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12DC7D1C1A4C8F12E68777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405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성(性)에 한 개방 가치 과 문화 유입은 우리사회의 성 인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자아정체성을 확립해나가 는 학생에게도 향을 미쳐서 그들의 성역할 혼돈으로 이어 지면서 많은 사회 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Choi & Ha, 2004; Lee, Kim, & Choi, 2013). 우리나라 학생들은 학입 시 주의 교육에 집 되어 오다가 학입학 이후 갑자기 개 방 인 성 문화에 노출되는 경향이 높다. 이는 간혹 이성교제 에 심이 높아지는 시기의 학생들에게 한 성보호 제도 를 마련해주지 못한 채 성에 한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용하 여 다양한 신체 혹은 정신 건강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Kim, Moon, & Kang, 2013; Shim, 2016). 한편 2017년 10월 미국 화계에서 시작된 미투운동(MeToo Movement)이 한국에서는 2018년 1월 한 여성 법조인이 성폭 력 실상을 고발하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다. 성폭행이나 성희롱 을 청산하기 한 해시태그운동인 미투 캠페인으로 말미암아 성 자기주장에 한 심도 높아지게 되었다. 성 자기주장이 란 원치 않은 성 인 상황에서 자신의 거부 의사를 표 하여 자신 성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Choi, 2005). 이 에 더하여 성 상황에서 균형 인 자신의 감정, 자부심, 사회 으로 당당함을 추구할 수 있는 자율성이 내포된 개념이므로 성 자기주장을 증진시킴에 있어서 자기주장은 필수 요소이 며, 의사소통기술과 성 자기결정권을 아우른다고 할 수 있다 (Kim & Park, 2015; Kim et al., 2013; Lee & Lee, 2006). 성에 한 가치 을 정립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친 한 계에서 한 성 자기주장에 어려움이 있다면 후회나 자아존 감 하 등의 부정 정서를 경험할 가능성 한 높다(Kim et al., 2013). 원치 않은 성 인 상황에서 거부 의사를 표 할 수 있는 성 자기주장은 성 의사소통의 행동 략이기도 하기 때문에 (Kim, 2015), 일반 인 상황에서의 자기주장능력이 성 상황 에서 거부의사를 표 하는 성 자기주장과 무 하지 않을 수 있다(Kim et al., 2013). 그런데 성폭력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주변에 알리는 경우는 약 38% 수 이다(Statistics Korea, 2017). 이를 통해 나머지 더 많은 사람들이 성폭력 피해와 련해서 는 자신의 입장을 충분히 표 하지 못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 통 인 한국사회의 가부장 특성은 여성으로 하 여 상 방의 기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미덕으로 수용 하도록 하 다. 이와 같은 사회 분 기는 자기표 을 억제하 는 사회화된 언어와 메시지 속에서 타인은 물론 자신에게도 명확한 자기주장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Jang, Cha, & Lee, 1992). 따라서 이미 알려진 일반 인 상황에서의 자기주장이나 의사소통 능력 이외에도 성 자기주장 진에 보다 효과 인 의사표 략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 자기주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문제해결을 한 보다 기능 이고 도 인 표 방식이 요할 것으로 상되어 발언행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5권 제4호, 2019년 11월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25 No.4, 405-413, November, 2019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4.405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과 성지식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우 정 희1)․박 주 2) 주요어: 간호대학생, 자아존중감, 성건강 * 이 논문은 2018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 연구사업임(NRF-2018R1C1B6002021). 1) 건양 학교 간호 학 부교수 2) 건양 학교 간호 학 부교수(교신 자 E-mail: jypark@konyang.ac.kr) Received: July 26, 2019 Revised: September 23, 2019 Accepted: September 24, 2019 우 정 희 외 40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동을 통해 그 가능성을 악하고자 한다. 발언행동은 자신의 생각, 의견, 정보와 아이디어를 자발 으로 표 하는 극 이 고 건설 인 제안 행 에 속하기 때문이다(LePine & Van Dyne, 1998). 발언행동은 기존의 에 도 하고 항하는 속 성도 내포하고 있어 잠정 인 손해나 험을 감수해야하는 상 황 속에서의 도움행동의도와도 련이 있었고(Woo & Park, 2019), 간호 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의 측요인이기도 하 다 (Park, Woo, & Kim, 2019). 그러므로 간호 학의 교육과정 속 에 강조되고 있는 의사소통역량이 발언행동과 같은 극 인 의사표 의 형태로 성 자기주장에 향을 주는 요인일 가능 성을 확인하여 교육방향을 재고하는데 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자아존 감은 자신을 가치 있다고 생각하고 존 해주는 자 신에 해 느끼는 태도로써 자아존 감이 높은 사람은 건 하 고 만족한 인간 계를 유지하며 책임 있는 행동을 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에게 정 인 향을 주게 된다(Satir, 1972). 