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0352D30323328303234292D2D30312DC1B6C7F6BEE72CB1E8C8ABB7C42CB7F9C8F1B0E62D2D31C2F7BCF6C1A42E687770>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Headings for Digital Trend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정 옥 경 (Ok Kyung Chung)** 목 차 1. 서 론 2. 디지털의 어원과 개념 3. DDC와 KDC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의 개과정 3.1 D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개과정 3.2 KDC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의 개과정 4. 주제명표목표의 디지털 련 주제 분석 4.1 미국의회도서 주제명표목표(LCSH) 4.2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 5. KDC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방안 6. 결 론 록 본 연구의 목 은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서 첫째, 듀이십진분류법과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이 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 다. 둘째, 미국의회도 서 주제명표목표와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의 디지털 련 주제를 분석하 다. 셋째, 듀이십진분류법 제23 과 미국의회도서 주제명표목표에 개된 디지털 련 분류 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십진분류법 제6 본표에 개된 분류항목명과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를 비교 분석하 다. 분석 결과 한국십진분류법 제6 에 개된 디지털 련 항목명이 12개 항목으로 디지털 련 자료의 합리 인 분류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KDC의 디지털과 련된 항목명을 포함주기와 분류지시주기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분류항목으로 확장 개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xpansion of headings for digital trend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hange process of classification items related to digital resources in DDC and KDC. Second, subject names related to digital in LCSH and Korean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 were analyzed. Third, comparisons between the items related to digital of DDC 23rd with LCSH and KDC with Korean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was identified that KDC 6th edition faces with difficulties in reasonable classification because item names related to digital of KDC 6th edition have 11 items. Therefore, the item related to digital has to be expanded to new classification item name and has to add include notes and class here notes in KDC. 키워드: 한국십진분류표, 듀이십진분류표, 미국의회도서 주제명표목표,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 디지털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 Korean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 Digital * ** 이 논문은 인천 학교 2012년도 자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인천 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okchung@incheon.ac.kr) 논문 수일자: 2014년 4월 17일 최 심사일자: 2014년 4월 30일 게재확정일자: 2014년 5월 15일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177-199, 2014.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2.177] 17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1. 서 론 고도의 컴퓨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사 회 반에 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역 이 디지털기반구조의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과 컴퓨터를 목한 변화는 1990년 반이후부터 본격 으로 우리 생활에 도래되었 으며, 2000년 에 들어와서 아날로그 기술은 격하게 디지털 기술로 변화하고 있다. 개방, 공유, 참여, 력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Web 2.0 시 를 지나 개인화, 맞춤형을 키워드로 하 는 웹 3.0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도입되고 있 다. 웹 3.0의 주요한 속성은 소통, 융합, 개인화 이다. 소통은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량의 정보들이 웹사이트에 축 됨에 따라 정보를 원 활하게 소통시켜 다방향의 의사소통을 지원한 다. 융합은 정보기술의 융합을 의미하며, 정보 를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지닌 정보로 재생 산되고 있다(Angel 2011). 특히 디지털기반이 융합되어 새롭게 재생산 되고 있다. 디지털 컴퓨터, 디지털 도서 , 디지 털 보존, 디지털 사회, 디지털 매체, 디지털 정 보원, 디지털 출 , 디지털 사진, 디지털 술, 디지털 방송, 디지털 통신, 디지털 고,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디지털 서명, 디지털 화촬 , 디지털 카메라 촬 , 의학의 디지털 신경망, 등 과 같이 디지털기술이 다양한 역에 도입 되어 있으며, 련 출 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 러나 2013년에 간행된 KDC 제6 (한국도서 회 2013)의 개된 디지털 련 항목명은 포 함주기에 기술된 2개 항목을 포함하여 12개로 무 미약하여 정확한 분류기호의 부여와 세 분류가 어렵고, 분류기호의 복으로 분류의 효과와 유용성이 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회가 아날로그 환경에서 디지털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련 주제가 다양한 역에 도입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 며, 련 학문이 새롭게 두되고 있다. 이 게 두되고 있는 디지털 련분야의 자료를 일 성 있게 체계 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련 자료를 일 성을 가지고 체 계 인 세 분류를 할 수 있고, 근성과 분류 의 효과를 극 화할 수 있는 분류항목명의 추 가 확장 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 은 디지털 기술이 도 입되어 새롭게 나타난 디지털 련 분야의 주 제들을 KDC 본표에 어떻게 확장 개하여야 할지 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성하기 하여, 첫째, KDC와 D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개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LCSH와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 에 개된 디지털 련 주제명을 추출하 으며, 셋째, LCSH에 추출된 디지털 련 주제명을 DDC 제23 의 분류항목에 따라 구분 정리하 고,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서 추출된 디지털 련 주제명은 KDC 제6 의 분류항목 에 따라 구분 정리하 다. 이 게 정리된 항목 명을 토 로 K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 장 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디지털의 어원과 개념 오늘날 우리가 지칭하는 디지털은 구체 으 로 2가지 상태(binary)로 표 되는 통신신호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79 는 정보를 의미하며, 일반 으로 디지털이란 말은 ‘컴퓨터에 기 한’이란 말과 동의어로 간 주된다(곽덕훈 외 2002). 디지털(digital)이란 말은 컴퓨터가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 즉 숫자를 세다는 뜻에서 유래 되었으며, 그 어원은 손가락을 의미하는 라틴 어 digit에서 유래된 말이다. 여기서 손가락은 하나하나 구별하여 세는데 사용되므로 지속과 단 이 확실한 이산 (discrete)인 성질을 나 타낸다. 즉 연속 인 데이터를 0과 1의 두 가지 상태로만 생성하고, 장하고, 처리하는 자기 술을 말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기술로 송되 거나 장된 데이터는 0과 1이 연속되는 하나 의 스트링으로 표 된다(곽덕훈 외 2002). 정 보통신용어사 (2004, 392)에 의하면, “디지털 이란 데이터나 물리 인 양을 0과 1이라는 2진 부호의 숫자로 표 되는 것을 말하며, 실세 계에서 디지털 데이터는 0과 1로 모든 데이터, 즉, 숫자, 문자, 상, 음성 등으로 표 한다.” 디지털은 1946년 에커트(P. Eckert)와 모클 리(J.W. Mauchly)가 진공 으로 만든 최 의 자식 디지털 컴퓨터인 ENIAC(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omputer)의 탄생 에서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주로 컴퓨터시 스템에 응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역 에서 범 하게 사용되고 있다(고재원 2006). 