services인 것으로 제한하여 검색된 데이터 (2011. 5. 11~7. 22)를 수집하 다. 내용 확인 결과 정보조직 분야와 련이 없는 것은 제외하 으며, 구인 기 홈페이지로 연결된 것 에 서 근이 가능한 것은 해당 내용을 포함시켜 총 22건의 데이터를 수집하 다. 1.2.2 데이터 분석방법 정보조직 사서직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조사 하기 하여 채용 공고 내용 수행해야 할 책 무(responsibility 는 duty)와 자격요건(re- quirement)을 교육, 이론 지식, 편목 능력, 외 국어 능력, 정보기술 능력, 인 계 기타 업 무 능력의 총 6개 범주로 나 고, 이론 지 식, 편목 능력은 각각 하 범 로 세분하여 분 석하 다. 정보조직 사서직의 직무 유형을 분석하기 해서는 채용공고의 책무를 상으로 자동색인 을 수행한 후 추출된 색인어를 단서로 하여 공 고문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계량 방법을 사 용하 다. 분석 방법은 이재윤 등(2007)의 연 구에서 사용한 방법과 차에 따라서 자동색인 과 불용어 제거, 용어 가 치 설정, 다단계 클 러스터링의 순으로 진행하 다. 책무를 기술한 용어들 불용어와 주제성이 없는 용어를 제거 하 고, 용어 가 치는 문헌내 용어빈도와 역문 헌빈도를 곱한 log TF․IDF 공식(정 미 2005) 으로 설정하 으며, 유사계수는 코사인 유사도 를 용하여 각 용어 벡터간 유사도를 산출한 후, Ward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군 집을 생성하 다. 우선, 298건의 채용공고를 반 으로 균형있게 나 기 해 평균 10건을 기 으로 30개의 군집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 하 다. 이 가운데 군집 크기가 5개 미만인 7개 의 군집은 이와 가장 유사한 군집과 통합하는 작업을 거쳐 총 23개의 소군집이 생성되었다. 다음으로 보다 상 범주의 유형으로 군집을 만 들어 상세 분석을 수행하기 해, 기 생성된 23 1) , 최근 두 달간의 구인공고만 게시됨. 50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개 군집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이재윤 등(2007) 의 연구와 같이 다단계의 추가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9개의 군집, 2개의 군집을 생성 하 다. 그리고 각각의 군집 단 로 표 주제 어를 선정하여 유형을 분석하 다. 표 주제 어 선정을 해서 log TF․IDF 공식으로 각 용어들의 가 치를 공고문마다 구한 후, 각 군 집에 속한 공고문별로 동일한 용어의 가 치를 합산한 값이 높은 용어를 선정하 다. 2. 선행연구 정보조직학 교육과 련하여 해외에서는 교 과목 유형과 과목 수, 실제 개설 과목 수 개 설주기 등과 같은 교과과정 연구, 반 인 그 리고 주제 분석, 거제어와 같은 세부 분야의 교육 황과 방법 연구 등 정보조직학 교육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연구 정보조직 사서직 의 역량과 자격요건 분석을 통하여 정보조직학 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가 지속 으로 수행 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1990년 반과 최 근 몇 건의 연구가 발표된 정도이다. 본 장에서 는 국내 연구 최근의 해외 연구 심으로 문 헌정보학 교육을 심 내용으로 하는 연구와 채용공고 설문조사를 통한 정보조직 사서직 의 역량과 자격요건 분석 연구로 나 어 살펴 보고자 한다. Joudrey(2002; 2008)는 정보조직학 교과과 정에 한 종 연구를 수행하 는데, ALA의 인증을 받은 미국, 캐나다 문헌정보학 학원 의 교과과정을 상으로 하 다. 두 연구에서 정보조직학 교과목의 유형과 과목 수, 실제 개 설된 과목 수 등을 확인하고 변화된 내용을 비 교․분석하 다. Davis(2008)도 ALA 인증 문헌정보학 학 원의 목록 련 교과과정을 조사하고, 이 연 구 결과와 비교를 수행하 다. 목록 련 교과 과정을 8가지 유형으로 나 어 교과목의 유형 과 과목 수, 실제 개설 과목 수, 개설주기 등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평균 3.79개의 과목을 개설하 고, 가장 많이 개설된 유형은 정보조 직 개론과 기 목록 색인/ 록임을 확인하 다. 조재인(2010)은 미래의 목록 작성 업무에 한 측과 사서의 새로운 역할과 역량에 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차세 목록 교육의 방향성 을 제안하 다. 사서 양성 과정 즉 정보조직 교 육에서는 자원의 기술과 발견을 한 정보 조 직의 기본 개념과 정보서비스의 사명을 악하 여 장에 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업 사서의 재교육 과정에서는 서지 세계를 이해하는 새 로운 방법을 이해하고 도서 의 변화된 환경을 용하여 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 다. 노지 (2010)은 국내에 개설된 정보조직 교 과목의 비 과 주요 내용 미국의 정보조직 역의 교육목표, 기본방향, 주요 내용을 바탕 으로 국내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 다. 학에 서의 교육은 원리 심으로 하고 도서 장 에서의 실무 교육과 조화롭게 연계되는 방향으 로 개선되고, 한 사서의 교육문제에 해 문 헌정보학계, 도서 계, 도서 회의 력이 필 요함을 강조하 다. 사서의 역량과 자격요건에 한 도서 장 의 요구를 조사하기 해서 많이 사용된 방법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51 은 인쇄매체나 온라인 매체에 게재된 채용공고 분석과 설문조사이다. 