자아 존 감은 청소년 학생의 성 자기주장과 련성이 높은 요인(Kim & Park, 2015; Lee, 2001)이기도 하여 자아존 감이 낮은 청소년은 성 자기주장 한 낮아, 본인이 원치 않는 성 경험에 취약할 수도 있다(Lee, 2001). 성별에 따라서는 남 자 학생의 경우가 여자 학생에 비해 자아존 감과 성 자 기주장에서 좀 더 강한 상 계를 보이기도 하며 성별 간 차 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하 다(Kim & Park, 2015). 하지만 보편 으로 자아존 감은 자신을 보호하는 자기주장 방어 기술로의 가치가 있어 보이므로(Lee, 2001), 간호 학 생의 자아존 감을 높이는 략이 성 자기주장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과 계가 있는지 악할 필요가 있다. 일부 선행연구에서는 성에 일반 인 지식과 임신·성병 등과 같은 정보를 많이 할수록 성 자기주장이나 성 자율성이 높은 편임을 보여주고 있다(Choi & Ha, 2004; Kim et al., 2013). 그러나 선행연구(Kang, 2009; Shim, 2016; Whang, 2009)의 결 과는 지속 으로 성교육에 노출되어 왔다 하더라도 학생들 의 역별 지식수 은 다양하여 일 성을 제시할 수 없는 실 정이다. 일 연구에는 성폭력과 성역할 역에 한 이해수 이 높았다(Shim, 2016). 따라서 이러한 들이 최근 반 인 성 교육 양상의 변화나 공에 따라 성 련 지식을 교과목을 통 해서도 습득하게 되면, 성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다르게 작용 하게 되는지 확인하고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요인을 발언행동과 자아존 감을 통합 으로 악하여, 간 호교육방향을 정교하게 정립하는데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 본 연구의 목 은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과 성 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을 악하기 함이며 구 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 상자의 일반 특성,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 성 자기주장의 정도를 악한다. ∙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성 자기주장의 차이를 확인 한다. ∙ 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과 성 자기주장 간 의 상 계를 확인한다. ∙ 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과 성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을 확인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성지식, 자아존 감과 발언행동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을 확인하는 서술 조사연구이다. 연구 상 본 연구의 연구 상은 D시와 G시 소재 간호학과 재학 인 학생으로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상으로 편의표집 하 다. 표본 수 산정은 효과크기 .15, 유의 수 .05, 검정력 95% 주요 측변수 3개를 기 으로 하 을 때 119명이 산출되었고 약 20%의 탈락률을 고려하여 143 명을 상자로 선정하 다. 이 불성실한 응답 10부를 제외 하고 최종 133부를 분석에 사용하 다. 연구 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반 특성 11개 문항, 발언행동 8개 문항, 자아존 감 10개 문항, 성지식 40개 문항과 성 자기주장 12개 문항으로 총 81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 발언행동 발언행동은 Van Dyne과 LePine (1998)이 개발한 친사회 발언(Pro-social Voice) 5문항과 Farrell (1983)의 EVLN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모형에서 사용한 발언 3문항을 Chung (2014)이 8문항으로 통합한 도구를 학생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Park et al., 2019)를 사용하 다. 본 도구는 5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과 성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407 Likert식 척도로 ‘ 그 지 않다’ 1 에서 ‘매우 그 다’ 5 으로 채 하며 수가 높을수록 발언행동 수 이 높음을 의 미한다. Park 등(20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0이었으며 본 연구의 Cronbach's α=.91이었다. ● 자아존 감 본 연구에서 자아존 감은 Rosenberg (1965)가 개발한 자아 존 감 척도(Self-Esteem Scale)를 Lee와 Won (1995)이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 다. 이 척도는 정 자아존 감 5 문항과 부정 자아존 감 5문항 등 총 10문항이며 5 Likert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 그 지 않다‘ 1 에서 '매우 그 다’ 5 이며, 부정 문항은 역으로 환산하 으며 총 수가 높을수록 자아존 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Lee와 Won (1995)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89 으며, 본 연구의 Cronbach's α=.88이었다. ● 성지식 성지식은 Kye (1998)가 개발하고 Whang (2009)이 수정·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 다. 