ÆмÇÇ¥Áö19±Ç½Ã¸®Áî J. fash. bus. Vol. 19, No. 2:149-170, May. 2015 ISSN 1229-3350(Print) http://dx.doi.org/10.12940/jfb.2015.19.2.149 ISSN 2288-1867(Online) 149 Corresponding author: Jeansuk Cho, Tel. +82-31-750-5948, Fax. +82-31-5954 E-mail : bich201@naver.com This research is a part of master’s thesis. This research was presented at the 2014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패브릭 패턴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목결 조진숙· + 가천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전공 The Development of a Bag Design Using the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Focusing on the Fabric Pattern Design Mokgyul Lee · Jeansuk Cho+ Dept. of Fashion Design, College of Art, Gachon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he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to bag design. Yi tribe is a minor ethic group in China, whose traditional pattern has a high artistic value in that its shapes are diverse and each one has peculiar elegance. Traditional patterns are also indicative of spiritual dept or symbolic stories, rather than being indicative of simple formative beauty. Thus, reorganizing these patterns and applying them artistically to design- in terms of resource utilization- would be significant. Out of all of the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the cherry blossom_( ), water wave_( ), sky father and earth 花 水波马樱 mother_( ), pomegranate blossom, triangle, sheep' horn, wisteria vine_( ), square 天父地母 藤条 and diaper_( ) and the zigzag_( ) patterns were chosen for use during the 四角菱形 曲折 development of a bag design. This study is based upon document study, including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web sites, the point of which was to investigate the form of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the creative design process. The design procedure includes these sub-processes: selection, arrangement and color-scheme. In the selection process, the form of the pattern was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The pattern was freely arranged to reflect various emotions. In terms of the color-scheme of the patterns, the colors used by Henri Matisse(1869-1954) in his work were selected and adapted when dyeing the patterns. Subsequently, the final design resulting from these design development processes was applied to the actual production of the bag by using canvas fabric and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50 서론. Ⅰ 현대사회에 산업주의 물질만능주의가 심화되면서 , 위기감의 해결방안으로 기계와 물질적인 가치보다는 자연과 정신적인 가치에 의미를 두는 동양문화에 대 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잡지나 인터넷을 살. 펴보면 서구에서는 아시아 여러 나라의 에스닉한 , 요소들을 패션 뿐 아니라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양문화의 . 물질적 관념과는 대조적인 동양문화의 정신을 재해 석하여 활용한 것이다 이처럼 동서양의 융합현상이 . 일어나는 세계적 흐름 속에서 동양의 전통적 요소에 대한 발굴과 이에 대한 활용을 모색하는 연구는 동 양문화에 대한 관심과 비중을 높이고 신선하고 우수 한 디자인을 개발한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이족은 본 연구자의 조상으로 박물관이나 전시회 또는 관련된 자료를 통 해서 살펴보면 전통복식이 매우 다채롭고 화려하여 , 문화적 자긍심을 갖게 한다 또한 이족의 전통복식. 은 그 자체의 아름다움 뿐 아니라 천백년이래 형성 된 전통 관념이나 문화를 심층적으로 보여주고 있으 며 더욱이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들은 그 형태가 , 독창적이고 아름다우며 심지어 어떤 문양들은 현대 화가의 작품을 연상케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문. 양은 대중들의 생활 풍습이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 현한 것으로서 오랜 역사를 통하여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한 민족의 전통문양으로 정착된다 따라. 서 전통문양 속에는 장식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그 민족의 의식이나 관념 즉 고유한 내면의 이미지를 , 간직하고 있다 단순히 형태적인 아름다움에만 그치. 지 않고 정신적인 내면의 깊이 또는 상징적 스토리, 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문화로부터 자유로운 세계적 . 디자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세계화와 다문화 시대의 . 흐름 속에서 현대의 많은 디자인은 문화적 시각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며 문화는 디자인의 이미지를 결정 하는 보이지 않는 뿌리이다 라는 측면에(Yun, 2013) 서 볼 때 민족 고유의 멋을 나타내는 전통문양들은 , 디자인의 이미지와 경쟁력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소 로서 독창적 아이디어 제시에 좋은 소재가 된다 따. 라서 이를 재편성하여 예술적으로 디자인에 활용한 다는 것은 자원의 활용 전통과 현대의 융합 그리고 , 전통문화의 재발굴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처럼 본 연구자는 조상의 전통문화를 발. 굴하여 현대적 디자인에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함으 로써 문화산업에 기여한다는 점에 자부심을 갖고,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는 이족의 전통문 양을 모티브로 창의적인 가방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가방은 물건을 넣어 들거나 메고 다닐 수 있게 만 든 용구(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로 처음에는 기능이 강조된 의복의 Languae, 1999) 부속물로 시작하였으나 현대에 와서 기능보다는 개 인의 외모를 장식해주는 패션소품으로서 의상에 버 금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세기 현대여성에게 있. 20 어서 가방은 단순히 실용적 목적 뿐 아니라 지위, 신분 취향 등을 상징하는 아이템이 되었다 특히 , . 