정연경(1997; 1999)은 1990년~1997년간의 미국 학도서 목록사서 채용공고 292건과 1996년~1999년간의 목록사서 채용공고 200건 의 내용 분석을 통해 목록사서의 역할 자격 요건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목록사서에게 필요한 자격요건은 미국도서 회(ALA) 인 증 석사학 , 문헌정보학 통 인 분류 목 록 도구에 한 지식, 주제 배경, 도서 업무 경력, 도서 자동화시스템 컴퓨터 활용 능 력, 외국어 능력과 같은 문 지식과 경험에 더 불어 감독 리 능력, 커뮤니 이션 기술, 분 석 문제 해결 능력, 변화하는 환경에 한 응력, 문직 활동과 계속 교육 등의 인성과 업 무 태도로 조사되었다. Albitz(2002)는 학도서 자자원 사서 (electronic resources librarian)에 한 1996 년~2001년간의 채용공고 101건을 분석하 다. 소속 부서는 이용자서비스 부서(Public Service) 와 정리부서(Technical Service)의 비율이 비 슷하 으며, 문직 경력도 특별한 요구가 없 는 경우와 1~3년의 경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약 40% 정도씩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행 해야 할 책무로는 자자원 리, 정보 사, 서 지 교육, 웹 디자인, 장서개발, 도서 자동화/기 술 지원, 직원 교육, 편목, 연속간행물 업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Hall-Ellis(2006; 2008)는 자신이 수행한 3 건의 연구들을 기 로 하여 목록사서에게 필요 한 역량을 정리하 다. 2000년~2005년간의 목 록사서 채용공고 355건과 2006년에 수행한 외 국어 능력에 한 289건의 설문조사를 종합하 여 크게 5가지 항목으로 필요 역량을 종별, 직 무별(신입, 리자)로 분석하 는데, 교육, 이 론 지식, 편목 능력, 커뮤니 이션 기술, 인 계 기술이 이에 해당한다. 이론 지식은 편 목 도구(목록 규칙)와 서지 기술로, 편목 능력 은 기술 편목, 거제어, 분류 체계, 주제 분석, 력 체제, 외국어 능력으로 세분하 고, 인 계 기술에는 리더쉽, 감독, 훈련 등을 포함하 다. Park과 Lu(2009)는 2003년~2006년간 AUTOCAT listserv에 게시된 메타데이터 문 가(Metadata Professionals) 채용공고 107건을 상으로 그들의 역할과 필요 역량을 분석하 다. 조사 결과 직명으로는 Metadata Librarian, Catalog/Cataloging & Metadata Librarian 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메타데이터 문가 가 수행할 책무로는 메타데이터 생성, 업무 조 정․감독․기획과 같은 리 업무, 편목 업무, 자자원 리, 최신 동향의 악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메타데이터 문가로서 요구되는 자격요건과 기술은 력 커뮤니 이션 기술 을 포함하는 인 커뮤니 이션 기술, 편목 분류 표 에 한 지식, 메타데이터에 한 지 식과 기술, 자/디지털자원 리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Han과 Hswe(2010) 역시 2000년~2008년간 의 메타데이터 사서 채용공고 86건 통 인 목록사서에 한 채용공고 85건을 분석하 다. 메타데이터 사서의 필수 자격요건으로는 메타데이터와 련된 지식과 경험(메타데이터 스키마, 최신 동향 새로운 표 )이 가장 많 이 언 되었고, 편목 경험과 지식, 그리고 통 인 목록, 분류 표 을 포함한 메타데이터 스 52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키마들에 한 요구가 뒤따랐다. 메타데이터 사 서와 통 인 목록사서에의 자격요건 비교에 서 MARC에 한 지식의 경우는 두 분야 모두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면서 증가하는 추이를 보 으며, 가장 큰 차이를 보 던 항목은 새로운 기술에 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박옥남(2011)은 ․충남지역 공공도서 학도서 사서 37명을 상으로 정리 사서에게 요구되는 항목 학에서의 목록, 분류 학습 실습 경험의 도움 유무와 앞으로 목록 분류 수업에서 향상되어야 할 내용을 설문조사하 다. 조사 결과 목록 분류 지식 과 메타데이터 형식에서는 국내 목록규칙, 분 류표, KORMARC에 한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른 표 메타데이터에 해서는 그 요 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목록업무시 알아 야 할 자료 유형으로는 단행본, 계속자료, 자 자료 순으로 나타났고, 컴퓨터 활용능력 웹 활용능력은 기본 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 는 정도인 자 수 을 갖추어야 한다는 응 답이 많았다. 인성 리능력에 해서는 분 석 인 문제해결능력과 독립 인 업무수행능 력이 가장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목록 수업 실습에서 향상되어야 할 사항에 해서는 실습에 한 강조, 비도서와 같은 다양한 유형 의 자료의 목록 등의 응답이 있었다. 3. 정보조직 사서직 자격요건 및 역량 분석 3.1 수집 데이터 개요 세 가지 정보원으로부터 수집된 총 298건의 데이터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채 용공고 정보원과 연도별 데이터 건수는 <표 1>과 같다. 연도별 데이터 건수에서 인쇄물로 출 되 는 American Libraries의 데이터 건수와 감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용과 시간면에서 온라인 구인 고가 보다 효과 인 매체로 자리 잡았다고 생각된다. 종별로는 <표 2>와 같이 학도서 이 부 분을 차지하 으며(66.8%), 공공도서 (7.7%), 정부기 도서 (5.4%), 기업체도서 (4.4%), 연구도서 (3.0%), 기타 기 (12.8%) 순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건수 에서 각 호 안에 있 는 수치는 인력 견업체가 해당 기 을 신하 여 낸 공고 건수이다. 정부기 도서 의 경우 16건 에 15건이, 기업체도서 의 경우 13건 11건이 인력 견업체에서 낸 공고이다. 기 타 기 에는 박물 , 학교도서 , OCLC와 같 은 도서 력체, 도서 시스템업체 인력 견업체에서 낸 공고 에서 상기 의 종 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포함되었다.