사람의 목소리, 냄새, 맛 등 일상생활에서 경험 하는 것과 차량의 원형속도 계기 , 수은온도 계와 벽걸이 시계처럼 연속 이고, 무한 으로 변화하는 양을 아날로그 신호라 하고 사람의 나이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때가되면 값이 증가하는 것을 디지털신호라고 하며 계단모양 의 형태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불연속 인 신 호를 말한다. 일반 으로 많이 하는 소리의 세기, 무게, 길이, 온도, 거리, 압력, 빛의 강도, 압, 류 등이 아날로그 양이 되지만 이런 것 들도 차 디지털화되어 측정되고 디지털화 된 값들이 여러 응용분야에 사용되고 있다(정두 , 이천효 2011). 디지털은 아날로그에 비해 신속, 정확하고 신뢰도가 높으며 컴퓨터에 의 해 디지털신호의 처리가 쉽고 다양하게 처리되 기 때문에 우리들의 생활에 보편 인 개념으로 깊숙이 들어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변화를 래하고 있다(김 석 2000). 디지털이란 용어는 21세기의 인간의 삶의 양 식을 특징짓는 사회문화 상으로 자리를 잡 아가고 있다. 어느 구도 개개인의 사회 환 경을 구성하는 많은 부분들이 ‘디지털화'되는 상을 결코 피해 갈 수는 없다. 정치, 경제, 교 육, 문화, 술, 신문, 방송, 고, 화, 음악, 의 학, 사진, IT, BT, 작권, 문학, 등 사회 반 인 분야에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3. DDC와 KDC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의 개과정 3.1 D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개과정 DDC에서 디지털이란 용어의 사용은 1951년 간 행된 제15 의 상 색인에서 Digital computers란 용어로 처음 사용하 으며, 본표 상에 510 수학 (Mathematics) 아래에 510.78 Computation Instruments and machine으로 분류할 수 있도 록 안내하고 있다(Dewey 1951, 183). 이는 기 컴퓨터는 과학자들이 복잡한 계산을 신속하 18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고 정확하게 계산하기 해 발명한 도구 기에 디지털 컴퓨터를 수학 아래에 개하 음을 알 수 있다. 본표 상에 분류항목으로 개하기 시 작한 것은 1958년 제16 부터이며, 510 수학과 681.14 사무기계제조 아래에 Digital machines 와 Automatic(Electronic) digital machines 두 개 항목과 681.14 Business machine아래에 Automatic(electronic) digital computers와 Other digital machines 2개 항목이 개되어 있다 (Dewey 1958, 887). DDC제15 과 제16 을 비교해 보면 <표 1>과 같다. 컴퓨터가 기업의 제품 리 경 리에 활 용되어 지면서 련 자료량이 늘어나자 1965년 에 발간된 DDC 제17 에 658.505 Use of digital computer system을 새로운 분류항목으로 채 택하 고, 디지털컴퓨터제조는 자공학 쪽으 로 재배치하 다(Dewey 1965). 제16 과 17 은 디지털에 련된 분류항목에서는 큰 차 이가 없었으며, 상 색인에 제품 경 리 의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에 한 용어가 첨가 되었다. 1971년에 DDC 제18 은 보조표(table), 본 표(schedule), 색인(index)의 3권을 한 세트로 발행하 다. 이 시기는 컴퓨터의 성능이 월등 이 좋아지고 가격이 렴해진 제3세 컴퓨터 가 개발된 때로서 정보 리시스템, 고객 리시 스템 등이 개발되고, 음성, 상, 동 상과 같은 용량의 정보를 원거리에서도 신속하게 송수 신 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 졌다. DDC 제18 의 상 색인을 보면 다섯 항목의 분류번호로 안내하고 있다. 001.64044 Digital computers electronic data process, 658.054044 Digital computers management, 621.381.958 Digital com- puters in electronic engineering, 621.3819596 Digital-to analog converters electronic engi- neering이다(Dewey 1971). 1979년에 DDC제19 이 발행되던 시기는 제 4 컴퓨터가 상용화되던 때로 은행, 신용카드 회사, 증권사 등의 자동인출기가 실생활에 정착할 수 있었으며, 재고 리, 여 리, 회계 정보처리 등 다양한 역에 PC를 도입한 업무 처리능력을 확 하 다. 510 수학 아래에 개 했던 Digital computers란 항목을 001.64 Data processing electronic하에 항목 개를 한 것 분류항목 항목수 상 색인 항목수 15 (1951년) 510.78 Computation Instruments and machines Digital computers 510.78 1 16 (1958년) 510.78 Computation Instruments and machines 510.783 Digital machines 510.7834 Automatic(Electronic) digital computers 681.142 Automatic(Electronic) digital computers 681.144 Other digital machines 4 Digital computers comprehensive works 510.783 Digital computers manufacture 681.14 Digital computers mathematics 510.783 3 <표 1> DDC 제15 과 제16 의 디지털 련 항목 비교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81 과 513 Digital computer representations arith- metic을 새로운 항목으로 개한 것을 제외하 고는 변화가 없었다(Dewey 1979). 1989년에 DDC제20 이 발행되던 시기는 제 5세 컴퓨터가 상용화된 시기이므로 그래픽기 술과 통신기술이 발 됨에 따라 인공지능, 인 지과학,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 입체 상학 과 결합되어 가상 실의 구 이 구체화되기 시 작한 때이다(노문자 2007, 248). 따라서 DDC 제20 본표 상에 Digital computers를 004.11- 004.16 하에 유형별로 항목 개를 하고 있으 며, 상 색인에도 추가하 다. 디지털 련 주 제가 <표 2>와 같이 5개 항목에서 18개 항목으 로 확장 개하고 있다(Dewey 1989). 1996년에 간행된 DDC제21 은 인쇄본과 CD-ROM 도우 버 이 있다. 이 은 “120년 의 DDC 역사상 가장 신 인 개정 이 될는지 도 모른다”(남태우 1996)고 했듯이 디지털 련 항목이 24개 항목으로 확장 개되었다. DDC 제20 에서는 컴퓨터 컴퓨터공학, 자․통 신공학분야에서만 디지털 련 항목이 개되었 지만, 제21 에서는 <표 3>과 같이 술분야로 확장 개되었다(Dewey 1996). 2003년 간행된 DDC제22 은 인쇄본과 Web Dewey로 되어 있으며, 웹 환경에서 처음 DDC 를 소개한 이다. 웹은 정보원에 한 근을 분류항목 항목수 상 색인 항목수 004 Digital computers 004.11 Digital supercomputers 004.14 Digital minicomputers 004.145 Specific digital minicomputers 004.16 Digital microcomputers 004.165 Specific digital microcomputers 005.72 Including digital codes 006.676 Graphics programming for digital microcomputers -> 부가주기에 따라 주제세구분 함. 006.686 Graphics programs for digital microcomputers -> 부가주기에 따라 주제세구분 함. 621.3815 Components and circuits -> Class here digital 621.382 Comminications engineering -> Class here digital 621.39 Computers -> Class here electronic digital computers 621.3911 Digital supercomputers 621.3912 Digital mainframe computer 621.3914 Digital minicomputers 621.3916 Digital microcomputers 621.395 Circuitry 621.39814 Analog-to-digital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18 Digital audio technology sound reproduction 621.3893 Digital circuits 621.3815 Digital circuits computer engineering 621.395 Digital codes 005.72 Digital communications 621.382 Digital computers 004 Digital instruments technology 681.1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2 Digital microcomputers 004.16 Digital minicomputers 004.14 Digital supercomputers 004.11 Digital-to-analog converters 004.64 Digital-to-analog converters engineering 621.39814 13 * 진한 씨는 상 색인에만 있는 항목임. <표 2> DDC 제20 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과 상 색인 18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분류항목 항목수 상 색인 항목수 004. Computer science -> class here digital computer 004.11 Digital supercomputers 004.12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25 Specific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4 Digital minicomputers 004.145 Specific digital minicomputers 004.16 Digital microcomputers 004.165 Specific digital microcomputers 004.611-616 Interfacing and communications for digital computers -> 부가지시에 따른 특수주제 세구분 004.71 Peripherals for