가방의 로고나 디자인을 통해 사람의 직업이나 경제 적인 지위를 가늠하는 단서가 되어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도 한다(Jung, Kim, Bang, Cho & Kim, 최근 세계적인 가방 트렌드를 살펴보면 형2014). , 태적 측면보다는 소재의 측면에서 고유한 패턴과 색 상을 활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 일. leather, after which the bag image was proposed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conclusion, six bag designs were created using traditional patterns from the Yi tribe. Through the processes explained above, this study confirmed that traditional patterns could be widely applied as design motifs and that more sophisticated, modern, and creative designs could be developed based on traditional patterns. Key words : 이족의 전통문양 가방디자인Yi Tribe' Traditional Pattern( ), Bag Design( ), A 문양 배치 문양의 색채배색rrangement of the Pattern( ), Color-Scheme of the Pattern( )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51 반적으로 브랜드마다 가방의 외형 디자인은 거의 한 정되어 있고 그들만의 고유한 소재패턴을 개발함으, 로써 소비자들에게 상품인지도를 높이고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Sung & Oh, 2007).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가방디자인의 외형 은 손에 들고 다니는 손가방으로 박스형이며 일상,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캐주얼한 용도의 가방 이다 캐주얼한 용도의 가방은 정장용보다는 가격이 . 저렴하고 개발이 용이하기 때문에 소재패턴도 기하 학적무늬 꽃무늬 동물무늬 다양한 무늬의 믹스, , , , 팝아트무늬 에스닉한 무늬 등 다양하다, (Kim & 이러한 다양한 무늬의 홍수 속에서 본 Jung, 2011). 연구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전통문양에 현대 적 기법을 활용한 재해석은 현대적 요소의 접목을 통해 이를 차별화시키고 대중화 시킬 수 있다는 의, 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로 이족복식과 관련된 문 헌 인터넷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이족의 전통복식, , 과 문양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색채 배색을 위하여 . 야수파의 대표적 화가인 앙리 마티스(Henri 의 작품에 대해서도 고찰하였Matisse, 1869-1954) 다 색채배색은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면 한국적 . , 색상 유행색상 현대미술에 나타난 색상 디자이너 , , , 컨셉에 의한 색상 아프리카의 민속적 색상 사용 등, 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Kang & Cho, 2011). 연구에서는 문양의 형태는 전통적이지만 현대적이면 서도 글로벌한 이미지를 부여하고자 서양의 여러 현 대미술 작가들 중에서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를 선택하였다 이는 앙리 마티스 작품1869-1954) . 에 표현된 색채가 단순하고 강렬하기 때문에 의상과 조화를 이루거나 악센트를 주는 가방의 이미지를 표 현하는데 적절하다고 사료되었기 때문이다 실증적 . 연구로 가방디자인 개발과정은 문헌 인터넷 선행, , 연구 등을 통하여 얻어진 이론을 바탕으로 문양의 형태 선정 문양의 배치 문양의 색채 배색 등의 과, , 정을 거쳤다 문양의 형태 선정은 전통적인 형태를 .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으며 문양의 배치는 전통문, 양만을 배치한 것과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을 함께 배 치한 것 등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양의 색. 채 배색은 앙리 마티스의 작품들에서 색상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색상을 중심으로 배색하였다 이와 같은 , .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디자인은 캔버스 원단 (canvas)(Dictionary of the Costume 과 부, 2008) 분적으로 가죽을 사용하여 실제로 가방을 제작한 후 컴퓨터 시뮬레이션 작업을 통해서 가상으로 제, 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와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서 창의적인 가 방디자인이 개발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가방디자 인의 다양한 발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 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결과가 세계, 화를 향한 가방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론적 배경. Ⅱ 이족의 전통복식 1. 중국의 소수민족인 이족은 원래 고대의 강인 (羌 이 남하하여 서남지역의 토박이 부족과 서로 다)人 투고 경쟁해 나가면서 한편으로는 끊임없이 융합하 여 형성된 민족이다 원래 이족은 이라는 명칭. 夷族 이었는데 청나라 시절에 한족이 아닌 만주인을 이 오랑캐 라고 부르기 때문에 그 호칭을 싫어해서 ( : )夷 소리가 동음인 라는 글자로 교체하였다(Yi tribe, 彝 수당 이래로 이족의 조상들은 오랫동2013). ( ) 隋唐 안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그 활동범위를 점차 넓혀서 오늘날 운남 사천 귀주 의 ( ), ( ), ( )云南 四川 州贵 성 과 광서 의 일부분까지 이족의 핵심 거3 ( ) ( )省 广西 주지역이 되었다. 이족은 역사적으로 종족관념이 깊고 지계 가 , ( )支系 많으며 자연환경이 산 평야 강 등으로 이루어져 , , , 있기 때문에 복잡하다 따라서 지역별로 산업 유형. 이 다르고 다른 민족과의 교류정도에 따라 복식의 , 형태나 소재 액세서리 문양 등이 다른 특징을 이, , 루고 있다 즉 지역에 따라 복식에 전통(Figure 1). , 적인 특징이 강하게 나타나거나 다른 민족의 영향을 받은 것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공통적인 것은 이. 족이 호랑이를 숭상하고 검정색을 선호하며 불을 , 존경하고 무 를 숭상한다는 것이다, ( ) (The Cult of 武 Yi Tribe, 2013).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52 Figure 1. Yi Tribe's Environment -http://www.9tour.cn/ 본 연구자는 년 월에 곤명에 있는 운남민 2014 1 족박물관을 직접 방문하여 이족의 다양한 복식들을 직접 관찰하였다. 이족의 복식은 지역적 특징과 사회의 화석으로 불 리는 언어 분포 상황을 참고로 하여 양산 오( ), 凉山 몽산 홍하 진동남 진서( ), ( ), ( ), (蒙山 紅河 東南乌 滇 滇 초웅 등 개의 유형으로 분류한다), ( ) 6 (西 楚雄 中国 The Yi tribe's costume of China , 彝族服 [ ]饰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양은 그 중에2011). 서도 초웅형 복식 오몽산형 복식 진동남형 복식에 , , 나타나있는 문양으로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초웅형 복식은 운남 의 초웅이족자치주 ( ) (云南 楚雄 및 주변지역에서 착용되고 있다 이 지) . 彝族自治州 역은 다른 이족지역에 비해 이족지계가 가장 많고, 집중된 지역이어서 이족의 전통문화가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지역 중 하나이다 초웅형 복식은 상의. , 치마 각반으로 구성된다 상의는 앞부분이 짧고 뒤, . 