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합계 American Library 23 10 4 0 0 37 AUTOCAT 59 63 46 53 18 239 ALA Joblist 0 0 0 0 22 22 합계 82 73 50 53 40 298 <표 1> 채용공고 수집 정보원과 연도별 건수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53 유 형 2007 2008 2009 2010 2011 합 계(%) 학도서 61 49[1] 29[3] 28[1] 32 199(66.8%) 공공도서 8 8[3] 3[1] 2 3 24(8.1%) 정부기 도서 0 4[3] 3[3] 8[8] 1[1] 16(5.4%) 기업체도서 2 3[3] 3[3] 4[4] 1[1] 13(4.4%) 연구도서 6  0 0  3 1 10(3.4%) 기타 5 9[2] 12[10] 8[2] 2 36(12.1%) 합계(인력업체) 82 73[12] 50[20] 53[15) 40[2] 298(100%) * 연도별 건수 에서 각 호 안의 수치는 인력 견업체에서 게시한 공고임 <표 2> 채용공고 종과 연도별 건수 직 별로는 리자 이 85건(28.5%), 일반사 서직 이 213건(71.5%)이었다. 직명에서 catalog (er)만을 포함하는 경우가 119건(39.9%), meta- data만을 는 catalog(er)와 metadata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가 63건(21.1%), electronic re- sources가 포함된 경우가 22건(7.4%), 기타 94 건(31.5%)로 나타났다. 기타에는 technical services만이 포함되거나 serials librarian과 같 이 특정 자료유형에 한 직명이 포함되어 있다. 3.2 채용공고에 나타난 정보조직 사서직 요구 역량 채용공고에서 요구하는 정보조직과 련된 사서직 역량은 선행연구 공고 내용을 참고 하여 크게 교육, 이론 지식, 편목 능력, 외국 어 능력, 정보기술 능력, 인 계 업무 능력 의 6개 범주로 나 고, 이론 지식, 편목 능력, 인 계 업무 능력은 각각 하 범 로 세분 하여 체 11개의 세부범주로 분석하 다. 각 범 주는 채용공고에서 책무와 필수조건(required) 으로 명시하는 것은 필수요건으로, 추가조건 (desired or additional)으로 명시하는 것은 추 가요건으로 세분하 다. 3.2.1 교육 요건 정보조직 사서에게 요구하는 교육 요건은 249 건(83.6%)이 ALA가 인증하는 문헌정보학 석 사학 (MLS, MLIS) 다. 두 개 이상의 석사학 를 요구하는 경우는 22건(7.4%)으로 많지 않 았다. 기타에 나타난 68건(22.8%)은 ALA 인증 이라는 언 이 없는 문헌정보학 분야 석사학 와 학사학 만을 요구하는 경우이다. 학사학 의 경우에는 주제분야에 한 언 이 없거나, 는 기 에서 요구하는 특정한 주제분야(인문 학, 사회과학, 술사, 음악 등)에 한 요구가 있는 경우가 모두 포함된다(<표 3> 참조). 3.2.2 이론 지식: 목록규칙 목록 작성의 기 도구가 되는 목록규칙에 한 지식은 목록규칙에 한 반 인 지식 과 일정 기간의 편목 경험을 요구한 경우에 해당하는 일반 항목이 120건(40.3%)이었다. 특정한 목록규칙을 명시한 경우는 AACR2가 148건(49.7%), LCRI(Library Congress Rule Interpretations)이 38건(12.8%)이었으며, 최 근 발표된 RDA에 한 요구도 20건(6.7%)이 있었는데, 이는 많은 수치는 아니나 채용공고 가 정보조직과 련된 환경 변화를 얼마나 신 54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구 분 ALA 인증 석사학 추가 석사학 기타 필수요건 243 4 68추가요건 6 18 합계 249 22 <표 3> 교육 요건 구 분 일반 AACR2 LCRI RDA 필수요건 111 134 35 15 추가요건 9 14 3 5 합계 120 148 38 20 <표 4> 이론 지식: 목록규칙 속하게 반 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한다(<표 4> 참조). 3.2.3 이론 지식: 메타데이터 형식 역시 목록 작성의 기 도구로서의 메타데이 터 형식에 한 지식은 반 인 지식, 메타데이 터에 한 지식, Non-MARC에 한 지식, 일정 기간 편목 경험을 요구한 경우에 해당하는 일반 항목이 144건(48.3%)이었다. 특정 메타데이터 형식으로는 MARC에 한 요구가 압도 으로 많았으며(164건, 55%), DC(69건, 23.2%), EAD (47건, 15.8%), MODS(34건, 11.4%), METS(33 건, 11.1%)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항목은 그 외 의 메타데이터로 VARcore, FGDC, PREMIS 등이 있었다(<표 5> 참조). 3.2.4 편목능력: 기술편목 경험 능력 실제 인 목록 작성과 직 인 련이 있는 편목 능력 기술편목 경험 능력에 해서 는 편목 경험을 요구하는 일반 항목이 49건 (16,4%) 있었다. 원목(original cataloging) 경험 이라는 명시가 되어 있는 경우는 157건(52.7%), 카피편목(copy cataloging)은 51건(17.1%), 직 원들이 작성한 목록을 검하고 필요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는 작업(complex copy cataloging) 경험이나 능력을 요구하는 경우는 49건(16.4%) 이 있었다. 기타 항목은 음악자료, 지도자료, 학 논문, 시청각자료 등 특별한 자료유형에 한 기술편목 능력을 요구하는 경우이다(<표 6> 참조). 구 분 일반 MARC DC EAD MODS METS 기타 필수요건 128 147 54 40 29 28 36추가요건 16 18 15 7 5 5 합계 144 165 69 47 34 33 <표 5> 이론 지식: 메타데이터 형식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55 구 분 일반 O.C C.C C.C.C 기타 필수요건 45 108 21 16 5추가요건 4 49 30 33 합계 49 157 51 49 <표 6> 편목능력: 기술편목 경험 능력 3.2.5 편목능력: 거제어 편목작업에 있어 가장 문 이고도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업무가 거제어이다. 