하 역으로는 성 생리(10문항), 성 건강(10문항), 피임(10문항), 성폭력 성역할(10문항)으로 구 성되어 총 40문항이다. 정답은 1 , 오답은 0 으로 처리되며 0 에서 40 으로 수가 높을수록 성에 한 지식정도가 높 음을 의미한다. Polit, Beck과 Owen (2007)의 공식에 따라 Liket 4 척도를 활용하여 Item-level Content Validity (I-CVI) 를 구하 다. 간호 학 5인의 교수로부터 평가된 I-CVI 평균 값은 1.0이었다. ● 성 자기주장 성 자기주장은 Ha, Jun, Yoo, Lee와 Cho (2007)가 개발한 성발달 평가척도의 하 요인인 성 자기주장요인 척도를 사용 한다. 이 척도의 문항은 총 12개이며, 청소년들의 이성교제나 이를 통한 성행동의 자기결정권, 성 련 행동의 합의 인 의사 결정능력, 효과 인 의사소통과 자기주장 내용을 묻는 문항들 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 Likert 척도로 이루어져있으 며, ' 그 지 않다 1 에서 '매우 그 다‘ 5 으로 수가 높을수록 성 자기주장이 높음을 의미한다. Ha 등(2007)의 연 구에서 Cronbach's α=.86이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0이 었다. 자료 수집 방법 윤리 고려 본 연구는 설문조사 상 간호학과의 사 기 동의서를 첨 부하여 소재 학기 의 생명윤리 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거쳐 연구승인(IRB No. 2019-168-02)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학과 게시 에 공고 문을 게시하여 상자를 모집하며, 자발 으로 찾아오는 상 자에 한하여 연구자로부터 교육받은 연구보조자가 연구 상 자에게 연구의 목 설문 내용에 하여 설명하고 서면동 의서를 작성한 상자에게 설문지를 직 배부하 다. 연구의 목 과 취지에 한 내용 자료의 익명성과 비 보장, 사생 활 보장, 연구의 참여 과정에서 언제든지 원하지 않을 경우 단할 자유가 있으며, 이로 인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음에 한 내용 등을 설명하고 추가로 같은 내용을 설명문을 제시하여 필요 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 다. 작성한 설문지는 개인정보 식별이 불가능한 수거박스에 본인이 직 제출하도록 하고 연 구보조자가 최종 수거하여 연구자에게 달하 다. 설문에 참 여한 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 다.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로그램을 이용하 으며 구체 인 통계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 상자의 일반 특성,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과 성 자기주장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 편차로 산출하 다. ∙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성 자기주장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 다. ∙ 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 성 자기주장 간 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 다. ∙ 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기 해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 로 분석하 다. 연구 결과 상자의 일반 특성 일반 특성에 따른 성 자기주장의 차이 연구 상자의 평균연령은 20.97±3.49세이며 성별은 여자가 110명(82.7%), 학년은 2학년과 3학년이 각각 50명(37.6%), 40 명(30.1%)으로 다소 많았다. 종교는 없다고 응답한 상자가 77명(57.9%), 성격은 자신을 외향 이라고 생각하는 상자가 73명(54.9%)로 다소 많았으며, 가족과 동거 여부에서는 부분 가족과 떨어져 자취나 기숙사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 다(98명, 73.7%).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경우가 더 많았지만(96명, 72.2%), 키스 이상의 신체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없다 고 응답한 상자가 약간 더 많았다(70명, 52.6%). 가정경제수 은 간 정도(70명, 52.6%), 아버지의 개방성에 한 지각정 우 정 희 외 408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도는 높거나 간 정도라 느끼는 상자가 각각 48명(36.1%), 어머니의 개방성에 한 지각정도는 높다고 보는 경우가 59명 (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1). 본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성 자기주장의 차이 는 거주형태에서 가족과의 동거를 하고 있는 상자와 자취나 기숙사생활을 하고 있는 상자에서 성 자기주장에 하여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2.29, p=.024). 그 외 개인 특성인 성별(t=0.18, p=.859), 학년(t=1.31, p=.273), 종교(t=-0.24, p=.808), 성격(t=0.69, p=.491), 이성교제 경험(t=-0.45, p=.656), 키스 이상의 신체 경험(t=-1.39, p=.167)을 비롯하여 가족 특성의 지각된 아버지의 개방성 (t=0.72, p=.487), 지각된 어머니의 개방성(t=0.28, p=.758)은 성 자기주장에 하여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Table 1). 상자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과 성 자기주장 정도 본 연구 상자의 발언행동은 5 만 3.39±0.68 정도 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 감은 3.91±0.58 , 성지식은 40 만 33.67±2.04 이었다. 