digital computers 005.21 Programming for digital supercomputers 005.22 Programming for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5.24 Programming for digital minicomputers 005.26 Programming for digital microcomputers 005.31 Programs for digital supercomputers 005.32 Programs for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5.34 Programs for digital minicomputers 005.36 Programs for digital microcomputers 00.72 Includin digital codes 621.38159 Analog-to-digital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621.382 Communication engineerings -> Class here digital communications 621.39 Computer engineering -> Class here electroic digital computers 621.39814 Analog-to-digital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24 Digital audio technology sound reproduction 621.3893 Digital circuits 621.3815 Digital circuits computer engineering 621.395 Digital codes(Computer) 005.72 Digital communication 384 Digital communications services 384 Digital communication(computer science 004.6 Digital communication engineering 621.382 Digital computers 004 Digital instruments technology 681.1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2 Digital microcomputers 004.16 Digital minicomputers 004.14 Digital supercomputers 004.11 Digital-to-analog converters computer engineering 621.39814 computer science 004.64 electronic engineering 621.38159 Digital video effects 778.593 18 <표 3> DDC 제21 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과 상 색인 확장시키고, 문헌분류표의 이용자들과의 국제 력을 시에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주 기 때문에 분류의 능률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 다. DDC 제22 은 정치 , 사회 변화와 과학 기술의 발 을 극 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주 제들을 한 분류항목의 폭 인 갱신과 확장, 재배치 등의 조정이 이루어졌다(오동근 2007). 디지털 련 주제의 분류항목 개를 정리해 보면 <표 4>와 같다(Dewey 2003). <표 4>에서와 같이 디지털 련 항목이 24개 에서 36개로 확장 개되었으며, 컴퓨터 컴 퓨터공학, 오디오공학, 자․통신공학, 술 분야만이 아니라 도서 , 출 , 방송, TV, 매체, 고, 경 , 사진 등의 분야로 넓 져 갔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83 분류항목 항목수 상 색인 항목수 004. Computer science -> class here digital computers 004.11 Digital supercomputers 004.12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25 Specific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4 Digital minicomputers 004.145 Specific digital minicomputers 004.16 Digital microcomputers 004.165 Specific digital microcomputers 004.611-616 Interfacing and communications for digital computers -> 부가지시에 따른 특수주제 세구분 004.7 Peripherals for digital computers [004.71] 005.31 Programs for digital supercomputers 005.32 Programs for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5.34 Programs for digital minicomputers 005.36 Programs for digital microcomputers 006.5 Digital audio technology computer science 006.696 Digital video technology computer science 025.04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Class here Digital libraries 070.5797 Digital publications 302.231 Digital media 621.3815 Components and circuits -> Class here digital 621.38159 Analog-to-digital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621.382 Communication engineering ->Class here digital communications 621.38807 Digital television 621.3893 Sound recording system ->Class here Digital audio engineering 621.39 Computer engineering -> Class here electroic digital computers 621.3911 Digital supercomputers 621.3912 Digital mainframe computers 621.3914 Digital minicomputers 621.3916 Digital microcomputers 621.39814 Analog-to-digital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651.59 Digital preservation office records 659.144 advertising in digital media 681. 59 Digitization of files 771.33 Digital cameras 775 Digital photography 776 Computer art(Digital art) 36 Digital arts 776 Digital audio technology computer science 006.5 Digital audio technology sound reproduction 621.3893 Digital cameras 771.33 Digital dircuits 621.3815 Digital circuits computer engineering 621.395 Digital codes(Computer) 005.72 Digital communications 384 Digital communications services 384 Digital communications computer science 004.6 Digital communications engineering 621.382 Digital computers 004 Digital instruments technology 681.1 Digital libraries 025.04 Digital media 302.231 Digital advertising 659.144 Digital sociology 302.231 Digital photography 775 Digital preservation office records 651.59 Digital publications 070.5797 Digital publications bibliographies 011.39 Digital television 621.38807 Digital-to-analog converters computer engineering 621.39814 computer science 004.64 electronic engineering 621.38159 Digital video effects 778.593 Digital video technology computer science 006.696 27 <표 4> DDC 제22 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과 상 색인 18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음을 알 수 있다. 가장 최근에 간행된 DDC 제23 (2011)에서 는 디지털 련 항목이 44개로 확장 개되었으 며. 사회학, 교육, 정 기계, 화분야로 까지 확 장 개되었다. 이 게 디지털이란 용어가 분류 표에 도입되어진 과정을 통하여 시 인 변화 흐름에 따라 어떠한 분야에 응용되어 새로운 역이 생겨났는지를 단할 수 있다. DDC 제23 에 개된 디지털 련 분류항목과 상 색인 은 <표 5>와 같다(Dewey 2011). 