거 제어에 한 책무나 지식, 경험을 필수요건으 로 요구하는 경우는 58건, 추가요건은 8건으로 체 66건(22.1%)의 요구가 있었다. 3.2.6 편목능력: 분류능력 목록데이터에 포함되는 분류번호 부여를 한 분류 능력을 하여 분류 체계에 한 지식 이나 분류 경험을 요구하는 경우는 반 인 분 류 경험이라는 언 은 매우 었는데, 이는 미 국 도서 부분이 LCC, DDC와 같이 사용하 는 분류체계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고, 해당 기 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에 한 요구를 분명 하게 나타내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 생 각된다. LCC에 한 요구가 압도 으로 많았 는데, 이는 채용공고의 67%가 학도서 이고, 미국 학도서 가운데 상당히 많은 기 이 LCC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반 된 것이라 추측된다. LCC 분류체계를 사용한 경험이나 련 지 식을 요구한 경우는 110건(36.9%)이었으며, 199개의 학도서 에는 42.7%에 해당하는 85개 도서 이 요구하고 있었다. DDC의 경우 는 34건(11.4%)에 불과하여 LCC과 많은 차이 를 보 다. 기타 분류체계로는 미국의학도서 분류체계(NLMC), 미국문서 리국 분류체계 (Superintendent of Documents Classification) 등이 있었다(<표 7> 참조). 구 분 일반 LCC DDC 기타 필수요건 7 103 24 11추가요건 1 7 10 합계 8 110 34 <표 7> 편목능력: 분류 능력 3.2.7 편목 능력: 주제 분석 목록 데이터에 주제명을 부여하기 하여 미국 국회도서 주제명표목표(LCSH)에 한 지식 과 사용 경험을 요구한 경우는 필수요건으로 119 건, 추가요건으로 11건으로 총 130건(43.6%)이 있었다. 그 밖에 19건(6.4%)은 주제 분석을 한 일반 인 지식 MeSH와 같은 주제명표목표나 AAT와 같은 시소러스에 한 경험이나 지식을 요구하고 있었다. 3.2.8 편목 능력: 력체제 다른 기 과의 력체제를 활용한 목록작성 은 OCLC가 설립된 1960년 부터 시작되어 부분의 도서 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채용공고에서 OCLC 분담편목의 경험을 요 구하는 경우가 133건(44.6%)으로 압도 으로 많았으며, 력체제나 서지 유틸리티에 한 경험을 요구하는 일반 항목은 매우 었다. 이 는 재 서지 유틸리티로서 WLN, RLIN 등을 56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통합한 OCLC의 표성이 크기 때문에, 명확히 OCLC 분담편목의 활용 경험으로 명시하는 경 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그 밖에 력체제 활용 경험을 요구한 것은 미국국회도서 이 주 하여 운 하고 있는 PCC(Program for Cooperative Cataloging)의 세부 로그램인 NACO(Name Authority Cooperative Program), CONSER (Cooperative online serials Program), SACO (Name Authority Cooperative Program), BIBCO(Monographic Bibliographic Record Program)이 있었다. 기타 항목으로는 SuDoc, OhioLink와 같은 특정 국가나 지역의 력체 에 한 지식이나 활용 경험을 요구한 경우이 다. 체 으로는 152건(51%)의 공고에서 한 가지 이상의 력체제에 하여 요구하고 있었 다(<표 8> 참조). 3.2.9 외국어 능력 다양한 언어의 자원들을 조직하기 해 필요 한 외국어 능력에 있어서는 어도 1개의 외국 어에 한 요구가 필수요건으로 40건, 추가요건 으로 45건으로 총 85건(28.5%)이 있었으며, 2 개 이상의 외국어 능력을 요구하는 경우는 필수 요건 5건, 추가요건 38건으로 총 43건(14.4%) 의 요구가 있었다. 외국어 종류로는 스페인어, 랑스, 독일어 등이 가장 많았으며, 아시아 언 어, 라틴어, 터키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3.2.10 정보기술 능력 정보조직 분야에 있어서의 정보기술의 활용 은 보편화된 일이며, 정보시스템 기술 분야 를 제외하면 도서 의 다른 분야보다 가장 많 이 요구되는 분야이다(최상희 2008). 정보기술에 한 반 인 지식 는 컴퓨터 사용 능력 등으로 표 된 일반항목은 43건 (14.4%)으로 나타났다. 도서 업무용 S/W 사 용 경험에 한 요구는 채용공고에 나타난 모든 요건들 에서 가장 높은 비율(205건, 68.8%) 을 차지하고 있었다. 도서 업무용 S/W 가 장 많은 요구는 통합도서 시스템(Integrated Library System: ILS)으로 Voyager, Millennium, Aleph 등 특정 시스템을 언 한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자자원과 련된 S/W(ERMS, 링킹 시스템, 메타검색시스템 등), 편목도구 S/W (Cataloger's Desktop, & Classification Web, MARCedit 등), CONTENTdm과 같은 디지 털자원구축 리 S/W도 포함되어 있었 다. HTML, XML, XSLT 기술이나 웹 디자인, Dreamweaver와 같은 웹 작도구 등 웹 기술에 한 요구는 37건(12.4%), Oracle, My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사용 능력은 34건(11.4%)이 있었다. 기타 항목 62건(20.8%)으로는 MS- Office 등의 사무용 S/W, 기본 인 로그래 능력, 기타 기 에서 특별히 요구하는 S/W 사 용 경험 등이 있었다(<표 9> 참조). 구 분 일반 OCLC NACO CONSER SACO BIBCO 기타 필수요건 6 112 11 9 3 2 10추가요건 1 21 18 4 10 10 합계 7 133 29 13 13 12 <표 8> 편목능력: 력체제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57 구 분 일반 도서 S/W 웹 기술 DB 기타 필수요건 35 132 22 26 62추가요건 8 87 15 8 합 계 43 205* 37 34 * 필수요건과 추가요건 복 14건을 제외한 수치임 <표 9> 정보기술 능력 3.2.11 인 계 기타 업무능력 인 계 기타 업무능력에 있어서는 무엇 보다도 커뮤니 이션 기술에 한 요구가 150 건(50.3%)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에서 부 분이 필수로 요구하고 있었다. 