성 자기주장은 5 만 4.45±0.37 이었다(Table 2).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과 성 자기주장의 계 Table 1. Differences in Sexual Assertive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33) Variables Categories n (%) or Mean±SD Sexual assertiveness Mean±SD t/F (p) Age (year) 20.97±3.49 Gender Male 23 (17.3) 4.46±0.30 0.18 (.859) Female 110 (82.7) 4.45±0.47 Grade 1st 16 (12.0) 4.59±0.22 1.31 (.273) 2nd 50 (37.6) 4.46±0.38 3rd 40 (30.1) 4.38±0.43 4th 27 (20.3) 4.47±0.29 Religion Yes 56 (42.1) 4.44±0.34 -0.24 (.808) None 77 (57.9) 4.46±0.38 Personality Extroverted 73 (54.9) 4.47±0.34 0.69 (.491) Introverted 60 (45.1) 4.43±0.40 Residence type Live with family 35 (26.3) 4.54±0.21 2.29 (.024) Dormitory/Living alone 98 (73.7) 4.42±0.40 Dating experience Yes 96 (72.2) 4.44±0.34 -0.45 (.656) None 37 (27.8) 4.48±0.42 Physical contact (more than kiss) Yes 63 (47.4) 4.40±0.35 -1.39 (.167) None 70 (52.6) 4.49±0.37 Economic status of parents High 43 (32.3) 4.47±0.38 1.75 (.179)Middle 70 (52.6) 4.48±0.32 Low 20 (15.1) 4.31±0.44 Father’s openness High 48 (36.1) 4.40±0.39 0.72 (.487)Average 48 (36.1) 4.49±0.40 Low 37 (27.8) 4.47±0.27 Mother’s openness High 59 (44.4) 4.45±0.37 0.28 (.758)Average 44 (33.0) 4.48±0.41 Low 30 (22.6) 4.43±0.30 Table 2. Level of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ssertiveness (N=133) Variables Mean±SD Min Max Voice behavior 3.39±0.68 1.75 5.00 Self-esteem 3.91±0.58 2.40 5.00 Sexual knowledge 33.67±2.04 28.00 37.00 Sexual assertiveness 4.45±0.37 3.00 5.00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과 성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409 본 연구 상자의 성 자기주장에 하여 자아존 감(r=.34, p<.001)과 발언행동(r=.24, p=.006)은 각각 통계 으로 유의한 양의 상 계를 보 다. 한 자아존 감은 발언행동과도 유 의한 양의 상 계(r=.42, p<.001)를 보 다. 성지식은 발언행 동, 자아존 감 성 자기주장에 하여 통계 으로 유의한 상 계는 확인되지 않았다(Table 3). 상자의 성 자기주장에 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상자의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련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단계 다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오차항의 등분산성 과 정규성을 검토하기 해 표 화 잔차 정규 P-P도표 (probability plot)를 확인한 결과 정규분포를 보 고, 잔차 산 도 상 등분산이 확인되었으며 잔차의 독립성 검토를 해 Durbin-Watson값을 확인한 결과 1.98로 2에 가까워 자기상 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독립변수 간 다 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회귀분석의 공차한계(tolerance)는 0.98, 분산팽창 지수(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는 1.00으로 독립변수 간 다 공선성은 없음을 확인하 다. 따라서 본 연구모형은 단계 다 회귀분석을 한 가정을 충족하 다.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하여 일반 특성에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던 가 족과의 동거 여부를 악하는 거주형태와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분석을 수 행한 결과, 자아존 감(β=.34, p<.001)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자아존 감이 높을수록 성 자기주장 정도가 높았다 (F=17.46, p<.001).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한 자아존 감의 설명력은 12% 다(Table 4). 논 의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 성 자기주장 정도를 악하고 성 자기주장의 향요인을 확 인하기 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은 5 만 에 3.39 으 로 이는 일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결과(Park et al., 2019)인 3.22 과 약간 높거나 비슷한 수 이었다. 비슷한 수 의 발언 행동 수 을 보인 것은 교육과정 내 의사소통을 포함하고 있 는 간호학을 공하는 면에서 기인한 유사 일 수 있다. 하지 만 일반 학생이 보여 3.73 보다 낮은 수 (Lee & Park, 2017)인 면에서는 추가 인 심이 요구된다. 선행연구에서 발 언행동은 간호 학생 임상수행능력 측요인이었으며(Park et al., 2019), 괴롭힘을 당하는 동료에게 도움행동을 할 수 있는 의지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이기도 하 다(Woo & Park, 2019). 