가 길며 긴소매이다 검은색이나 붉은색 바탕에 , . 4 쪽의 꽃잎무늬 외에 사각무늬 사각 마름무늬 동전, , 무늬 별점무늬 곡선무늬 나비무늬 공 자형무늬 , , , , ( )工 등이 화려하게 장식되어있어서 마치 하나의 예술 작품을 보는 듯하다( The 中 彝族服 之楚雄型[国 饰 Chowoong style of the Yi tribe's costume of 무늬는 좌우가 서로 대칭되어 있China , 2012). ] 다 치마는 모두 검은색 바탕에 붉은색 계열의 단. 색 천이나 꽃무늬 천 소량의 녹색 꽃무늬 천을 줄, 무늬처럼 장식한다 상의는 세로무늬 치마는 가로. , 무늬 그리고 전체적으로 볼 때 꽃무늬는 마치 얼룩, 덜룩한 호랑이 무늬와 같아 호랑이무늬 옷이라고도 불린다(Figure 2). 오몽산형 복식은 귀주 비제지구 ( ) ( ), 州 地贵 毕节 区 육판수시 와 운남 소통시 의 진웅( ) ( )六 水市 云南昭通盘 이량 위신 및 사천서영( ), ( ), ( ) (雄 彝良 威信 四川镇 叙 고린 과 광시융림 등의 지역에), ( ) ( ) 永 古 广西隆林蔺 서 널리 착용되고 있다 오몽산은 예로부터 서남 이. 족문화의 발원지이며 고대 중원으로 부터 서남으로 통하는 교통의 요로이다 따라서 타민족과의 교류가 . 많았으며 이로 인해 오몽산형 복식에는 고유의 민족 전통 뿐 아니라 명나라 말기와 청나라 초기 복식의 영향을 받았다 옛날에는 옷의 재료로 모피와 모직. 물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다양한 종류의 옷감 을 사용한다 옷의 색상은 주로 청색 남색이며 기. , , 본적으로 소매 길이가 길고 무릎아래까지 오는 긴 상의와 폭이 넓은 바지를 입는다 여성복식은 긴 상. 의와 폭이 넓은 바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의의 경우. , 보통 청색 남색으로 좁은 폭의 밴드칼라, (band 가 달려있고 소매가 길며 상의의 길이는 무collar) , 릎까지 온다 허리에는 흰색의 허리띠를 하고 있다. . 칼라 목둘레 여밈 옆선 밑단 소매단 등에 화려, , , , , 한 꽃문양을 장식하였고 특히 밑단에는 천부지모(天 문양을 장식하였다 천부지모문양은 이족어) . 父地母 로 삐리터러 라고 하며 원형의 우( ) ‘ ( )’彝 力妥语 毕 罗 주를 의미한다 중국어로는 판퉈어잰 이라 . ‘ ( )’反托肩 부르며 우주만물을 상징한다 이 회오리형 문양은 . 흰색바탕에 검은색의 나선무늬 형태로 흰색은 이족 어로 무푸우무구르 라 부르며 천부’ ( )‘ , (木普木古 天鲁 라는 뜻이다 검은색은 이족어 로 미머미아) . ( ) “父 彝语 나 라고 부르며 지모 라는 뜻이( )” “ ( )”米莫米阿 地母哪 다( The Omongsan style of 中 彝族服 之 蒙山[国 饰 乌 즉 흰the Yi tribe's costume of China , 2012). ] 색 바탕에 검은색의 나선무늬는 천부지모를 상징하 는 이족의 우주관을 나타낸다 하의로는 폭이 넓은 . 바지를 착용한다(Figure 3). 진동남형 복식은 선명한 지계의 차이로 인해 이족 복식 중에서도 다른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진동남. 형 복식은 주로 운남 의 광남 부녕( ) ( ), (云南 广南 富 마관 마율파 미륵 개원), ( ), ( ), ( ), 宁 麻栗坡 弥勒马关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53 Figure 2. The Tiger Pattern Dress of the Chowoong Style -Yi Tribe Costume, p. 87 Figure 3. A Woman's Costume of the Omongsan Style -www.yizuren.com 사종 및 광서 의 나파 등의 ( ), ( ) ( ) ( ) 元 宗 广西 那坡开 师 지역에서 착용되고 있다 이 지역들은 중국의 변방. 지역이라서 관두의 방두루마기 사각형 두루마기 등 , ( ) 전통적인 복식양식을 지금까지 잘 보유하고 있다. 진동남형 복식은 로남식 미륵식( , (路南式 弥勒    ) 문서식 이 있다, ( ) . 式 文西式) 로남식의 여성복식은 상의 앞치마 바지로 구성 , , 된다 상의의 경우 앞이 짧고 뒤는 긴 홑옷이며 주. , , 름이 많은 치마를 입기도 하는데 치마는 여러 색상, 으로 된 천을 이어서 만들어 놓아 색채가 서로 어울 리고 보기에 아름답다(Figure 4). 미륵식의 여성복식은 상의와 앞치마 바지로 구성 , 된다 상의의 경우 앞은 짧고 뒤는 길며 소매는 폭. , , 이 좁고 길다 상의의 칼라와 몸체 그리고 소매단에. 는 화려하게 자수로 장식하였다 앞치마를 착용하고 . 허리띠를 맨다 허리띠의 길이는 넓이. 60cm-70cm, 는 이며 십자수로 수를 놓는다 하의로는 긴바20cm . 지를 입는다. ( The 中 彝族服 之 南型[国 饰 滇东 Jindongnam style of the Yi tribe's costume of 복식의 색상 장식품 머리장식 등 China , 2012). , , ]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차이가 많다(Figure 5). 문서식 여성복식은 상의와 치마로 구성된다 상의 . 의 경우 어깨 옷깃 여밈 소매 단 부분에 납염으, , , , 로 장식한다 사철 치마를 입고 치마에 삼각형으로. 염색한 천을 아플리케 기법으로 장식한다( & 茂钟 兰 술이 달린 Jong, M. R. & Bum, P. 2005). 范朴[ ] 사각형 수건은 납염과 보철기술로 만든다(Figure 6). 이상과 같이 이족의 전통복식을 통해서 이족은 호 랑이를 숭상하며 검정색 복식을 선호하고 빨강색, , 노랑색 녹색 보라색 등 선명한 색상과의 화려한 , , 배색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족의 . 전통복식은 천백년이래 미학 종교 철학 및 풍습 , ,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형성된 전통 관념이나 문화구조 를 잘 보여주고 있다. 앙리 마티스 의 작품 고찰 2. (Henri Matisse) 야수파의 선구주자인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 는 세기 프랑스 미술의 일반적인 특1869-1954) 20 징을 가장 잘 보여준 화가이다 앙(H. Park, 1997). 리 마티스는 후기 인상파들의 화풍을 실험하고 받아 들이면서도 자기만의 색채표현 방식을 구축하며 야, 수파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료 화가들 의 화풍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마티(G. Kim, 2005). 스의 회화에서 표현의 가장 주된 수단은 색채였다. 마티스는 고갱과 고호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원색, 의 대부분을 구사하면서 선명한 색채의 표현으로 독 창적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작품의 색채는 강렬한 .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54 Figure 4. The Ronam Style -http://222.210.17.136/mzwz/news/4 /z_4_8278.html Figure 5. The Miruk Style - .中 少 民族服国 数 饰 , p.113 Figure 6. The Moonseo Style - .中 少 民族服国 数 饰 .p.114 Figure 7. "Woman Reading", Henri Matisse, 1894 -http://www.henrimatisse.org/ woman-reading.jsp Figure 8. "Notre Dame", Heri Matisse 1900 -http://www.henrimatisse.org/ Notre-Dame.jsp Figure 9. "Henri: Matisse" Andre Derain, 1905 -http://www.cdpantings.com/andre-derai n/henrie-matisse-1905-by-andre-derain 보색 대비로 바뀌면서 색채의 균형과 색의 단순화 는 계속된다 마티스의 회화는 원(S. Hoang, 1974) . 근법 명암법 운필법을 모두 버리고 자연의 재현에, , , 서 해방되어 자신의 감동을 색채만으로 자유분방하 게 표현하였다 리드미컬한 선적 패(H. Park, 1997). 턴과 단색의 평평한 색 영역을 표현적으로 구성하는 독자적 양식을 발전시키면서 세기 초 몇 년 동안 20 자신만의 장식적이고 표현적인 추상양식을 완성해 나갔다(H. Osbon, 2001). 마티스 작품세계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른 화풍의 , 영향을 받은 초기 야수파 활동 등을 (1890~1904), 통해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한 중기(1905~1930), 색채의 결정체라고 보아지는 후기 의 총 (1931~1953) 기로 구분할 수 있다3 . 