리더쉽/감독 능 력에 한 요구가 127건(42.6%)으로 반 가 까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환경에서 원활하 게 일하는 능력 타 부서와의 상호 력 능력 을 요구한 경우는 99건(33.2%)이 있었다. 도서 정보조직과 련된 최신 동향 악은 69 건(23.2%), 리하는 직원에 한 교육/훈련 능력은 55건(18.5%)의 요구가 있었다. 이용 자 심 서비스 자세를 요구한 경우가 31건 (10.4%) 있었는데, 이는 높은 수치는 아니나 통 으로 이용자와의 직 인 이 은 정보조직에 있어서 별도로 이러한 서비스 자세 를 요구하고 있다는 에서 정보조직 업무 성 격의 변화를 반 하고 있다고 사료된다(<표 10> 참조). 이밖에도 독립 인 업무 수행 능력, 변화하 는 환경에 한 응력, 문제해결 능력, 창의력, 계속교육을 통한 지속 인 자기 개발의 요구가 있었다. 한 문 분야의 연구 학술활동도 요구하 는데, 이는 미국 학도서 에서의 사 서직은 종신재직권과 교수로서의 직 을 보장 받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기 한 연구업 학술단체의 참여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인 계 업무능력에 있어서 리자 과 일반사서직 을 비교하여 보았는데, <그림 1> 에서 나타나듯이 상호 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리자 에 한 요구 비율이 높았다. 다만 리 더쉽/ 리 능력을 제외한 다른 항목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고, 상할 수 있듯이 리더쉽/감독 능력에 있어서는 리자 의 요구가 2배 이상 되었다. 교육/훈련의 비율도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되었으나 실제로는 리자 과의 차이가 크지 않았는데, 이는 일반직 사서의 경우에 도 업무보조직원이나 학생들에 한 교육/훈련 의 책무가 지 않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구 분 커뮤니 이션 리더쉽/감독 상호 력 동향 악 교육/훈련 이용자 심 필수요건 143 102 94 62 44 31 추가요건 7 25 5 7 11 0 합 계 150 127 99 69 55 31 <표 10> 인 계 업무능력 58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그림 1> 인 계 업무능력에서의 직 별 요구 비율 4. 정보조직 사서직 직무 유형 분석 채용공고에 나타난 정보조직 사서직의 직무 유형을 세분하여 살펴보고자 용어 클러스터링 을 통해 2.2.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군집, 군집, 소군집의 3단계로 군집을 생성하 고, 주제어를 검토하여 각 단계의 군집 특성을 살 펴보았다. 2가지 군집(Large Cluster: LC)의 경우 LC1에 속한 채용공고는 총 174건이고 상 표 주제어는 metadata, MARC, bibliographic, authority, original, copy 다. LC2는 총 124건이 고 상 표 주제어에 access, resource, digital, electronic, technology, serial이 포함되었다. 표 주제어를 통해 LC1은 통 인 정보조직의 특성이 반 되었고, LC2는 자자원, 디지털자 원, 정보기술과의 연 이 많은 군집으로 분석 되었다. LC2의 경우 serial이 포함된 것은 표 인 자자원인 자 과 상통하기 때문이 라고 생각된다. LC2와 련이 깊다고 생각한 metadata가 오히려 LC1의 표 주제어로 나 타난 것은 특이할만한 일인데, 이를 통해 미국 도서 에서는 이제 metadata가 정보조직에 있 어 일반 인 용어가 되었으며, 자자원을 다 루지 않더라도 metadata에 한 기본 인 지 식은 기존 자원과의 통합 인 에서 필요하 다는 것을 반 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9가지 군집(Medium Cluster: MC)의 건 수와 각 군집에 해당하는 주제어는 <표 11>과 같다. LC1에 속하는 5가지 군집을 살펴보면, 가 장 큰 건수를 가지는 MC1은 메타데이터, 데이 터베이스, 거제어, 학, MARC이 주제어로 나타났다. 데이터베이스가 정보기술과 연 이 있으나 이미 오래 부터 도서 의 목록이 산 화되어 리되었기 때문에 LC1에 속하는 군 집에서 출 한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MC4 는 주제어를 살펴보면 통 인 목록작성과 가 장 연 이 많은 군집임을 확인할 수 있다. MC7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59 군집 군집 표 주제어 번호 건수 번호 건수 LC1 174 MC1 55 metadata, database, authority, university, MARC MC4 37 copy, original, monography, head, complex MC7 34 MARC, OCLC, authority, clerk MC8 24 reference, copy, material, complex, original MC9 24 book, processing, shelving, archive, technician LC2 124 MC2 43 serial, service, manage, technical, acquisition MC3 44 system, technology, manage, oversee, leadership MC5 23 digital, metadata, repository, institutional, university MC6 14 license, electronic, resource, access, e-journal <표 11> 직무 유형 군집 건수 주제어 과 MC8 역시 통 인 목록작성을 나타내는 주 제어가 많았으며, MC7에서는 OCLC가 주제어 로 추출되어 자격요건을 확인하니 평균 OCLC 분담편목 경험인 45%보다 20% 이상 높은 68% 가 채용 요건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MC8에서는 정보 사(reference)가 에 띄는 주제어인데, 직명 가운데 