간호사에게는 때로 환자 옹호자로서 부서 간 건설 인 의견 교환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의사소통능력을 기반으 로 보다 극 인 의견개진 능력을 함양하기 한 발언행동 역량을 한 교육방향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자아존 감의 경우 5 만 의 3.91 으로 일반 남녀 학생 의 성 자기주장 향요인 연구(Kim & Park, 2015)에서 보여 5 환산 수 4.06 과 3.96 과 비슷한 수 이고, 여 생의 성 자기주장 향요인 연구(Choi, 2005)에서 나타난 3.73 과 는 약간 높거나 비슷한 수 이었다. 체로 학생의 성 자기 주장과 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자아존 감 수 이 비교 높은 수 을 보여 것은 자신이 원하지 않은 성희롱 이나 성폭력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할 능력(Lee, 2001)이 어 느 정도는 있다고 해석될 수 있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간호 학생 성지식 수 은 40 만 에서 33.67 수 이었다. 이는 학생 28.4 , 고등학생 30.9 학 생 31.6 이로 나타난 연구(Whang, 2009)나 보건계열 학생 의 성지식 30.7 (Shim, 2016)보다는 다소 높은 수 이라고 할 수 있다. Whang (2009)은 여학생은 31.6 , 남학생은 30.9 으 Table 3. Correlation between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ssertiveness (N=133) Variables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r (p) r (p) r (p) Self-esteem .42 (<.001) Sexual knowledge .03 (.736) -.08 (.381) Sexual assertiveness .24 (.006) .34 (<.001) .06 (.498)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 Assertiveness (N=133) Variables B SE β t p R2 Adjusted R2 F p (Constant) 3.60 0.21 17.47 <.001 .12 .11 17.46 <.001 Self-esteem 0.22 0.05 .34 4.12 <.001 우 정 희 외 41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지식 수 이 다소 높았는데, 이는 남학생의 비 이 34.4% 던 Shim (2016)의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일반 으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 성교육 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 실을 반 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 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상 으로 다소 높았던 본 연구 상자의 성지식 수 은 상자가 간호계열 학생이면서 특성 상 여학생이 많았던 이 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 다. 성교육목 의 성지식을 의도 으로 강조하지는 않지만 학 문 련성과 성별에서 오는 차이를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성 자기주장의 차이 는 유일하게 주거유형에서 나타났다.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집단과 혹은 가족과 분리되어 기숙사나 자취를 하고 있는 집 단을 구분하여 보았을 때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집단이 그 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성 자기주장 정도가 높았다. 성 자기 주장을 할 수 있는 원천이라고 보는 성 자율성에 거주형태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성별, 공, 종교, 성교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인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Kim et al., 2013). 일부 측정이 동일하지 않은 요인을 제외하고도 성별, 연령, 종 교, 성교경험 거주형태에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이다. 이에 성 자기주장에 향을 미치는 일반 특성을 정교하게 구성 하고 다양한 환경의 간호 학생을 상으로 반복연구를 시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상자인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하여 자아 존 감과 발언행동 순으로 양의 상 계를 보 다. 자아존 감은 일반 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있어 련성이 높은 요인 (Choi, 2016)이며 특히 남학생이 더 높은 련성을 보 다는 연구(Kim & Park, 2015)와 낮은 강도(r=.09)의 양의 상 성을 제시한 연구결과(Choi, 2005)를 지지하 다. 발언행동과 성 자기주장 간 련성을 확인한 연구는 없어 직 비교가 어려워 다르지만 유사성을 가진 자기주장과 의사소통요인으로 살펴보 았다. 일반 학생들의 성 자기주장에 하여 자기주장은 높 은 양의 상 성을 보 다(Kim et al., 2013). 자기주장은 자신 의 감정과 의견을 표 하고 상 방에게 합리 으로 요청하거 나 비합리 인 요청을 거 하는 것 등을 의미하므로 발언행동 과 비교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 외 역기능 인 의 사소통유형들과는 음의 상 성을, 기능 인 의사소통과는 양의 상 성을 보 거나(Choi, 2005), 부모-자녀 간 개방 의사소통 을 하는 경우는 남녀 학생 모두 양의 상 성을, 역기능 의 사소통은 남녀 학생 모두 음의 상 성을 보 고, 성별 간 남 학생이 더 강한 상 성을 보인 결과(Kim & Park, 2015)와 유 사한 맥락이다. 