분류항목 항목수 상 색인 항목수 004. Computer science -> class here digital computers 004.11 Digital supercomputers 004.12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25 Specific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4.14 Digital minicomputers 004.145 Specific digital minicomputers 004.16 Digital microcomputers 004.165 Specific digital microcomputers 004.611-616 Interfacing and communications for digital computers -> 부가지시에 따른 특수주제 세구분 004.7 Peripherals for digital computers [004.71] 005.31 Programs for digital supercomputers 005.32 Programs for digital mainframe computers 005.34 Programs for digital minicomputers 005.36 Programs for digital microcomputers 005.8 Data security -> Includ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005.82 Data encryption -> Digital signatures 006.5 Digital audio 006.696 Digital video 025.042 World Wide Web -> Class here Digital libraries 025.84 Preservation -> Class here digital preservation 070.5797 Digital publications 302.231 Digital media 372.34 Digital literacy primary education 621.3815 Components and circuits -> Class here digital 621.38159 Analog-to-digital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621.382 Communication engineering -> Class here digital communications 621.38807 Digital television 44 Digital art 776 Digital audio technology computer science 006.5 Digital audio technology sound reproduction 621.3893 Digital cameras 771.3 Digital cinematography 777 Digital circuits 621.3815 Digital circuits computer engineering 621.395 Digital codes(Computer) 005.72 Digital communications 384 Digital communications services 384 Digital communications computer science 004.6 Digital communications engineering 621.382 Digital computers 004 Digital images 740 Digital images photography 779 Digital instruments technology 681.1 Digital libraries 025.042 Digital literacy primary education 372.34 Digital media 302.231 Digital advertising 659.144 Digital sociology 302.231 Digital photography 770 Digital preservation 025.84 Digital preservation office records 651.59 Digital publications 070.5797 Digital publications bibliographies 011.39 Digital rights management computer science 005.8 Digital signatures computer science 005.82 Digital subscriber lines 621.3878 Digital television 621.38807 Digital-to-analog converters computer engineering 621.39814 computer science 004.64 electronic engineering 621.38159 Digital video effects 777.9 36 <표 5> DDC 제23 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과 상 색인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85 1940년 에 나타난 디지털이란 용어가 분류 표에 항목명으로 채택되어 개되기 시작한 것 은 1951년 DDC 제15 에서 부터이다. 분류표에 처음으로 채택된 디지털 련 항목명은 ‘digital computers’로서 상 색인에서 사용하 다. 디지 털이란 용어가 수학 아래에서 사용되기 시작하 여 다양한 학문 역에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DDC 제15 상 색인에서 ‘digital computers’ 로 처음 안내되기 시작한 디지털 련 항목이 2011년 제23 에서는 44개로 확장 개되었으 며, 분류항목으로 개하기 시작한 것은 1959 년 DDC 제16 에서 이다. 2011년 제23 까지 개정되는 동안 확장 개된 분류항목과 상 색 인에 채택된 디지털 련 항목수를 비교해 보 면 <표 6>과 같다. 분류항목수 상 색인항목수 15 ☓ 1 16 4 3 17 4 4 18 4 5 19 5 5 20 18 13 21 24 18 22 36 27 23 44 36 <표 6> DDC 제15 -제23 의 디지털 련 개 항목수 비교 분류항목 항목수 상 색인 항목수 621.3893 Sound recording system -> Class here Digital audio engineering 621.39 Computer engineering -> Class here electroic digital computers 621.3911 Digital supercomputers 621.3912 Digital mainframe computers 621.3914 Digital minicomputers 621.3916 Digital microcomputers 621.39814 Analog-to-digital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651.59 Digitization of files 659.144 advertising in digital media 681. 59 Digitization of files 740 Digital images 771.3 Digital cameras 775 Digital photography 776 Computer art(Digital art) 777 Digital videography 778.593 Digital video effects 779 Digital images photography Digital video technology computer science 006.696 Digital videography 777 18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3.2 KDC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의 개과정 한국십진분류법(KDC)에서 디지털 련 주 제가 분류 항목명으로 채택되어 개되기 시작 한 것은 1980년에 간행된 제3 이며, ‘569.92 디지털계산기’로 상 색인과 본표에 개되었 다(한국도서 회 1980). 1996년 간행된 제4 상 색인에 디지털 련 항목명은 디지털 계산기(566.1), 디지털녹음기기(567.435), 디지 털-아날로그변환장치(566.5) 등 3개의 항목을 안내하고 있으며(한국도서 회 1996), 2009 년에 간행한 KDC 제5 에 개된 디지털 련 분류 항목명은 9개 항목이다(한국도서 회 2009). 포함주기로 제시한 ‘디지털카메라와 디 지털-아날로그 변환장치’ 2개 항목을 제외하면 7개 항목이다. 가장 최근에 간행된 KDC 제6 (한국도서 회 2013)의 디지털 련 분류 항 목명은 포함주기에 제시한 것을 포함하여 12개 항목이며, 상 색인에는 13개 항목명을 안내하 고 있다. 디지털이란 용어가 다양한 분야에 도 분류항목 항목수 상 색인 항목수 3 569.92 자계산기 -> 아날로그계산기, 디지털계산 기 등을 포함한다. 1 디지털계산기 569.92 1 4 567.435 디지털 녹음기기 566.5 속 통신 하에 디지털-아날로그변환장치 2 디지탈계산기 566.1 디지탈녹음기기 567.435 디지털-아날로그변환장치 566.5 3 5 004.2261 입력장치 -> 포함주기에 디지털카메라 004.5 통신 네트워크 -> 포함주기로 디지털-아날 로그 변환장치 004.75 디지털 오디오 567.435 디지털녹음기기 568.866 디지털텔 비 569.73 디지털오디오공학 569.8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657.4 디지털 만화 661.5 디지털사진기 9 디지털녹음기기 567.435 디지털만화 657.4 디지털사진기 661.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장치 004.5 디지털 오디오 004.75 디지털오디오공학 569.73 디지털카메라 004.2261 디지털텔 비 568.866 8 6 004.2261 입력장치 -> 포함주기에 디지털카메라 004.5 통신 네트워크 -> 포함주기로 디지털-아날 로그 변환장치 004.75 디지털 오디오 004.77 디지털 상처리(컴퓨터) 024.9 디지털자료 리 567.435 디지털녹음기기 568.866 디지털텔 비 569.73 디지털오디오공학 569.8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657.4 만화 661.5 디지털사진기 688.86 디지털 화 12 디지털녹음기기 567.435 디지털만화 657.4 디지털사진기 661.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569.8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장치 004.5 디지털 상처리(컴퓨터) 004.77 디지털 화 688.86 디지털 오디오 004.75 디지털오디오공학 569.73 디지털 자료 표 -024 디지털 자료 리, 도서 024.9 디지털카메라 004.2261 디지털텔 비 568.866 13 <표 7> KDC의 디지털 련 분류항목과 상 색인 비교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87 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련 자료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는 실이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간행된 KDC 제6 에 개하고 있는 디지털 련 항목명은 12개로 아주 미흡한 상황이므로 향후 확장 개를 하여야 할 것이다. KDC에 개된 디지털 련 항목을 제3 부터 제6 까지 비교 분석하면 <표 7>과 같다. 오늘날 디지털 련 주제가 다양한 분야에 도 입되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연구 결과물도 최 근에 많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개 정된 KDC 제6 을 보면 디지털 련 항목명이 12개가 개되어 있으며, 표 구분 ‘-024 시청각 자료 디지털 자료’를 활용하여 각종 디지털 자 료를 세분하도록 하고 있다. 국립 앙도서 지식 정보 통합검색 시스템(http://www.dibrary.net) 을 통하여 ‘디지털’에 한 통합검색 결과 총 22,747건 단행본 9,735건, 연속간행물 3,535 건, 비도서자료 648건, 온라인자료 9,781건, 참 고정보원 1008건 등으로 나타났다. 이 단행 본 9,735건을 KDC의 주류구분에 따라 분석해 보면 총류(000) 1,577건, 철학(100) 90건, 종교 (200) 50건, 사회과학(300) 2,367건, 자연과학 (400) 102건, 기술과학(600) 3,762건, 술(600) 1,537건, 어학(700) 66건, 문학(800) 129건, 역 사(900) 55건으로서 기술과학과 총류에 한 자료가 많았다. 이들 자료를 발행연도별 통계 를 보면 2011- 재 1,389건, 2001-2010 7,052 건, 1991-2000 1,227건, 1981-1990 58건, 1971- 1980 3건, 발행연도 불명 6건으로 나타났다. 