Cataloging/Reference Librarian 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50%에 가까운 채용공고 에서 정보 사 서비스 제공을 책무에 포함하고 있었다. MC9는 장비작업과 사서 보조직원 련어가 주제어로 추출되었는데, 장비작업의 업 무를 주로 하는 임시직, 사서 보조직원의 채용 공고 부분을 차지하는 특정 도서 인력 견 업체의 공고가 58%를 차지하고 있었다. LC2에 속하는 4가지 군집을 살펴보면, MC2는 연속간행물, 기술 사, 리자의 역할을 나타내는 주제어를 가지고 있었다. MC3는 리자의 역할과 정보기술과 연 이 많은 주제어 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MC5는 디지털, 포지 터리, 학 등이 표 주제어로 나타났다. MC5 에 속하는 23건의 종을 살펴본 결과 평균 학 도서 의 비율인 67%보다 훨씬 높은 87%에 해 당하는 20건이 학도서 에 해당되었다. MC6 의 주제어에는 자자원의 특성이 가장 잘 반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3개의 소군집의 건수 주제어는 <표 12> 와 같다. 각각의 군집에 포함된 소군집의 특 성을 살펴보면, MC1에 포함된 SC1은 메타데이 터, 데이터베이스, 리자 련 주제어를 가 지고 있었고, SC1의 리자 의 비율을 확인한 결과 평균 29%보다 훨씬 높은 44%로 나타났 다. SC5는 주제(subject)가 다른 소군집과 차 별화되는 용어인데, 교육요건과 외국어 능력을 확인한 결과 40% 이상의 공고에서 특정 주제 분야나 2개 이상의 외국어 능력을 요구하고 있 었다. SC11은 특별한 주제어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SC13은 데이터베이스, 거제어의 주제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MC2에 속하는 SC4, SC19 역시 통 인 목록작성 연 이 많 은 주제어를 가지고 있었으며, SC4는 48%의 리자 비율을 반 하는 주제어도 있었다. OCLC, authority, clerk이 주제어인 MC7에 속 하는 SC12는 이 군집에 속하는 채용공고 50%가 요구하는 거제어가 주제어로 포함되어 있었고, 60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군집 번호 군집 번호 소군집 표 주제어 번호 건수 LC1 MC1 SC1 16 metadata, database, head, leadership SC5 17 subject, metadata, bibliographic SC11 14 metadata, MARC, standard SC13 8 quality, database, authority, metadata MC4 SC4 21 coordinator, complex, head, copy SC19 16 copy, print, original, MARC MC7 SC12 18 control, authority, metadata SC20 11 manuscript, subject, MARC, curator SC23 5 transcribe, clerk, card MC8 SC16 17 reference, public, instruction, complex SC18 7 copy, complex, director MC9 SC17 11 book, backlog, assist, card SC21 7 process, technician SC22 6 archive, shelving, process LC2 MC2 SC2 9 serial, binding, journal, electronic SC7 20 service, technical, acquisition, collection SC8 14 lead, strategy, plan, budget MC3 SC3 11 university, leadership, profession, oversee SC6 26 function, technology, oversee, director, plan SC14 7 manage, system, administrator, staff MC5 SC9 11 metadata, digital, university, harvest SC15 12 digital, repository, institutional, technology MC6 SC10 14 license, electronic, resource, access, e-journal <표 12> 직무 유형 소군집 건수 주제어 SC20은 필사본, 큐 이터, 그리고 SC5와 마찬 가지로 주제(subject)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채 용기 박물 의 성격을 가진 Shakespeare 문도서 이 30% 가까이 차지하고 있었고, 50% 이상의 공고에서 특정 주제분야나 2개 이 상의 외국어 능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SC23은 5건 모두가 카드목록을 MARC으로 환하는 로젝트를 한 도서 인력 견업체의 보조 원(clerk) 채용공고 으며, 주제어 한 이를 반 하고 있었다. reference와 카피 목록을 보 완하는 수 의 편목과 련된 complex를 주 제어로 가지는 MC8에 속하는 SC16, SC18은 complex라는 주제어가 공통 으로 나타났으 며, SC16에서는 65%의 공고에서 정보 사 서 비스 제공을 책무에 포함하고 있었고, SC18에 서는 리자의 특성이 나타났다. 장비작업과 사 서 보조직원 련어를 주제어로 MC9에 속하는 3개의 군집은 공통 으로 인력 견업체의 공고 비 이 매우 컸으며, SC17에는 미정리 도서 편 목을 한 임시직 채용공고가 많았고, SC22에 는 기록 리와 연 된 직명이 50% 차지했으며 장비작업을 나타내는 주제어가 추출되었다.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61 연속간행물, 기술 사를 나타내는 주제어를 가지는 MC2에는 3개의 소군집이 속하 는데, SC2는 연속간행물과 학술지가, SC7은 기술 사, 수서, 장서개발과 련된 주제어가 나타났 다. SC8의 경우 리자의 역할을 나타내는 주 제어만이 상 에 나타났고, 직명을 추가로 살 펴본 결과 기술 사와 계속자료를 포함하는 직 명이 80% 정도 나타났음을 확인하 다. 리 자의 역할과 정보기술을 나타내는 주제어를 가 지는 MC3에 속하는 소군집 역시 비슷한 주제 어가 나타났다. 