한편 성지식은 보건계열 학생의 혼 성허용 도에는 음의 상 성(Shim, 2016), 청소년기 상의 성 자율 성과는 양의 상 성(Whang, 2009)을 보 던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보건계열 공의 특성이 반 된 결과 이거나(Kim et al., 2013) 상의 세분화 정도에 따른 차이 (Whang, 2009)에서 기인한 것인지 교육수 과 연령을 세분화 하여 청소년기의 성지식과 성 자기주장과의 련성을 확인하 는 반복연구는 성교육 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 상인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자아존 감만 이 유일하게 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간호학과 여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자 아존 감이 가장 요한 요인이라는 에서는 일 연구(Choi, 2016)와 같은 결과이다. 학생의 성 자기주장에 자기주장이 유의한 측요인이었던 연구(Cho & Kim, 2014; Kim et al., 2013)에서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발언행동은 측요인에서 배 제되었다. 한편 학생 남학생의 모-자녀 간 개방 역 기능 의사소통, 부-자녀 간 역기능 의사소통, 종교와 자아 존 감이 성 자기주장을 측하 고, 여학생의 경우 자아존 감과 모-자녀 간 개방 의사소통이 성 자기주장을 측하 던 연구(Kim & Park, 2015)와는 의사소통 련 요인이 포함된 부분은 불일치하 고, 자아존 감은 일치하는 요인이었다. 자 아존 감은 청소년들의 비행행 와 높은 련성을 가지며(Lee, 2001), 폭력을 이는데 정 인 기능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 져 있다(Reasoner, 1994). 하지만 성 자기주장에 한 자아존 감의 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Choi, 2016), 성별을 통제한 반복연구를 통해 신 한 해석이 요구된다. 간호 학생의 경우 의사소통역량을 핵심역량의 하나로 간주 하고 교육과정에 다양하게 포함되어 교육하고, 성지식의 경우 에도 간호학 학습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배양되는 것이므로 부분의 학생들 간 수 차이가 크지 않은 부분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발언행동이나 성지식이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 장에 향을 미치는지 통계 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면 여 히 발언행동이나 성지식은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 능력에는 잠재 인 힘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이나 성지 식 함양은 이미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수 에서 유지시켜 나가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 높은 자아존 감은 청 소년 학생들에게 다양한 분야에서 정 인 향을 주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반에서 다각 인 자아존 감 향상 로그램들이 마련된다면, 의사소통이나 성지식처럼 성교육에 화하는 형식을 갖추지 않아도 성 자기주장 능력에 정 인 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 수 을 강화하기 하여 무엇보다 자아존 감이 요한 요인임을 확인한 것에 의 의가 있다. 그러나 일 지역의 2개 학의 간호 학생만을 편의 추출하 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는 제한 이며, 한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과 성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411 12% 수 의 설명력이므로 해석에 신 을 기하여야 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 성지식 성 자기주장과의 련성을 확인하고 성 자기주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 학 생의 자아존 감만이 성 자기주장에 유의한 향요인으로 확 인되었다. 따라서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을 향상시키기 한 교육 로그램은 자아존 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 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 학생의 성 자기주장의 향요인 은 보다 다양한 요인과 환경을 탐색하여 고려한 연구가 필요 하다. 둘째, 자아존 감은 다양한 결과변수의 설명변수로써 확 인되고 있고, 간호 학생에게 있어 자아존 감을 향상하기 한 노력은 개인이 성장하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핵심 략이 될 수 있으므로 자아존 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 그램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Cho, G. Y., & Kim, Y. H. (2014).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795-2806. Choi, M. H, (2005).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among wome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Choi, M. S., & Ha, N. (2004).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0(4), 318-330. Choi, S, H. (2016).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25(4), 367-374.