이 와 같이 디지털 련 분야의 자료증가가 최근 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 라서 분류의 복을 피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하여 K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추가 확장 개가 필요하다. 4. 주제명표목표의 디지털 련 주제 분석 4.1 미국의회도서 주제명표목표(LCSH) 주제명표목표는 주제명목록에서 표목으로 사 용될 수 있는 주제명을 일정한 형식으로 통일하 기 해 편찬한 일종의 통제어휘사 이다(이경 호, 김정 2009). 이는 선정된 주제명표목을 심으로 표목상호간에 필요한 연결을 한 참조 주제명을 가나다순 는 알 벳순에 따라 배열 한 주제명 기 표이다. 개개 도서 은 주제명표 목표에 의해서 주제명표목을 선정하고 있다. 미국의회도서 에서 개발한 미국의회도서 주제명표목표(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LCSH)는 1914년 이 발행된 이 래 2012년 제34 이 web상에 PDF 일로 근이 자유롭게 오 되어 있다. LCSH PDF 일에서 디지털 련 주제명을 검색해 보면 172 건이 검색된다. LCSH에서 검색된 172건의 디 지털 련 주제어를 보면 DDC 제23 에 개 된 디지털 련 항목명보다 더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11년 간행된 DDC 제23 에 개된 디지털 련 항목은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을 심으로, 도서 , 박물 , 출 , 교육, 정치, 경 제, 경 , 고, 통신, 방송, 자, 문화, 술, 디 자인, 사진, 화 등 44개 항목이 개되어 있 다. 그러나 LCSH에서 검색된 디지털 련 주 제 172건으로 분석해 보면 컴퓨터과학, 문헌정 18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보학, 박물 , 출 , 화폐(통화), 법학, 화, 통 신, 방송, 수학, 지도 지도제작, 의학, 항공학, 술, 만화, 화, 사진술, 인쇄, 산업, 자동차, 정 기계, 무선공학, 자공학, 통신공학, 오디 오공학, 건축공학, 교통, 문학, 음악, 화, 매체, 등의 분야이다. DDC 제23 에 개되어 있지 않은 디지털 련 주제는 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련 법, 디지털 문학 이며, 디지털 교 육, 디지털 고, 디지털 경 분야는 LCSH에 개되어 있지 않은 주제이다. 이를 DDC 제23 에 개된 분류항목을 기 으로 정리해 보면 <표 8>과 같다. DDC 제23 LCSH 디지털 련 주제 001.3 인문학(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center 004-006 컴퓨터과학 (Computer Science) Digital computer, Digital command language, Digital compact disc, Digital computer control. Digital file sharing, Digital simulation, Digital computer peripherals, Digital signature, Digital audio, Digital video, Digital animation, Digital highway, Digital Network, Digital rights management, Digital computer arithmetic,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igital incremental plotters, Digital integrated circuits data processing, digital literature (hypertext), 020 문헌정보학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Digital book, Digital book readers, Digital library, Digital divide, Digital media libraries, Digital literature, Digital preservation and copyright, Digital reference services,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Digital reading devices, Digital geographical databases, Digital circulation, Digital library access control, Digital library administration, Digital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Digital library management, Digital library use studies, digital media collection, 069 박물 (Museums) Digital museums 070.5 출 (Publishing) Digital publishing, 302 사회행동(Social behavior) Digital social 320 정치(Politics and government) Digital government 332 융(Financial economics) Digital cash, Digital money, Digital currency 340법학(Law) 심리재 의 강제발표, Digital evidence, Digital intellectual property law, Digital signatures Law, Digital discovery law, Digital audiotape recorders and recording law, Digital communication law, Digital media law, Digital television law, 384 통신(Communication) Digital communication, Digital communication services, Digital media, Digital media conservation akd restoration, Digital media editing, Digital media preservation, 510 수학(Mathematics) Digital mathematics, Digital filters(Mathematics) 520 천문학 Digital photogrammetry, Digital map making, Digital surface model, Digital elevation model 550 지구과학 Digital maps, Digital mapping, Digital surface model, Digital, Ditial soil mapping, 디지털지형(고지 ), 510 의학(Medicine) Digital medical radiography, Digital angiocardiography, Digital angiography, Digital ultrasonic cardiography, Digital diagnostic imaging, Digital radiography (medical), Digital echocardiography, Digital contrast echocardiography, Digital subtraction nagiography <표 8> DDC 제23 과 LCSH에 디지털 련 주제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89 4.2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http://www. dibrary.net/kolis)는 2002년 개발되었으며, 후 조합 색인언어로서 다양한 정보검색시스템에 서 사용할 수 있는 시소러스형식이다. 이 주제 명표목표는 국립 앙도서 소장목록검색창 에 링크시켜져 있기 때문에 주제검색시에 용어 목록에서 클릭만 하면 용어명이 선택되도록 되 어 있다. 그래서 디지털이란 용어를 검색한 결 과 100건의 용어가 선택되었다. 선택된 100건 을 분석해 보면 컴퓨터과학, 문헌정보학, 출 , 경제학, 경 학, 방송, 정치학, 법학, 화학, 의학, 건축학, 기계공학, 항공우주공학, 통신공학, 무 선공학, 자공학, 인쇄술, 만화, 사진술, 화 등 의 주제 분야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 개된 디지털 련 항목들을 KDC 제6 에 개된 디지털 련 항목명과 비교해 보면 <표 9> 와 같다. DDC 제23 LCSH 디지털 련 주제 621.38 자, 통신공학(Electronic, communication engineering) Digital electronics, Digital communication, Digital audio engineer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igital audio editors, Digital audio disc players, Digital audio radio satellite services, Digital audio tape players and recorders, Digital audiotape recorders and recording, Digital avionics, Digital computer circuit, Digital differential analyzers, Digital electric filter, Digital image processing, Digital integrated circuits, Digital media, Digital modulation, Digital multimeters, Digital object identifiers, Digital oscilloscopes, Digital radio transmission, Digital records, Digital sound recording, Digital sound sampling, Ditital signal processing, Digital subscriber lines, Digital telephone system, Digital television, Digital-to-analog converters, Digital-to-analog converters calibration, Digital transmission, Digital type and type-founding,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gital video editing, Digital video broadcasting, Digital video standards, Digital video discs, Digital voltmeters, Digital VTR, Digital video jockey 681 기계공학(정 기계) Digital cameras, Digital imaging cameras, Digital counters, Digital electronic clocks and watches, Digital instrumentation, Digital jukebox software, Digital keyboards instruments, Digital music players, Digital piano, 629.1-.2 자동차, 항공공학(Vehicles, Aerospace engineering) Digital navigation, Digital control system, 650 경 