다만, SC3의 경우는 100%가 모두 학도서 이었고, 이를 반 하는 주제어 인 university가 상 주제어로 나타났고, SC6 과 SC14는 의미는 동일하나 사용된 주제어가 상이하여 군집이 분리되었다. 디지털과 포지 터리가 표 인 주제어인 MC5에 속하는 SC9 와 SC15는 메타데이터, 디지털, 기 포지터 리와 련된 주제어가 추출되었고, SC15는 SC3 과 같이 11건 모두가 학도서 인 특성이 반 되었다. SC10의 특성은 앞서 살펴본 MC6과 동일하다. 5. 결론 및 제언 20세기 반 이후 나타난 컴퓨터와 정보통신 의 발달은 통 인 정보조직의 근본 인 변화 를 가져왔고, 인터넷의 등장과 웹 환경으로의 속한 변화는 엄청난 양의 자자원과 디지털 형태의 정보를 생산하며 이에 한 정보조직을 새로운 과제로 내놓았다. 이와 같은 도서 장에서의 환경 변화에 효과 으로 응하기 해서는 정보조직 사서직의 역할이 확 되고, 보 다 다양한 지식과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주장 들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들이 최근 미국 도서 사서직 채용공고에 얼마나 반 되고 있는가 를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 군집분 석을 통해 세부 직무 유형도 조사하 다. 총 11 개의 세부항목으로 나 어 살펴본 정보조직 사 서직에 요구되는 자격과 역량에는 통 으로 열거되었던 AACR2, LCRI, LCC, DDC, LCSH 과 같은 편목, 분류, 주제분석을 한 도구들과 MARC 형식이 여 히 많은 비 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FRBR, RDA와 같은 서지제어 모형과 새로운 표 , 그리고 자자원을 기술하 기 한 다양한 메타데이터 형식의 이해도 요구 하고 있었다. 목록 작성을 한 력체제에 한 경험은 반 이상 요구하고 있었으며, 하나 이상의 외국어에 한 요구는 30% 정도가 있었 다. 정보기술 능력 가운데 도서 업무용 S/W 사용 경험에 한 요구는 채용공고에 나타난 모 든 요건들 에서 가장 높은 비율(68.8%)을 차 지하고 있었고, 이 가운데는 통합도서 시스템 에 한 경험 요구가 가장 많았다. 주목할만한 은 자자원과 련한 다양한 S/W(ERMS, 링킹 시스템, 메타검색시스템 등)에 한 요구 가 지 않게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도서 자 원 에서 자자원의 비 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과 자자원과 련하여 메타데이 터 작성만이 아니라 이용자의 근도 함께 고 려됨을 반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인 계 기타 업무능력도 매우 다양한 요구들이 포 함되어 있었는데, 커뮤니 이션 기술에 한 요구가 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리더쉽/감 독 능력에 한 요구는 상하 듯이 리자 62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에서 70% 이상 차지하 다. 이용자 심의 서 비스 자세에 한 요구는 10% 정도로 높은 수 치는 아니나 통 으로 이용자와의 직 인 이 었던 정보조직 업무의 성격이 변화하 고 있음을 반 한 것이라 생각한다. 채용공고에 나타난 정보조직 사서직의 직무 유형은 크게 통 인 정보조직의 특성이 반 된 것과 자자 원, 정보기술의 특성이 반 된 것으로 나 수 있었다. 통 인 정보조직을 표하는 주제어 로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것은 미국의 경우 이 제 메타데이터는 정보조직에 있어 일반 인 용 어가 되었음을 보여 다고 여겨진다. 하 군집 들은 직 , 종, 자격요건, 공고 주체 등을 기 으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서 장에서 요구하는 사서의 역량을 키 우기 하여 정보조직 문직 양성 교육이 끊임 없이 변화․발 해야 하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본 연구결과를 기 로 하여 국내 정보조 직 교육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자자원 련 내용을 확 하고, 인쇄 자원과의 통합 시각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미국 도서 의 경우 자자원의 조직은 하나의 직무 유형으로 큰 비 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러나 국내의 경우 정보조직 교육에서는 비도서 자료 등의 일부 내용으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도서 장에서는 정보조직 련 부서 에서 자자원을 극 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존 자원과의 연계하여 이용자 에게 폭넓은 근을 제공하는데도 한계를 가지 고 있다(이지원 2011). 자자원의 계속 인 증가는 자명한 일이며, 이에 한 정보조직의 요성 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조직 교육에 있어 이론과 실습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조직과 련된 환 경의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더욱 가 속화되리라 상한다. 따라서 정보조직의 기본 개념, 정보자원의 생성에서 이용까지의 순환과 정에서 차지하는 역할의 요성과 다른 업무와 의 계, 주제분석, 분류, 편목의 기본 원리와 기 능 등에 한 기 인 이론의 토 가 단단히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론 교육을 한 효과 인 교수 방법에 한 고민은 반드시 필요할 것이지만, 실무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게 정보조 직의 이론만을 강조한다면 교육 효과에 있어 한 계를 가질 것이다. 물론 도서 장에 나가서 선임 사서에게서 보다 실제 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도서 환경에서 보 사서 에게 충분한 교육을 제공하고 업무를 수행하도 록 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실이다. 