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4.367 Chung, G. E. (2014). The effect of person-team value congruence on voice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peer trust and peer targeted voic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Farrell, D. (1983).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as responses to job dissatisfaction: A multidimensional scaling stud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596-607. https://doi.org/10.5465/255909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 4.1149 Ha, E. H., Jun, J. M., Yoo, M. S., Lee, S. H., & Cho, Y. J. (2007).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xual development assessment scale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6), 257-279. Jang, S. J., Cha, D. H., & Lee, S. W. (1992). Woman and assertiveness training.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1, 1-40. Kang, H. S. (2009). Emergency contraceptive pills: Knowledge, attitude, and intention of high school gir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4), 336-343. https://doi.org/10.4069/kjwhn.2009.15.4.336 Kim, B., & Park, J. S. (2015).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sexual assertiveness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1(1), 11-22. https://doi.org/10.4069/kjwhn.2015.21.1.11 Kim, H. J. (2015). Female adolescents` sexual assertiveness types: Q methodolog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1(4), 272-283. https://doi.org/10.4069/kjwhn.2015. 21.4.272 Kim, Y. H., Moon, S. T., & Kang, H. S. (2013).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66-175.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66 Kye, S. Y. (1998). The study of change in knowledge and attitude as the result of sex education: focusing on the 1st grade students in girl's middle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Lee, H., & Won, H. (1995). Self-concepts and paranoid tendency. Psychological Science, 4(2), 15-29. Lee, J., & Lee, E.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 sexual self-assertiveness scale for female.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1), 47-62. Lee, K. H., & Park, Y. S. (2017). The influence of voice behavior on individual performance appraisal: Moderating effects of team conflict and team network dens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4(4), 153-174. https://doi.org/10.14396/jhrmr.2017.24.4.153 Lee, S. K. (2001).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xual contacts and self-esteem, self-assertiveness of teenage girls 우 정 희 외 41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who have or had boyfriend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2), 212-228. Lee, Y., Kim, K. M., & Choi, S. (2013).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40-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40 LePine, J. A., & Van Dyne, L. (1998). Predicting voice behavior in work grou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6), 853-868. https://doi.org/10.1037/0021-9010.83.6.853 Park, J. Y., Woo, C. H., & Kim, H. (2019).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communication, voice behavior, silence behavior, and silence motivation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cade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5), 473-498. https://doi.org/10.22251/jlcci. 