마티스 회화는 사물 자체를 관찰하고 발견하고 느 끼고 경험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초기에 그는 . 다른 당대 화가들의 작품들을 모사하고 연구하여 , 자신의 작품 세계에 접목 활용함으로써 자신만의 ,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창조해 나가기 시작했다 초기 . 작품은 밝은 색채와 어두운 색채가 공존 하는 시기 로 소재는 주로 정물 풍경 인물을 중점으로 하였, , 다(Figure 7-8). 마티스의 중기 작품들은 밝은 색채와 뚜렷한 윤곽 과 단순화된 형태감의 특징을 보이며 인상파를 거쳐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55 Figure 10. Dance( ), Henrie Ⅱ Matisse, 1910 -http://www.wikiart.org/en/ henri-matisse/dance- -1910Ⅱ Figure 11. La Musique, Henrie Matisse, 1939 -http://www.henrimatisse.org/ the-music.jsp Figure 12. The Snail, Henrie Matisse, 1953 -http://www.henriematisse.org/ the-snail.jsp Selection of the Pattern The form of the pattern was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 Arrangement of the Pattern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was freely placed to reflect various emotions ⇓ Color-Scheme of the Pattern Henri Matisse work was selected and the colors in his work were adopted when dyeing the patterns Figure 13. The Design Process 신인상파의 영향을 받아 야수파의 시기를 맞게 된 다 강한 터치와 색채대비의 표현 등을 통해 빛을 . 추구하고 동적인 화면을 구사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 간결한 인물과 사물의 표현은 빛을 재창조 함으로써 나타나는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선은 더욱더 유동적. 이 되고 빛의 묘사는 통일성을 부여했으며 색채와 , 문양의 반복 등을 통해 자율성과 리듬감 장식성을 , 추구하였다(Figure 9-10). 마티스의 말기 작품들을 보면 장식성 직선적인 , 강렬한 형태감 통일적인 리듬감의 결정체를 엿볼 , 수 있다 명암과 양감 원근법 등 회화 표현상의 기. , 법들을 배제하고 생동감을 살릴 수 있는 색채와 평 면적 단순화의 결합이라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윤곽선이 색채와 색채 사이의 구분을 위해 나타내기 도 하지만 색채와 색채 사이를 무선으로 남겨둠으, 로써 물체의 윤곽선에 나타나는 빛을 효과적으로 사 용하였다 뚜렷하고 과하지 않은(Sim & Ryu, 2010). 형태의 단순함과 다양한 구성 강렬한 색채들이 자, 유로운 공간 속을 통일하며 통일감 있는 리듬감과 , 뚜렷한 색채의 자연스러움은 마티스 작품 세계의 결 정체를 이뤘다(Figure 11-12). 가방디자인 개발과정. Ⅲ 이족의 전통문양을 모티브로 한 가방디자인의 디 자인 개발과정은 선행연구들(Mok & Cho, 2014; 을 참조로 하여 문양의 형태 선Lim & Cho, 2013) 정 문양의 배치 문양의 색채 배색 등의 과정을 거, , 쳤다(Figure 13).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56 문양의 형태 선정 1. 이족의 전통문양은 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 한 후 가방디자인에 적절하다고 사료되는 문양을 , 초웅형 복식에서 말벚꽃 문양 수파 문( ) , ( )花 水波马樱 양 주망 문양 석류꽃문양 양각문양 양의 뿔, ( ) , , ( ), 蛛网 등조 등나무 덩굴 문양 사각능형( , ) , ( ), 藤 四角菱形条 곡절 문양 오몽산형 복식에서 천부지모( ) , (曲折 天父地 문양 그리고 진동남형 복식에서 삼각문양을 선정)母 하여 사용하였다 선정된 문양 형태는 . Adobe 와 프로그램Illustrator CS6 Adobe Photoshop CS5 을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초웅형 복식에 나타나있는 말벚꽃문양은 활짝 피 어있는 모습이 사실적이면서도 단순화하여 표현한 꽃잎 형태가 현대적이면서도 아름답고 안정감이 있 다 수파문양은 움직이는 물결의 모습을 유연한 곡. Table 1. A Traditional Pattern of the Chowoong Style of Clothing Title Clothing Expand of the Pattern Pattern Cherry Blossom Pattern Water Wave Pattern Spider Web Pattern Pomegranate Blossom Pattern 선으로 표현하였으며 맨 윗부분을 더 굵게 강조함, 으로써 율동감이 힘 있게 느껴진다 주망문양은 개. 4 의 마름모꼴을 중심으로 주위에 원을 형성하고 반지 름선과 마름모꼴을 만나게 함으로써 거미가 줄을 치 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석류꽃문양은 꽃의 단. 면을 보는 듯 형태가 매우 흥미롭다 양각문양은 양. 의 뿔을 표현한 것으로 안으로 굽은 모습은 사실적 형태를 과장한 것으로 보인다 등조문양은 등나무 . 넝쿨의 얽혀진 형태를 단순화 하여 표현한 문양으로 두 가닥의 끈을 꼬아서 매듭을 지은 형태이다 사각. 능형 문양은 바둑판 모양의 네모 안에 조( )四角菱形 금씩 다른 타원형의 입사귀모양이 규칙적으로 배열 되어있다 매우 현대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곡절. . 문양은 좁은 폭의 네모가 지그재그 형태로 곡( )曲折 절되는 모습이다(Table 1).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57 Table 1. Continued Title Clothing Expand of the Pattern Pattern Horn of a Sheep Pattern Wisteria Vine Pattern Square and Diaper Pattern Zigzag Pattern 오몽산형 복식에 나타나있는 천부지모문양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나선형의 원이 그려져 있다 흰. 색의 나선무늬는 천부 를 의미하며 검은색의 “ ( )”天父 나선무늬는 지모 를 의미하는 이족의 우주관“ ( )”地母 을 나타내는 문양이다 천부지모문양에 꽃잎처럼 반. 원이 주위에 붙어 있는 문양은 옷 속에서는 반 정도 표현되어있다 그러나 문양을 사용할 때 나머지 부. 분을 모두 마무리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삼각형의 문양은 진동남형 복식의 허리띠에 장식 되어 있는 수건 테두리에 나타난 삼각형의 기하학적 문양이다 문양은 천을 삼각형 모양으로 잘라 붙여. 서 바느질로 고정하는 아플리케 기법으로 표현하였 다(Table 3). 문양의 배치 2. 문양의 배치는 전통문양만을 사용한 경우와 현대 문양을 함께 사용한 경우 등 두 가지 방법으로 배치 하였다 전통문양 외에 에 . Adobe Photoshop CS5 나타나있는 원 네모 반원 사선 등의 기하문양을 , , ,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문양 배치에 관한 (Table 4). 선행연구들(Zong & Cho, 2009; Jun & Cho, 2010; 을 살펴보면Mok & Cho, 2014; Lim & Cho, 2013) , 단독무늬 사방연속무늬 이방연속무늬 체크리스트, , , 법 테셀레이션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 . 연구에서는 문양 배치가 가방이라는 일정한 면적에 제한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감성으로 문양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58 Table 2. A Traditional Pattern of the Omongsan Style of Clothing Title Clothing Expand of the Pattern Pattern Sky Father and Earth Mother Pattern Table 3. A Traditional Pattern of the Jindongnam Style of Clothing Title Clothing Expand of the Pattern Pattern Triangle Pattern Table 4. Geometric Pattern Geometric Pattern Oblique Line Square Half Circle Circle Stripe Rectangular Stripe 을 자유롭게 배치하였다 문양의 배치 과정에서 디. 