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문화연구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제 20 권제 2 호, (2012. 4), pp.129~143 - 129 - 이 논문은 2011년 순천대학교 학술연구비 공모과제로 연구되었음. † 교신저자 E-mail : ksy6341@sunchon.ac.kr 현대패션에 수 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김 선 †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Study on Collage Techniques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Sun Young Kim †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11. 6. 2. 접수일 : 2012. 3. 8. 수정완료일 : 2012. 4. 2. 게재확정일)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collage techniques to contemporary fashion and intends to show that collage techniqu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temporary fashion, leading to a more creative design aesthetic through the combination of fashion and art. The author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and global fashion collections from 2000S/S to 2010F/W, fashion publications, and internet data,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e papier-collé approach, as represented by cubism, showed a creative surface effect through the texture of the paper itself by applying real paper and other materials directly to the clothing items. Second, Dadaist ready-made expressed a distortion of the material and freedom of expression by creating a collage with ready-made fashion items and daily necessities. Third, a photomontage expressed unique images by printing various images of photos that contrasted in perspective. In addition to this, beauty in dissonance and a new sense of space by a collage of disparate material. Fourth, décalcomanie was expressed by printing methods, giving a stable image of the symmetry of the perfect landscape as well as the unintended effect of coincidence in abstract images and particular textures. Fifth, assemblage as the representative collage technique of pop art introduced the overall object itself or modified form by combining it with fashion to express three-dimensional aggregate structures. Keywords: papier collé(파피에 콜레), ready made(레디메이드), photo montage(포토몽타주), décalcomanie(데 칼코마니), assemblage(앗상블라주) Ⅰ. Introduction 오늘날 문화, 예술 및 사회전반에 걸친 모든 역간의 장르와 경계 초월의 경향은 각 분야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며, 독창적인 이미지의 결과물을 표현하게 한다. 특히 패션에 향을 주는 많은 요소 들 가운데 가장 향력을 미친 것은 예술양식으로 각 미술양식에서 나타난 색채와 형태, 기법 등 패 션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적극적인 교류를 통하 여 보다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표현을 나타내왔다. 다양한 미술양식 중 콜라주(Collage)는 신문지․ 헝겊․벽지․인쇄물, 또는 일상생활에서 취한 물건 등을 화판이나 캔버스에 붙여 만드는 미술기법을 2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 130 -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일루전의 미학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조형탐구 기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콜라주는 현대미술에서 입체파 화가들에 의해 화 면에 이질적인 오브제를 부착하는 것으로 처음 시 도되었고, 이후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팝아트 등의 미술사를 거치면서 보다 입체적이고 실험적인 시 도들이 이루어졌다. 즉, 파피에 콜레(Paper collé), 레 디메이드(Ready m ade), 포토몽타주(Photo m ontage), 프로타주(Frottage), 데칼코마니(D écalcomanie), 앗상 블라주(A ssem blage) 등 여러 표현기법, 소재, 조형 의지에 따라 평면적인 회화를 삼차원의 세계로 끌 어올리면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불연속적인 각 재료의 단편화된 부분을 조 합하여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게 되는 콜라주의 특 성은 모든 문화적 가치가 다원화되고 상대화되어 어떠한 가치도 지배적이거나 우월한 것이 될 수 없 고, 모든 가치가 단편화된 조합으로 나타나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는 현대사회의 상황과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콜라주 기법은 포스트모던의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문화현상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며, 미술뿐만 아니라 패션에 이르기까지 그 의미나 표현이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콜 라주에 관한 선행연구(Jung, 1985; K im, 2001; Lee, 2003; Oh & Park, 2005; Shim , 2009; Son & K im, 2005)는 콜라주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나 헤어 및 메이크업에 활용된 연구, 미술사조 에 