학(Management) Digit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670 제조업(Manufacturing) Digital paper, Digital watermarking 686 인쇄(Printing) Digital printing, Digital printing presses 700 술(Arts) Digital art 740 그래픽아트(Graphic arts) Digital images, Digital comic strips 770 사진술(Photography) Digital photography, Digital images editing, Digital images watermarking 780 음악(Music) Digital music hall, Digital music manager software, Digital player piano music,, Digital sampling music, Digital player piano and sampler music, 791.4 화(Motion picture) Digital motion video, Digital moviemaking, Digital filmmaking 800 문학(Literature) Digital fiction, Digital storytelling, Digital monsters 19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주제 KDC 제6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 컴퓨터과학 공학 004.2261 디지털 카메라 004.5 아날로그 변환장치 004.75 디지털 오디오 004.77 디지털 상처리 가상공간(004.5 통신 트워크 하에 개), 디지털공학, 디지털 기술, 디지털 메모리 스코 , 디지털 모바일통신망, 디지털 보이스 처리, 디지털서명(004.62), 디지털 시뮬 이션, 디지털 신호, 디지털 십자 속장비, 디지털 상 연상처리(004.77), 디지털 이미지 이미지기법, 디지털인 라, 디지털 장장치 컴퓨터 로그래 과 컴퓨터데이터 디지털 구조, 디지털 자꼴, 디지털 문자 출 디지털사 (013.1) 문헌정보학 024.9 디지털자료 리, 도서 디지털도서 , 디지털 디바이드, 디지털매체,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지털자료보존, 디지털산업(020.13), 디지털시 (020.13), 디지털 자료 경제학 디지털경제 경 학 디지털경 방송(326.7) 디지털 라디오(326.74)서비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방 송, 디지털 방송국, 디지털아나운서, 디지털오디오방송, 디지털 성 방송, 디지털방송수신기, 디지털컨버 스(융합) 정치학 디지털강국 법학 디지털공간법(기타제법에 개), 디지털법제 화학 디지털 분석기 조정기 의학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 건축학 디지털 건축 기계공학 정 기계-디지털계기 , 디지털계측기(555.3), 디지털스 일, 디지 털복제기, 디지털시계 항공우주공학 디지털비행기록장치 통신공학 567.435 디지털녹음기기 디지털 다 송방식(567.26- 송, 다 화)-> 고속정보통신망 (004.577), 디지털 망 , 디지털녹음기기(567.435), 디지털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리코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이어, 디지털 루 리어, 디지털 력선, 디지털 송 무선공학 568.866 디지털 텔 비 디지털 변조기(568.4), 디지털 TV, 디지털 가입자 회선, 디지털 음 검측 자공학 569.73 디지털 오디오공학 569.85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디지털녹음, 디지털오디오, 디지털오디오디 스크, 디지털오디오 디스크 이어, 디지털오디오 테이 , 디지털 오디오테이 녹음기 인쇄술 디지털 인쇄 만화 657.4 디지털만화 사진술 661.5 디지털 사진기 디지털 SLR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사진 화 688.86 디지털 화 디지털비디오, 디지털 상 <표 9>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와 KDC 제6 의 디지털 련 항목 비교 KDC 제6 과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 표에 개된 디지털 련 항목들을 비교한 <표 9>에 의면 KDC 제6 은 컴퓨터과학, 문헌정보 학, 통신공학, 무선공학, 자공학, 만화, 사진 술, 화 등 8개 분야만 개되어 있다.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는 20개 분야에서 디 지털 련 항목을 개하고 있으며, 컴퓨터 로그램과 데이터, 출 , 경제, 경 , 방송, 정치, 법, 화학, 의학, 건축학, 기계공학, 우주항공공 학, 통신공학, 무선공학, 인쇄술, 사진술, 화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91 등은 KDC 제6 에 개되어 있지 않는 분야이 다. 따라서 향후 KDC를 개정할 때 분류항목에 추가 는 확장 개하여야 할 것이다. 5. KDC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방안 LCSH, DDC 제23 , 국립 앙도서 주제 명표목표, KDC 제6 에 개하고 있는 디지털 련 항목을 보면 LCSH는 172건, DDC 제23 은 44개 항목,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 는 100건, KDC 제6 은 11개 항목이다. 2013 년 간행된 KDC 제6 은 가장 최근에 개정되 었음에도 디지털 련 항목명의 개가 아주 미 약하여 디지털 련 자료의 세 분류가 어렵고 분류기호의 복을 가져와 분류의 효율성을 떨 어뜨리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련 자료의 분 류기호의 복을 피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한 K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추가 확정 개를 하여 DDC 제23 , LCSH, 국립 앙도 서 주제명표목표에서 추출되지 않은 철학, 종 교 역사 분야를 제외하고, 추출된 디지털 련 항목만을 토 로 KDC의 디지털 련 항목명 의 확장 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DC 제6 의 총류(000) 하에 개된 디지털 련 항목명은 컴퓨터과학 분야 4개 항 목과 문헌정보학 분야에 1개 항목이다. 컴퓨터 과학 분야의 4개 항목 2개 항목은 포함주기 에 기술된 것이고, 분류항목으로 개된 것은 2 개항목이다. 국립 앙도서 지식정보 통합검 색에서 디지털에 한 검색결과 총류가 1,577건 으로 3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디지털 련 분야의 자료증가가 최근에 두드러 지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분류 항목명을 확장 개하여 디지털 련 자료 분류의 일 성을 유지 하고 합리 인 분류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DDC 제23 에 개된 항목명 과 LCSH와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서 추출한 총류에 련된 디지털 주제명을 토 로 KDC의 총류 하에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 방안을 정리하면 <표 10>과 같다. 디지털이란 ‘컴퓨터에 기 한’이란 말과 동의 로 간주될 만큼 한 계를 가지고 있다. 그 러나 컴퓨터를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이산 원 리를 이용한 디지털 컴퓨터, 물리 으로 연속성 을 가지는 원리를 이용한 아날로그 컴퓨터, 이들 을 혼용한 하이 리드 컴퓨터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래서 컴퓨터와 련된 역인 004-005 아래에서 디지털 련 항목명을 포함주기와 분 류지시기 주기에 추가하거나 분류항목으로 확장 개하여 분류의 일 성을 유지하도록 하 다. 둘째,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환은 우리 사회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앞으로 도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국립 앙도서 지식정보 통합검색 결과 사회과학(300)분 야가 2,367건으로 두 번째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KDC 제6 의 사회과학분야에는 디 지털 련 항목 개가 되어 있지 않아 분류의 어려움이 발생될 것이다. DDC 제23 ,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와 LCSH에서 사회과학 분야와 련된 디지털 련 주제를 분석해 본 결 과 사회소통의 디지털 사회, 경제, 경 , 방송, 법 률, 교육 분야 등 사회 반에 활용되고 있었다. 이를 토 로 KDC 사회과학분야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방안은 <표 11>과 같다. 19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KDC 제6 확장 개 방안 004 컴퓨터과학 Computer science 정보과학 소 트웨어, 컴퓨터 공학을 포함한다. 004.5 통신 네트워크 주변제어 장치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장치, 모뎀 등을 포함한다. 004.75 디지털 오디오 004.77 상처리 화상처리, 사진․동 상 처리, 디지털 상처리 등을 포함한다. 024.9 디지털 자료 리 004 컴퓨터과학 Computer science 정보과학 소 트웨어, 컴퓨터 공학, 디지털 컴퓨터를 포함 한다. 004.5 통신 네트워크 주변제어 장치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장 치, 모뎀, 디지털 컴퓨터통신 및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004.614 인터넷 보안 디지털 보안, 자메일 보안, 웹 보안을 포함한다. 004.77 상처리 화상처리, 사진․동 상 처리, 디지털 상처리, 디지털 비디 오 등을 포함한다. 005 로그래 , 로그램, 데이터 디지털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005.18 마이크로프로그래밍, 프로그램 디지털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011.204 비도서자료 작권 음악, 화, 상 작권 소 트웨어에 한 작권, 디지털 저작권을 포함한다. 013 출 매 디지털 출판을 포함한다. 020.13 도서 과 사회 디지털 사회도 여기에 분류한다. 024.6 장서 리 보존 디지털 장서관리 및 보존을 포함한다. 024.96 시청각 자료 디지털 오디오 북을 포함한다. 024.995 자자료 디스켓, CD-ROM, 디지털 자료 등을 포함한다. 025.22 디지털 정보서비스 025.91 디지털 도서관 029.51 디지털 스토리텔링 029.6 도서 이외 정보매체의 이용 CD-ROM, 소 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디지털 자료 등을 포함 한다. 069. 