자인 선호에 대한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문양 배 치가 완성된 가방디자인 여 작품을 대상으로 의상30 학을 전공한 석사이상의 전문가 인이 함께 참여하6 여 선정하였다 그 결과 전통문양만을 사용하여 문. , 양을 배치한 디자인 작품 전통문양과 기하학적문1 , 양을 함께 사용하여 문양을 배치한 디자인 작품이 5 선정되었다 선정과정에서 흥미로운 점은 전통문양 . 만을 배치한 것보다는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을 함께 배치한 것이 더 선호되었다는 것이다 소재는 일반.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59 적으로 차양막 텐트 가방 구두 등에 많이 사용되, , , 는 면사 굵은 실로 오밀조밀 두껍게 짠 캔버스 원단 을 사용하였고 손잡이와 가방의 입구 부분은 가죽, 을 사용하였으며 여닫는 부분은 지퍼로 처리하였다, . 가방의 형태는 박스형으로 사이즈는 폭 길25.5cm, 이 이다31cm (Figure 14). Figure 14. The Bag Design 디자인 1) Ⅰ 디자인 은 말벚꽃문양과 수파문양을 모티브로 Ⅰ 디자인하였다 가방의 아랫부분에는 수파문양을 반. 복하여 배치하였고 왼쪽의 손잡이 끝부분과 오른쪽, 의 수파문양 위에 말벚꽃문양을 배치하였다 배치 . 과정에서 오른쪽과 왼쪽의 문양 크기를 다르게 하여 Table 5.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of DesignⅠ Bag Design Traditional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변화를 주었고 왼쪽부분에는 수파문양 위에 말벚꽃, 문양의 일부분만 보이도록 함으로써 꽃잎이 물결위 에 떠다니는 낭만적인 감성을 표현하였다 즉 문양 . , 배치에 스토리를 부여하였다(Table 5). 디자인 2) Ⅱ 디자인 는 천부지모문양과 사선 네모 반원 등, , Ⅱ 의 기하문양을 함께 배치하였다 바탕에 천부지모문. 양을 배치한 뒤 그 위에 사선 네모 반원 등의 문, , , 양을 배치하였다 배치과정에서 천부지모문양을 겹. 쳐서 배치함으로써 평면에 차원적인 입체감을 부여3 하였으며 전통문양에서 보여주는 시공간적 깊이와 , 기하문양에서 보여주는 단순함 모던함이 아름다운 , 조화를 이루었다 또한 중심에 기하문양을 배치하였. 기 때문에 현대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표현되었다 (Table 6). 디자인 3) Ⅲ 디자인 은 천부지모문양과 원이 반복되는 기하Ⅲ 문양을 함께 배치하였다 바탕에 원을 겹쳐서 배치. 하고 그 위에 천부지모문양을 자유롭게 배치하였다, . 문양 배치과정에서 반복적인 원을 겹쳐서 배치함으 로써 평면에 차원적인 입체감을 표현하였으며 자3 , 유롭게 배치된 천부지모문양은 마치 갓 피어난 꽃처 럼 아름다움을 표현하였고 꽃이 단순하게 표현된,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60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즐거움을 느끼게 하였다 (Table 7). 디자인 4) Ⅳ 디자인 는Ⅳ 주망문양과 기하문양인 줄무늬를 함 께 배치하였다 가방의 위 아래 부분에 줄무늬를 . , 배치하고 가운데에 주망문양을 배치하였다 세련된 . 줄무늬와 수공예적인 전통문양과의 조합은 모던하면 서도 내추럴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중심에 위치. 한 주망문양은 거미줄 문양으로서 줄무늬와 의미가 서로 통하는 듯하다(Table 8). Table 6.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of Design Ⅱ Bag Design Traditional Pattern Geometic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Table 7.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of Design Ⅲ Bag Design Traditional Pattern Geometric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디자인 의 문양 배치 5) Ⅴ 디자인 는Ⅴ 석류꽃문양 삼각문양 양각문양 등, , , 조문양과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gradation) 기하문양인 직각의 줄무늬를 함께 배치하였 다 가. 방의 중앙에 석류꽃문양을 배치하고 그 둘레에 직, 각의 줄무늬를 배치하였으며 또 다음은 삼각문양, , 등조문양 양각문양을 배치하였다 직각 줄무늬의 , . 그라데이션 효과는 평면적인 패턴에 입체감을 부여 하였으며 현대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더불어 중. 앙에 위치한 석류꽃문양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가장. 자리에 배치된 삼각문양 등조문양 양각문양은 상, , 상력을 불러일으키는 시각적 효과를 주었다(Table 9).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61 Table 8.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of Design Ⅳ Bag Design Traditional Pattern Geometric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Table 9.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of Design Ⅴ Bag Design Traditional Pattern Geometric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디자인 6) Ⅵ 디자인 은 사각능형문양 곡절문양과 원이 반복, Ⅵ 되는 기하문양을 함께 배치하였다 가방의 중앙에 . 사각능형문양을 배치하고 좌우에 곡절문양을 배치, 하였으며 아래 부분에는 원이 반복되는 기하문양을 , 겹쳐서 배치하였다 사각능형문양과 곡절문양은 그 . 형태가 나뭇잎과 나무줄기를 연상시킨다 자연적인 . 이미지에 현대적인 감성이 가미된 디자인이다(Table 10). 이상과 같이 전통문양만으로 혹은 전통문양과 기 하문양을 함께 배치하여 가방디자인 , , , , Ⅰ Ⅱ Ⅲ Ⅳ 를 완성하였다 문양 배치 과정에서 문양 배, . Ⅴ Ⅵ 치를 스토리가 있게 배치하거나 기하문양과 전통문 양을 함께 사용하여 전통적인 이미지에 세련된 현대 적 감성을 가미하였다 즉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의 . 조합을 통해서 전통의 깊이 자연미 현대의 모던함, , 과 세련미를 더한 감성을 표현하였다. 문양의 색채 배색 3. 문양의 색채 배색에 사용하고자 하는 작품은 앙리 마티스의 여러 작품 중에서 'Harmony in 을 Red(1908)', 'Sans Titre(1947)', 'Nach(1950)' 선택하였다 색상추출 방법은 . Panton Textile Color Guide(Panton Textile Color System, 를 사용1982)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62 Table 10.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of Desig Ⅵ Bag Design Traditional Pattern Geometric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하여 추출하였다 팬톤 시스템은 실용성을 목적으로 . 만들어졌기 때문에 색선정과 색채 배색에는 용이하 나 색의 기본 속성에 따라 논리적으로 배열이 되어 있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 산업규격의 . KS 현색계 색표집의 기본 바탕이 되는 의 가Munsell 10 지 색상 주요 가지 색상 와 중간색 ( 5 R, Y, G, B, P 을 추가적으로 표기하여 색의 YG, GY, BG, PB, RP) 속성을 명확히 하였으며 색상 명도, (Hue), (Value), 채도 로 색상 추출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Chroma) 였다 색상표기는 색채 영문명 색채 . ‘Panton (Panton 고유번호 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Munsell H V/C)’ . 