2019.19.5.473 Polit, D. F., Beck, C. T., & Owen, S. V. (2007). Is the CVI an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0(4), 459-467. https://doi.org/10.1002/nur.20199 Reasoner, R. W. (1994). Self-esteem as an antidote to crime and violence (ERIC No. ED373281). Retrieved from https://eric.ed.gov/?id=ED37328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Satir, V. (1972). People-making. Palo Alto, California: Science and Behavior Books, Inc. Shim, C. (2016). The study on sexual knowledge, contraception knowledge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8), 1-14.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8.05. Statistics Korea (2017). Survey of sexual violence in 2016. Retrieved from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orgId =154&confmNo=154012&kosisYn=Y Van Dyne, L., & LePine, J. A. (1998). Helping and voice extra-role behaviors: evidence of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1(1), 108-119. https://doi.org/10.5465/256902 Whang, I. (2009). A study of Korean students' sexual knowledge, self-regulation, attitude ,and their perception of unwed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Woo, C. H., & Park, J. Y. (2019). Mediating effect of voice behavior on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fairness and intention in help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n assumed bully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5(3), 229-238. https://doi.org/10.11111/ jkana.2019.25.3.229 간호 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 감과 성지식이 성 자기주장에 미치는 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2019년 11월 413 The Influence of Voice Behavior, Self-esteem and Sexual Knowledge on Sexual Assertive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oo, Chung Hee1)․Park, Ju Young2) 1)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2)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oice behavior, self-esteem and sexual knowledge on sexual assertive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voice behavior, self-esteem,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ssertiveness. During March, 2019, data were collected from 133 nursing students in D city and G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Voice behavior and self-este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xual assertiveness of participants, while voice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lf-esteem of participants. Also, self-esteem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exual assertiven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predictor explained 12% of their sexual assertiveness. Conclusion: The finding indicates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factor for sexual assertiveness of nursing students. It is also expected that self-esteem can further promote their sexual assertiveness. Keywords: Nursing students, Self-esteem, Sexual health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NRF-2018R1C1B6002021).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Park, Ju Young College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158, Gwanjeodong-ro, Seo-gu, Daejeon, 35365, Republic of Korea. Tel: +82-42-600-8563 Fax: +82-42-600-8555 E-mail: jypark@ko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