9 디지털 박물관 070.45 뉴미디어, 뉴 리즘 자신문, 인터넷신문, 디지털신문 등을 포함한다. * 진한 씨는 추가 는 확장 개된 것임. <표 10> 총류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 방안 KDC 제6 확장 개 방안 320 경제학 325 경 경 학 일반을 포함한다. 325.7 고 325.743 뉴미디어 기타 인터넷, PC통신, 이블TV, 양방향TV, DM(Direct Mail) 등을 포함한다. 320 경제학 디지털 경제를 포함한다. 325 경 경 학 일반, 디지털 경영 등을 포함한다. 325.487 디지털 문서 디지털 문서의 보존, 문서의 디지털화를 포함한다. 325.743 뉴미디어 기타 <표 11> KDC 사회과학분야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방안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93 셋째, KDC 제6 과 DDC 제23 , 국립 앙 도서 주제명표목표에는 자연과학분야와 련된 디지털 련 항목이 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LCSH에 개하고 있는 디지털 련 항목인 디지털 지도 지도제작, 디지털 지표 모형 등의 항목을 토 로 KDC의 자연과학 (400)분야에서도 <표 12>와 같이 디지털 련 항목명을 포함주기에 기술하여 일 성 있는 분 류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국립 앙도서 지식정보 통합검색 결 과 가장 많은 건수가 검색된 분야는 기술과학 분야이다. 이는 컴퓨터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KDC 제6 확장 개방안 446.8 지도제작, 도법 지도투 법, 지도해설, 지도복제 등을 포함한다. 446.982 사진측량법 451.5 지표의 변동 퇴 학을 포함한다. 453.91 천기 보 446.8 지도제작, 도법 지도투 법, 지도해설, 지도복제, 디지털 지도제작 등 을 포함한다. 446.982 사진측량법 디지털 사진 측량을 포함한다. 451.5 지표의 변동 퇴 학, 디지털 지표의 모형 등을 포함한다. 453.91 천기 보 디지털 일기예보를 포함한다. <표 12> KDC 자연과학분야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방안 KDC 제6 확장 개 방안 327.2 화폐 .26 용화폐, 어음 .29 폐 331.1 사회심리학 사회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331.65 미디어 매스미디어, 리즘, 사회학 등을 포함한다. 인터넷, PC통신, 이블TV, 양방향TV, DM(Direct Mail), 디지털 광고 등을 포함한다. 326.4 통신, 우편 디지털 통신도 여기 분류한다. 326.7 방송 디지털 방송도 포함한다. 327.739 방송국 디지털 방송국도 포함한다. 326.74 라디오 방송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포함한다. 326.76 텔 비 방송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포함한다. 327.2 화폐 .27 디지털 화폐 331.1 사회심리학 사회 상호작용, 디지털 사회를 포함한다. 331. 65 미디어 매스미디어, 리즘, 사회학, 디지털미디어 등을 포함 한다. 365.9 무형재산권법 지 재산권, 디지털 지적재산권 등을 포함한다. 373.32 시청각교육 디지털 멀티미디어 교육도 포함한다. * 진한 씨는 추가 는 확장 개된 것임. 19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결합이 낳은 결과라고 본다. 특히 의학, 기계공 학, 통신공학, 무선공학, 자공학, 오디오공학 등에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어 활용됨으로써 련 출 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각 종 질병 진단에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활용 하고 있지만, KDC 제6 과 DDC 제23 의 의학 분야에는 디지털 련 항목명이 하나도 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LCSH와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서 추출한 주제명을 토 로 KDC 기술과학 분야의 디지털 련 항 목명의 확장 개방안을 제시하면 <표 13>과 같다. KDC 제6 확장 개방안 567.435 디지털 녹음기기 568.866 디지털 텔 비 569.73 디지털오디오공학 569.8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512.123 음 진단 디지털 초음파진단을 포함한다. 512.15 방사선 진단 디지털 방사선진단을 포함한다. 549.861 음악당 디지털 뮤직홀을 포함한다. 540 건축학 건축공학 건축술, 건축미술, 디지털 건축 등을 포함한다. 542.15 건축설계 디지털 건축 설계를 포함한다. 555.23 시계 디지털 시계를 포함한다. 555.3 계기, 계측기 디지털 계기와 계측기도 여기에 분류한다. 555.4 사무용기계 디지털 계산기도 여기에 분류한다. 555.63 사진기계 카메라, 사기, 촬 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영사기, 디지털 촬영기 등을 포함한다. 555.64 의료기기 디지털 의료기기를 포함한다. 555.8 음향기기 디지털 음향기기를 포함한다. 555.83 자동연주장치 자동피아노, 디지털 쥬크박스(jukebox)를 포함한다. 556.473 자동차계기 디지털자동차계기판을 포함한다. 558.35 항공계기와 그 시스템 디지털 항공계기를 포함한다. 567 통신공학 Communication engineering 디지털 통신을 포함한다. 567.2 송 디지털 전송을 포함한다. 569 자공학 디지털전자공학과 마이크로 자공학은 여기에 분류한다. * 진한 씨는 추가 는 확장 개된 것임. <표 13> KDC 기술과학 분야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방안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95 KDC 제6 확장 개방안 657.4 디지털 만화 661.5 사진기 부속품 폴로라이드사진기, 디지털사진기 등을 포함한다. 688.86 디지털 화 600 술 디지털 예술도 여기 분류한다. 658.34 디지털 디자인 디지털 이미지도 여기에 분류한다. 660 사진술 디지털 사진술을 포함한다. 666.73 비디오 촬 술 디지털 비디오 촬 을 포함한다. 667.2 디지털 사진 676.2 피아노 디지털피아노를 포함한다. 676.97 기계악기 고안물 뮤직박스, 디지털 쥬크박스 등을 포함한다. 688.13 화제작 디지털 영화제작도 여기에 분류한다. 691.15 컴퓨터 게임, 자게임, 디지털 게임 등을 포함한다. * 진한 씨는 추가 는 확장 개된 것임. <표 14> KDC 술 분야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방안 다섯째, 술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분야는 그래픽 아트, 만화, 사진, 음악, 화 등 이다. DDC 제23 에 개된 항목명과 LCSH와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서 추출한 술 분야의 디지털 련 항목을 토 로 KDC 술 분야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방안을 제시하면 <표 14>와 같다. 여섯째, 문학류에서 디지털 련 항목명은 DDC 제23 , KDC 제6 과 국립 앙도서 주 제명표목표에는 개되어 있지 않았으며, LCSH 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란 하나의 주제가 개되어 있었다. 이를 토 로 KDC의 808.543 스토리텔링 하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포함한 다’는 주기에 추가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여 야 할 것이다. 일곱째, KDC와 DDC, LCSH,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는 철학, 종교, 역사분야에 련된 디지털 항목은 하나도 개되어 있지 않으므로 향후의 련 분야의 상황에 따라 도 입 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어 새롭게 발생한 디지털 련 항목명들을 KDC에 추가 확장 개함으로써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련 자료들을 체계 이고 일 성 있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6. 결 론 KDC와 D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개 과정을 살펴보고, LCSH와 국립 앙도서 주 제명표목표에 개된 디지털 련 주제명을 분 석한 후 KDC 제6 과 국립 앙도서 주제명 표목를 비교 분석하고 DDC 제23 과 LCSH를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 련 항목명을 추출하 다. 이 게 추출한 항목명을 토 로 KDC의 디 19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방안의 연구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이란 용어가 분류표에 채택된 것 은 1951년에 간행된 DDC 제15 상 색인에서 ‘Digital computers'란 용어로 처음 사용되기 시 작하여, DDC가 2011년 제23 까지 개정되는 동안 44개 항목으로 확장 개되었다. KDC는 1980년에 간행된 제3 에서 ‘569.92 디지털 계 산기'를 처음 분류항목명으로 채택하여, 2013년 재6 까지 개정되는 동안 포함주기에 기술된 항목명까지 포함하여 12개 항목으로 컴퓨터, 도 서 , 통신 자공학, 무선공학, 만화, 사진, 화 등 8개 분야에 개되어 있기 때문에 일 되고 합리 인 분류기호 부여가 어려운 상황으 로 나타났다. 둘째, LCSH와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 표에 개된 디지털 련 주제명을 분석한 결 과 2012년에 간행된 LCSH 제34 PDF 일 에서 디지털 련 주제명 검색 결과 172건이 검 색되었으며, DDC 제23 에 개된 항목보다 더 다양하 다. DDC제23 에 개하고 있지 않은 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련 법, 디지털 행 정, 디지털 인쇄, 디지털 의학, 디지털 문학 등 에 한 항목이 개되어 있었다.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표에서 디지털 련 주제명 검색 결과 100건이 검색되었다. 