색상추출 방법은 의 스포이Adobe Photoshop CS5 ‘ 드 도구 를 사용하여 색상을 추출(Eyedropper tool)’ 한 후 의 색상들 중에Pantone Textile Color Guide 서 가장 적합한 색상을 선택하였다 의 색상. Munsell 은 에서 추출된 색상의 값을 구한 Photoshop RGB 후 을 사용하여 , ‘Munsell conversion(Version 4.01)’ 값을 로 변환하여 색상값을 구하였으며 RGB H V/C 변환된 색상 와 명도 채도 의 값은 소수점 H( ) V( ), C( ) 아래 반올림하여 표기하였다. 그러나 색상 추출 과정에서 인터넷에 나타난 작품 을 활용하였기에 원본의 색상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1) Harmony in Red(1908) 에서 ‘Harmony in Red’ Rugby Tan(15-1315TP, 8YR 7/3), Medium Green(17-6229TP, 8GY 5/6), Musk Melon(16-1442TP, 9R 7/10), Peat (19-0508TP, 7GY 2/2), Deep Periwinkle (17-3932TP, 8PB 5/4), Musk Melon(15-1242TP, 5YR 7/10), Lemonade(12-0721TP, 2GY 10/4), Tomato Puree(18-1661TP, 7R 5/12), Stone Green(17-0123TP, 7GY 5/6), Pristine(11-0606TP, 등 가지 색상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8GY 10/0) 10 . 색상은 디자인 과 디자인 에 사용되었다. Ⅰ Ⅵ 디자인 은 전통문양만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이 Ⅰ 다 디자인 에서 바탕색으로 윗부분에 . Medium Ⅰ 아래 부분에 을 배색하였다Green, Deep Periwinkle . 꽃문양에는 과 을 배색하였Rugby Tan Musk Melon 으며 수파문양은 로 배색하였다 들과 강물을 , Peat . 연상시키는 과 의 배Medium Green Deep Periwinkle 색 위에 과 의 꽃문양은 들Rugby Tan Musk Melon 에 핀 꽃 강물에 떠다니는 꽃 등의 이미지를 연상, 시키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하였다 많은 상. 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디자인이다. 디자인 은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으로 이루어진 Ⅵ 디자인이다 디자인 에서 바탕색은 를 배색하. PeatⅥ 였다 중앙에 위치한 사각능문의 바탕색은 . Musk 와 을 배색하였다Melon, Lemonade Stone Green . 사각능문의 타원형문양에는 을 배색하였고Pristine ,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63 Table 11. The Color-Scheme of Design 1 and Ⅵ Harmony in Red(1908) 출처 : http://blog.naver.com/hetulevafi?Redirect=Log&logNo=150048520431 Color-Scheme Design 1 Design Ⅵ 타원형문양의 테두리는 를 배색하였Tomato Puree 다 곡절문양과 아래 부분의 원문양은 으로 . Pristine 배색하였다 중앙의 화사한 색채 배색은 어두운 바. 탕색과 대비되어 화사함과 생동감이 강조되었다 (Table 11). 2) Sans Titre(1947) 에서 'Sans Titre‘ Peat(19-0508TP, 7GY 2/2), Nautical Blue(19-4050TP, 7PB 2/13), Cashew(17-1137TP, 9YR 5/8), Pompeian Red(18-1658TP, 10R 3/13), Old Gold (15-0955TP, 4Y 8/10), Green Mist(16-0207TP, 등 가3GY 8/1), Pristine(11-0606TP, 8GY 10/0) 6 지 색상과 악센트로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에서 추출한 을 추가로 선‘Harmony in Red’ Pristine 정하여 디자인 와 디자인 에 배색하였다. Ⅱ Ⅲ 디자인 는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으로 이루어진 Ⅱ 디자인이다 디자인 의 바탕색은 를 배색하였. PeatⅡ 다 천부지모문양과 사선문양은 을 배색하였. Pristine 다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바둑문양은 . Pompeian 와 를 교대로 배색하였다 바둑문양 뒤Red Cashew . 에 있는 마름모꼴의 문양은 를 배색하였Green Mist 다 또한 오른쪽에 있는 반원은 를 사. Nautical Blue 용하여 악센트를 주었다 천부지모문양 위에 마름모. 꼴문양 바둑문양 사선문양 반원문양 등에 색상차, , , 이를 잘 활용하여 배색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었 다 전통문양의 바탕위에 현대적 문양의 배열은 시. 공간적 깊이감과 더불어 기하학적 단순성과 추상성 이 가미됨으로써 모던하면서도 깊이 있는 아름다움 을 표현하고 있다. 디자인 은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으로 이루어진 Ⅲ 디자인이다 디자인 의 바탕색은 을 배색. PristineⅢ 하였다 바탕의 둥근 원들의 굵거나 가는 선들은 .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64 등으로 다양Cashew, Pompeian Red, Green Mist 하게 배색하였다 가장자리에 꽃잎처럼 반원이 장식. 된 천부지모문양은 Peat, Nautical Blue, Cashew, 등으로 자Pompeian Red, Old Gold, Green Mist 유롭고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꽃처럼 피어난 천부지. 모문양은 유머러스하면서도 귀엽고 아름다운 감성을 표현하였다(Table 12). 3) Nach(1950) 에서 'Nach(1950)’ Peat(19-0508TP, 7GY 2/2), Garnet Rose(18-1633TP, 2R 3/10), Golden Oak(17-1046TP, 5YR 5/9), Little Boy Blue (16-4132TP, 3PB 6/8), Lime Sherbet(13-0530TP, 5GY 8/6), Nautical Blue(19-4050TP, 7PB 2/13) Table 12. The Color-Scheme of Design and Ⅱ Ⅲ Sans Titre (1947) 출처: http://cn.wahooart.com/@@/5ZKCQP-Henri-Matisse-%E9%A9%AC%E6%88%8F%E5%9B%A2 Color-Scheme Design Ⅱ Design Ⅲ 등 가지 색상과 악센트로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6 에서 추출한 을 추가로 ‘Harmony in Red’ Pristine 선정하여 디자인 와 디자인 에 배색하였다.Ⅳ Ⅴ 디자인 는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으로 이루어진 Ⅳ 디자인이다 디자인 에서 가방의 윗부분과 아래 . Ⅳ 부분에 있는 세련된 줄무늬의 색채 배색은 와 Peat 를 배색하였으며 악센트로 을 배Golden Oak Pristine 색하였다 가운데 부분의 주망문양은 바탕색으로 . 를 배색하였으며 문양의 둥근 부분과 Lime Sherbet , 마름모형에는 Garnet Rose, Golden Oak, Little 를 배색 하Boy Blue, Lime Sherbet, Nautical Blue 였다 세련된 현대적 줄무늬와 주망문양의 조합은 . 모던하면서도 에스닉 한 이미지를 잘 표현하(ethnic) 고 있다.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65 디자인 는 전통문양과 기하문양으로 이루어진 Ⅴ 디자인이다 디자인 의 바탕색은 를 . Garnet RoseⅤ 배색하였다 중심의 꽃문양은 와 . Little Boy Blue 를 반반씩 배색하였고 윤곽선은 Nautical Blue , Peat 로 배색하였다 꽃무늬 주위의 사각형의 줄무늬는 . 를 배색하였다 그러나 사각형의 Peat, Golden Oak . 줄무늬 색채가 너무 어둡기 때문에 악센트를 주기 위하여 을 배색하여 산뜻함을 첨가하였다Pristine . 가장자리의 삼각문양과 등조문양은 Little Boy Blue 와 를 배색하였다 양각문양은 Nautical Blue . Golden 와 를 배색하였으며 양각문양의 Oak Garnet Rose , 테두리는 로 배색하였다 디자인 는 Nautical Blue . Ⅴ 다른 가방 디자인과 달리 전통문양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라데이션 효과가 있는 사각형. 