따라서 이 러한 교육은 자칫하면 단편 이고 단순한 기능 만 강조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 교육에 서 충분한 실습을 통해 이론 교육의 효과를 높 이고 장에 나갔을 때도 단기간 교육만으로도 업무 수행에 무리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정보조직 교육에 있어서의 극 인 정 보기술 활용과 연계를 확 해야 한다. 이는 앞 서 언 한 자자원 교육 실습과도 한 련이 있으며, 계속 으로 진화하는 웹 환경에 정보조직이 극 으로 응하기 해서도 필 요하다. 도서 시스템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습 이 가능하도록 하고, 웹과 함께 변화하는 도서 목록의 재 모습을 학생들이 직 찾아서 확인하도록 하며, 다양한 도서 련 S/W의 기능에 한 기본 인 지식과 활용 사례 소개 등이 실제 인 방법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 과정에 도서 장의 모습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직무 유형 분석 63 을 최 한 반 하고 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해야 한다. 이는 기존의 교수 방법이나 교실에서의 수업만으로는 한계를 가지는 사항 이다. 따라서 장실습이나 도서 사 활동 등 을 통해서 인 계 기타 업무 능력에 한 필요성을 직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문제기반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등 새 로운 교수 방법의 용을 통하여 문제해결능력, 분석 ․통합 사고, 커뮤니 이션 능력을 확 하고 상호 력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정보조직 업무의 역할과 요성을 재조명하고, 정보조직 사서직의 문성을 강화 하며,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보조직 교육이 개 선되는데 일조하기를 기 한다. 참 고 문 헌 노지 . 2011. 한국의 자료조직 교육에 한 진 단과 방향 모색. 한국도서 ․정보학회 지 , 42(1): 225-245. 박옥남. 2011. 정리사서 문성 재고에 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2(1): 95-116. 이재윤, 문주 , 김희정. 2007. 텍스트 마이닝을 이 용한 국내 기록 리학 분야 지 구조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1(1): 345-372. 이지원. 2011. 학도서 자자원 메타데이터 실 태 분석. 정보 리학회지 , 28(1): 221- 235. 정연경. 1997. 학도서 목록사서의 역할 자 격요건에 한 연구. 정보 리학회지 , 14(2): 143-163. 정연경. 1999. 목록사서직의 자격요건과 목록교 육의 방향: 1990년 반 이후 미국을 심으로. 제6회 한국정보 리학회 학 술 회 , 1999년 8월 18일-19일. 서울: 연세 학교. 정 미. 2005. 정보검색연구 . 서울: 구미무역. 조재인. 2010. 차세 목록 교육의 방향성에 한 연구. 한국도서 ․정보학회지 , 41(2): 127-145. 최상희. 2008. 구인 고에 나타난 정보기술 련 사서직 자격요건 분석. 한국도서 ․정 보학회지 , 39(1): 339-354. Albitz, Rebecca S. 2002. “Electronic resource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ies: A posi- tion announcement analysis, 1996-2001." Portal, 2(4): 589-600. Davis, Jane M. 2008. “A survey of cataloging education: Are library schools listening?”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6(2): 182-200. Joudrey, Daniel N. 2002. “A new look at US graduate courses in bibliographic con- trol.”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 terly, 34(1/2): 59-101. Joudrey, Daniel N. 2008. “Another look at grad- uate education for cataloging and the 64 정보 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organization of information.”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6(2): 137- 181. Hall-Ellis, Sylvia D. 2006. “Cataloging electronic resources and metadata: Employers’ expectations as reflected in american libraries and AutoCAT, 2000-2005.”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 In- formation Science, 47(1): 38-51. Hall-Ellis, Sylvia D. 2008. “Cataloger compe- tencies … What do employers require?"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6(3): 305-330. Han, Myung-Ja and Patricia Hswe. 2010. “The evolving role of the metadata librarian.” Library Resources & Tech- nical Services, 54(3): 129-141. Park, Jung-ran and Caimei Lu. 2009. “Metadata professionals: Roles and competencies as reflected in job announcements, 2003-2006."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2): 145-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