검색 된 100건을 KDC 제6 과 비교 분석한 결과 20 개 분야로 컴퓨터과학, 컴퓨터 로그램과 데이 터, 출 , 경제, 경 , 방송, 정치, 법, 화학, 의학, 건축학, 기계공학, 우주항공공학, 통신공학, 무 선공학, 인쇄술, 사진술, 화 등은 KDC 제6 에 개되어 있지 않은 분야들로 나타났다. 셋째, KDC와 DDC에 개된 디지털 련 항 목명과 LCSH와 국립 앙도서 주제명표목 표에 개된 디지털 련 주제명을 분석 추출 한 결과 KDC의 디지털 련 항목명의 확장 개가 필요한 분야는 총류(000), 사회과학(300), 자연과학(500), 기술과학(600), 술(700), 문 학(800)류이다. 이 주류 하에 개하고 있는 항 목과 련된 디지털 분야는 포함주기와 분류지 시주기로 디지털 련 항목명을 추가 기술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한 KDC 본표에 개되어 있지 않은 항목명은 유사하거 나 인 된 분류항목 아래에 새로운 분류항목으 로 확장 개하여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련 자료를 합리 이고 효율 으로 분류하여 일 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주요 분류표와 주제명표목표에 서 추출된 디지털 련 주제를 KDC의 분류 항 목명으로 추가 확장 개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련 자료 분류에 일 성과 효 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세 분류를 할 수 있어 분류기호의 복을 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 디지털 련 정보에 신속 정확하게 근할 수 있게 되어 이용의 효율을 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97 참 고 문 헌 [1] 고재원 외. 2006. 최신디지털공학 . 서울: 북스힐. [2] 곽덕훈 외. 2002. 디지털시 와 함께하는 COMPUTERS . 서울: 이한출 사. [3] 국립 앙도서 . 2002. 주제명표목표 . [online] [cited 2014. 2. 13.] [4] 김 석. 2000.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 서울: 나남출 . [5] 김자후. 2009. KDC 5 에 한 제언. 한국도서 ․정보학회지 , 40(2): 5-26. [6] 남태우. 1996. DDC 21 의 개정내용과 그 특성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0(4): 85-104. [7] 노문자 외. 2007. 문헌정보학개론 . 구: 태일사. [8] 오동근. 2007. DDC22의 이해 . 구: 태일사. [9] 이경호, 김정 . 2009. 자료목록법: KORMARC․MARC21을 심으로 . 제4 . 구: 태일사. [10] 이창수. 2000. 정보통신기술 분야 인터넷자원의 분류체계에 한 연구. 정보 리학회지 , 21(2): 89-106. [11] 정두 , 이천효. 2011. 최신 디지털공학 . 서울: 명진. [12] 최재황. 1998. 인터넷 학술정보자원의 디 토리 서비스 설계에 있어서 DDC 분류체계의 활용에 한 연구. 정보 리학회지 , 15(2): 47-67. [13] 한국도서 회 분류 원회 편. 1980. 한국십진분류법 . 제3 . 서울: 한국도서 회. [14] 한국도서 회 분류 원회 편. 1996. 한국십진분류법 . 제4 . 서울: 한국도서 회. [15] 한국도서 회 분류 원회 편. 2009. 한국십진 류법 . 제5 . 서울: 한국도서 회. [16] 한국도서 회 분류 원회 편. 2013. 한국십진분류법 . 제6 . 서울: 한국도서 회. [17] 한국정보통신기술 회 편. 2004. 정보통신용어사 . 서울: 두산동아. [18] Angel, Garcfa-Crespo et al. 2011. “Digital Libraries and Web 3.0 the Callimachus DL Approach.” Computers in Behavior, 27(4): 1423-1430. [19] David, Stuart. 2010. “Web 3.0 Promises Change for Libraries.” Research Information, 46: 12-13. [20] Dewey, Melvil. 1951.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15th ed. Dublin, Ohio, OCLC. [21] Dewey, Melvil. 1958.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16th ed. Dublin, Ohio, OCLC. [22] Dewey, Melvil. 1965.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17th ed. Dublin, Ohio, OCLC. 1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8권 제2호 2014 [23] Dewey, Melvil. 1971.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18th ed. Dublin, Ohio, OCLC. [24] Dewey, Melvil. 1979.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19th ed. Dublin, Ohio, OCLC. [25] Dewey, Melvil. 1989.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0th ed. Dublin, Ohio, OCLC. [26] Dewey, Melvil. 1996.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1st ed. Dublin, Ohio, OCLC. [27] Dewey, Melvil. 2003.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2nd ed. Dublin, Ohio, OCLC. [28] Dewey, Melvil. 2011.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3rd ed. Dublin, Ohio, OCLC. [29] DDC Home page. [online] [cited 2012. 3. 21.] [30] 025.431 The Dewey Blog. [online] [cited 2012. 3. 21.] [31] Library of Congress. 2013. Library of Congress Sebject Headings. 34th ed. Washington: LC. [online] [cited 2014. 1. 23.] •국문 참고자료의 영어 표기 (English translation / romanization of references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1] Go, Je-won et al. 2006. The latest digital engineering. Seoul: Books Hill. [2] Kwag, duk hun et al. 2002. COMPUTER together with the digital age. Seoul: Yihan. [3] The Library of Korean National. 2002. Subject Headings. [online] [cited 2014. 2. 13.] [4] Kim, Young Seuk. 2000. Digital Media and Society. Seoul: Nanam. [5] Kim, Ja-hoo. 2009. “Suggestion on the 5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2): 5-26. [6] Nam, Tae-Woo. 1996.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DDC Ed. 2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4): 85-104. [7] Ro, Moon-Ja et al. 2007. Introduction to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aegu: Taeil Co.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련 항목명 확장 개에 한 연구 199 [8] Oh, Dong Geun. 2007. A Understanding of DDC22. Daegu: Taeil. [9] Lee, kyung Ho and Kim, Jeong hyun. 2009. Cataloging: KORMARC․MARC21. 4th edition. Daegu: Taeil Co. [10] Lee, Chang Soo. 2000.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s of Internet Resources in the Fields of the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2): 89-106. [11] Jeong, Doo-Young and Lee, Cheon-Hyou. 2011. The latest digital engineering. Seoul: MyungJin. [12] Choi, Hae-Hwang. 1998. “A Study on the Use of DDC Scheme in Directory Search Engine for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s on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5(2): 47-67. [13] Committee of Classification, Korean Libary Association ed. 1980.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3rd edition. Seoul: KLA. [14] Committee of Classification, Korean Libary Association ed. 1996.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4th ed. Seoul: KLA. [15] Committee of Classification, Korean Libary Association ed. 2009.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5th ed, Seoul: KLA. [16] Committee of Classification, Korean Libary Association ed. 2013.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6th edition. Seoul: KLA. [17] Kore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ed. 2004. Dictionar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ology. Seoul: DuSan Do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