의 줄무늬로 인하여 현대적인 감각과 전통이 균형을 잘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사각형의 줄무늬는 입체. Table 13. The Color-Scheme of Design and Ⅳ Ⅴ Nach(1950) 출처: http://www.grundschuletreuchtlingen.de/ideenboerse_kunst/matisse.jpg Color-Scheme Design Ⅳ Design Ⅴ 감을 표현하며 중심의 꽃문양을 강조하였다 주위의. 다양한 전통문양은 많은 스토리를 지니고 있는 듯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Table 13). 디자인 제시 2. 디자인 제시는 면사로 거칠게 직조한 캔버스 원단 을 사용하여 가방을 실물 제작한 후 컴퓨터 프로그, 램 을 활용하여 가상으로 제시하Adobe Photoshop 였다 그 결과는 와 같다. Table 14 . 이상의 가방 디자인 개발과정을 요약 정리하면 , 와 같다Table 15 .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66 Table 14. The Production of the Bag Design Bag design Production of the Dag Design Design Ⅰ Design Ⅱ Design Ⅲ Design Ⅳ Design Ⅴ Design Ⅵ Table 15. The Bag Design Procedure Title Bag Design Selection of the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Color- Scheme Production of the Design DesignⅠ Tradition Geometric DesignⅡ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67 Table 15. Continued Title Bag Design Selection of the Pattern Arrangement of the Pattern Color- Scheme Production of the Design DesignⅢ DesignⅣ DesignⅤ DesignⅥ 결론. Ⅳ 현대사회는 세기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 20 향으로 비주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특히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하면서 정신적 가치를 존 중하는 동양권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 다 각 나라의 전통문화에는 그들의 역사 환경 종. , , 교 철학 미학 풍습 등이 축적되어 있으며 그들의 , , , , 전통문화는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는 매우 흥미롭고 신선하다 따라서 각 나라의 전통적 요소는 신선함. 과 창의력을 우선으로 하는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소스 로서(source) 매우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이족은 중국의 소수민족 으로 그들의 복식문화는 우리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채롭고 화려하며 아름답다 더욱이 복식에 . 나타난 전통문양은 그 형태가 아름답고 특이하며 심 지어는 추상적이고 모던하기까지 하다 따라서 본 . 연구에서는 이족의 전통문화 요소 중 하나인 전통문 양을 모티브로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로 문헌 선행연구 인터 , , 넷 사이트 등을 통하여 이족의 전통복식과 문양을 살펴보았으며 색채 배색을 위하여 대표적 현대화가 , 중 하나인 앙리 마티스의 작품에 대하여 고찰하였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68 다 실증적 연구로 가방디자인 개발과정은 문양의 . 형태 선정 문양의 배치 문양의 색채 배색 등의 과, , 정을 거쳤으며 디자인 제시는 면사로 거칠게 직조, 한 캔버스 원단으로 가방을 실물 제작한 후 컴퓨터 , 작업을 통하여 가상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이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으로서 호랑이를 숭 , 상하고 검정색을 선호하며 빨강 노랑 파랑 초록, , , , 보라 등 화려한 배색을 선호한다 이족의 전통복식. 은 양산 오몽산 홍하 진동남( ), ( ), ( ), 凉山 蒙山 紅河乌 진서 초웅 등 개의 유형으로 ( ), ( ), ( ) 6東南 西 楚雄滇 滇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가방디자인 개발은 문양의 형태 선정 문양 , , 의 배치 문양의 색채 배색의 과정을 거쳤다, . 문양의 형태 선정은 이족복식의 개의 유형 중에 6 서 초웅형 복식에 나타난 말벚꽃문양 석류꽃문양, , 등조문양 수파문양 양각문양 주망문양 사각능형, , , , 문양 곡절문양 오몽산형 복식에 나타난 천부지모, , 문양 진동남형 복식에 나타난 삼각문양 등을 선정, 하였다 디자인의 모티브로 적절하다고 사료되는 문. 양은 과 Adobe Illustrator CS6 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형태를 정리하였다CS5 . 문양의 배치는 가방이라는 일정한 면적에 제한되 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문양을 다양한 감성으로 자유 롭게 배치하였다 배치에 사용된 문양은 전통문양만. 으로 또는 전통문양과 일반적인 기하문양을 함께 배 치하였다 기하문양은 에 나. Adobe Photoshop CS5 타나있는 원 네모 반원 사선 등을 선택하여 사용, , , 하였다 디자인 은 말벚꽃문양 수파문양 등 전통. , Ⅰ 문양 만으로 배치하였으며 디자인 는 천부지모문, Ⅱ 양과 사선 네모 반원 등의 기하문양을 함께 배치, , 함으로써 시공간의 깊이감과 더불어 모던하고 세련 된 감성을 표현하였다 디자인 은 가장자리에 반. Ⅲ 원이 꽃잎처럼 장식 되어있는 천부지모문양과 원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기하문양을 함께 배치하여 활 짝 핀 꽃과 같은 화려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도록 하 였다 디자인 는. Ⅳ 주망문양과 기하문양인 줄무늬를 함께 배치하여 모던하면서도 내추럴한 감성을 표현 하였다 디자인 는. Ⅴ 석류꽃문양 삼각문양 양각문, , 양 등조문양과 사각의 줄무늬가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기하문양을 함께 배치(gradation) 하여 입체감과 더불어 다양한 전통문양에서 표현되 는 스토리를 부여하였다 디자인 는 사각능형문양. , Ⅵ 곡절문양과 원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기하문양을 함 께 배치하여 자연의 감성과 더불어 기하학적 현대미 를 가미하였다. 문양의 색채 배색은 대표적 현대화가인 마티스의 여러 작품 중에서 'Harmony in Red(1908)', 'Sans 을 선택하여 색상을 추Titre(1947)', 'Nach(1950)' 출한 후 사용하였다 색상추출 방법은 . Panton 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Textile Color Guide . 에서 ‘Harmony in Red’ Rugby Tan(15-1315TP, 8YR 7/3), Medium Green(17-6229TP, 8GY 5/6), Melon(16-1442TP, 9R 7/10), Peat(19-0508TP, 7GY 2/2), Deep Periwinkle(17-3932TP, 8PB 5/4), Musk Melon(15-1242TP, 5YR 7/10), Lemonade(12-0721TP, 2GY 10/4), Tomato Puree(18-1661TP, 7R 5/12), Stone Green (17-0123TP, 7GY 5/6), Pristine(11-0606TP, 8GY 등 가지 색상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색상은 10/0) 10 . 디자인 과 디자인 에 사용되었다. 'Sans TitreⅠ Ⅵ 에서 ‘ Peat(19-0508TP, 7GY 2/2), Nautical Blue(19-4050TP, 7PB 2/13), Cashew(17-1137TP, 9YR 5/8), Pompeian Red(18-1658TP, 10R 3/13), Old Gold(15-0955TP, 4Y 8/10), Green Mist 등 가지 색상과 악센트로 (16-0207TP, 3GY 8/1 ) 6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에서 추출한 ‘Harmony in Red’ 을 추가로 선정하여 디자인 와 디자인 Pristine Ⅱ Ⅲ 에 배색하였다 에서 . 'Nach(1950)‘ Peat (19-0508TP, 7GY 2/2), Garnet Rose (18-1633TP, 2R 3/10), Golden Oak(17-1046TP, 5YR 5/9), Little Boy Blue(16-4132TP, 3PB 6/8), Lime Sherbet(13-0530TP, 5GY 8/6), Nautical 등 가지 색상과 악센Blue(19-4050TP, 7PB 2/13) 6 트로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에서 ‘Harmony in Red’ 추출한 을 추가로 선정하여 디자인 와 디Pristine Ⅳ 자인 에 배색하였다.Ⅴ 셋째 디자인 제시는 면사로 거칠게 짠 캔버스 원 , 단으로 가방을 실물 제작한 후 컴퓨터 프로그램을 , 활용하여 가상으로 제시하였다. 이목결 조진숙 · / 이족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가방디자인 개발 연구 169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서 전통문양이 디자인의 모티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전통문양만으로도 디자인 할 수 있지 만 일반적인 기하문양과의 조화를 통해서 더욱 세련 되고 모던하며 창의적인 디자인을 발상할 수 있었 다 이처럼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의 융합은 전. 통문양이 표현하는 시공간적 깊이감과 상징적 스토 리 그리고 기하문양이 표현하는 단순성과 모던함, 추상성의 세련됨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더욱더 참신 하고 스토리가 있는 가방디자인을 개발 할 수 있었 다 본 연구는 실물 제작 후 컴퓨터에 의한 가상 . , 제시로 인해 소재에 대한 다양한 기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는 문양 을 모티브로 한 소재기법 개발에 대한 연구를 기대 해 본다. References Dictionary of the Costume. (2008).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Ltd., 1129. Hoang, S. J. (1974). Artistic culture of france. Daegu: Cathoric University Press, 102. Jun, J. J. & Cho, J. S. (2010). Design expression of lotus pattern presented in Minhwa.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4), 741-754. & Jong, M. R. & Bum, P. .(2005). 茂 范朴[ ]钟 兰 .中 少 民族服国 数 饰 : A 中 北京 中 出版社[国 国纺织 minor ethnic group in China. Beijing, China: China Spinning Publisher , 113.] The Yi tribe's costume of China . 中 彝族服 [ ]国 饰 (2011). 百度 Backdo[ ]. Retrieved August 10 2013, from http://tieba.baidu.com/p/ 1152627096 Jung D. W., Kim T. E., Bang H. E., Cho S. H. & Kim M. J. (2014). The cultural identity found in tote bag as a cultural product and the a development of a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 Textiles, 38(4), 511. Kang M. J. & Cho J. S. (2011). Analysis of previous study of traditional pattern. Journal of the Fashion Business, 15(5), 9. Kim, G. H. (2005). A study on color expression appeared on Henri Matisse's painting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J. M. & Jung J. Y. (2011). Discussion of bag design using fashion illus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1), 65. Korean Standard Dictionary. (1999). 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Language. Seoul: Doosan Donga Lim, B. S. & Cho, J. S. (2013). Development of a man's fashion goods design using a traditional bat pattern. Journal of the Fashion Business, 19(2), 95-116. Mok, S. R. & Cho, J. S. (2014). A study on a creative design development using a traditional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2), 1-14. Osbon, H. (2001). Oxford Dictionary of 20th centry (Korea Art Research Trans.). Seoul: Sigongsa, 168. Lee, H. M. . (2012). 彝 中 彝族服 之楚雄[ ]学网 国 饰 . The Chowoong style of the Yi tribe's 型 [ costume of China Retrieved August 14, ] 2013, from http://222.210.17.136/ mzwz/news/ 4/z_4_8280.html Lee, H. M. . (2012). 彝 中 彝族服 之 蒙[ ]学网 国 饰 乌 The Omongsan style of the Yi tribe's 山[ costume of China . Retrieved August 12, ] 2013, from http://222.210.17.136/mzwz/news/ 4/z_4_8276.html Lee, H. M. . (2012). 彝 中 彝族服 之[ ]学网 国 饰 滇东 The Jindongnam style of the Yi tribe's 南型[ costume of China . Retrieved August 12, ] 패 션 비 즈 니 스 제 권 호19 2 170 2013, from http://222.210.17.136/mzwz/news/ 4/z_4_8278.html Park, H. G. (1997). Time and art. Daegu: Yeongnam University Press, 106-109. Panton Textile Color System. (1982). Panton textile color specifier Carlstadt. New Jersey: Panton inc., ISEN-881509-33-8. Sung, Y. S. & Oh, K. H. (2007). Textile design for bag using a Jogacbo. Proceeding of 2007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1, 251. Sim, M. J. (2010). A study on design for casual look applying painting images of Henri Matisse.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4), 612-625. The Cult of Yi tribe. (2010). Huaxia. Retrieved August 10, 2013, from http://www.huaxia.com/ gd/mzfq/00154089.html Yi tribe. (2013). wikipedia. Retrieved May 29, 2013, from http://ko.wikipedia.org/wiki/%EC %9D%B4%EC%A1%B1 Zong, H. R. & Cho, J. S.(2009). T-shirts design motivated from Hongyo tribe of Chnise traditional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24, 7-18. Received (March 12, 2015) Revised (April 12, 2015; May 12, 2015) Accepted (May 2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