있어 콜라주 기법의 변천에 관한 연구, 그리고 예술 사조나 디자이너의 작품 연구에서 있어 단편 적으로만 언급되었고, 포토몽타주, 데칼코마니, 프 로타주, 앗상블라주 등 각 콜라주의 기법 하나만을 주제로 한 연구 등이 진행되어 다양한 콜라주 기법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미술사조에 따라 다양하 게 변화되는 콜라주기법의 특성을 고찰하여 콜라 주기법에 대한 체계적인 정립과 이해의 폭을 넓히 고, 이를 근거로 각 미술사조의 콜라주 특성이 반 된 현대패션에서의 사례분석을 통해 조형적 연 관성을 탐구함과 동시에 패션디자인에서 예술과의 접목을 통한 창조적 발상 및 디자인 전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관 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콜라주의 개념과 현대미술양식에 나타난 콜라주의 전개 및 기법을 문헌고찰하 으며, 현대패션에 표현된 콜라주 관련 자료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00S/S부터 2010S/S까 지의 V ogue, Fashion New s, Mode & Mode, G ap 등 국내외 패션컬렉션에 발표된 작품사진과 인터넷자 료 등을 분석하 다. Ⅱ. Background 본 장에서는 콜라주의 개념과 각 미술사조에 따 른 콜라주의 변천과정 및 기법의 이해를 바탕으로 고찰함으로써 각 콜라주기법에 대한 특성과 콜라 주가 활용된 패션디자인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 다. 1. The concept of collage 콜라주란 불어로 ‘풀로 붙이다’는 동사 ‘Coller’ 에서 유래된 말로, 본래 풀칠, 바르기 따위의 의미 으나, 전용되어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 젓가락, 모래, 나뭇잎 등 여러 가지 것을 붙여서 구 성하는 회화기법을 가리킨다(M onthly art, 1995). 콜라주는 대상을 해체, 분석하여 논리적으로 재 구성함으로써 화면의 실재감을 주는 기법으로 실 제의 재료를 겹쳐 구성하고 혼합하는 것에 의한 비 원근법적 공간으로 이러한 실제 부착은 화면에서 독립된 실재로서의 존재성을 획득한다(Yu, 1991). 따라서 작품들은 2차원적 회화보다 부조조각처럼 표현되어지는데, 이 기법은 중세부터 19세기 말까 지 공예, 대중 예술 작가들의 장식적인 공예품 등 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창조적 예술가들에 의해 미 술사적 가치를 지니게 되어 조형 표현의 수단이 된 것은 20세기 초 입체주의 화가들에 이르러서이다. 입체파 화가들에 의해 화면의 재질감을 높이기 위해 세밀히 그려져야 할 부분에 종이나 헝겊을 사 용하여 붙임으로써 시도된 콜라주는 현대미술사에 있어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팝아트 등의 미술사를 거치면서 소재나 조형의지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 되어 왔고, 각각의 미술양식에 있어 파피에 콜레, 레디메이드, 포토몽타주, 데칼코마니, 프로타주, 앗 상블라주 등 여러 기법을 통해 표현되어졌다. 즉, 조 형적으로 콜라주는 지금까지 손으로 그린다는 전 제 20 권 제 2 호 김 선 3 - 131 - 통적인 방식을 배제하고, 여러 가지 형태의 이물질 들을 화면에 포함시킴으로써 현대미술에 커다란 변혁과 전환을 가져왔으며(Yu, 1991), 의미를 창출 하고자 하는 의도를 내포할 수도 혹은 별다른 의미 없는 어떤 독창적인 전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행위 일 수도 있는 것으로(Sung & Kim , 1994) 광범위하 고 개성적인 방법을 통해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 하는 모든 것이라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2. Deployment and techniques of collage in contemporary art 1) Cubism 현대미술에 있어서 최초의 콜라주기법의 도입은 화면위에 붙여지는 여러 가지 재료 중 종잇조각을 사용한 파피에 콜레에서 비롯된 것으로 1912년경 Braque와 Picasso에 의해 시도된 콜라주는 활자가 찍힌 종이, 나뭇결문양 또는 대리석 문양의 종잇조 각을 화면의 한 부분에 붙이는 것으로 시작하여, 그 후에는 화면에 재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그림의 일부분에 신문지, 성냥, 트럼프, 악보, 티켓 같은 인 쇄물을 붙여서 확대시키기에 이르렀다(Lee, 1992). 입체주의 콜라주 형식은 사물들의 성질들을 나타 내는 선과 면들이 콜라주된 재료를 가로질러 그려 지기도 하고, 서로 분리되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 는 화면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조형탐구이며, 입체 적 물체가 조형수단으로서 회화나 조각에 부속되 어 표현되게 한 것이다(Son & Kim , 2005). 1912년 Picasso는〈Fig. 1〉과 같이 콜라주 기법 을 통해 그림에 구체적인 물체를 도입함으로써 사 물을 그대로 보고 그리는 재현 이상의 생생한 사실 감을 보여주었으며, Braque 역시 평면에서의 입체 감을 부정하고, 사물이 가지는 본질 자체를 평면에 표현한다는 측면에서 그림을 그린 화면에 나무판 자를 붙이고 활자를 그대로 오려 넣는 파피에 콜레 기법을 시작하여 회화의 기본개념에 혁신을 일으 켰다(K im , 2001). 이와 같이 파피에 콜레는 공간적 깊이나 색채의 특징, 물체의 질감을 강조해 줌으로써 화면에서 잃 어버린 구체적인 이미지를 회복시킴과 아울러 더 욱 풍부한 조형성을 창조하게 하 는데, 입체파 화 가들은 현실적인 물질을 직접 화면에 가져옴으로 써 화면에서 잃어버린 현실적 이미지를 회복한다 는 의도와 그에 못지않은 표현의 풍부한 효과(O h, 1979)를 기대할 수 있었다. 2) Dadaism 다다이즘의 허무적이고 반 예술적인 태도는 종 래의 예술개념을 부정하고 정신의 자유를 주장하 게 되는데, 다다의 정신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으 로 물체를 붙이는 콜라주 기법을 매우 자유스럽고 무제한적으로 사용하 다(Kim , 2001). 이들은 콜라 주 재료에 있어서 전통적인 회화의 개념에서는 예 술외적인 역에서 여겨졌던 폐품, 즉 실 꾸러미, 모발, 철사, 모래 등을 캔버스에 붙이거나 신문잡지 의 인쇄물과 사진 그리고 실용적인 용도를 가진 기 성품 등을 도입하 다(Jung, 1998). 즉, 입체주의의 물체가 조형수단으로서 회화나 조각에 부속되어지 고 있는 반면, 다다의 콜라주는 극도의 물질감을 이루는 단계를 표현해 나갔다. 다다이즘의 대표적인 콜라주 기법인 레디메이드 는 일상용품을 낮선 장소에 배치시켜 원래의 유용 성을 박탈함으로써 최초의 목적을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도록(A n, 1999) 한 미적개념으로 프 랑스 화가인 D uchamp에 의해 창조되었다. Duchamp 은 1915년 그의 작품〈Bicycle〉에서 전혀 손대지 않은 자전거 바퀴와 의자를 작가의 의도대로 선택 하여 이 기성 실용품에 서명하여 그대로 출품함으 로써 자신의 시공간적 차원의 운동을 표현하 다 (K im, 2001). 즉, 다다이스트들은 전통적인 회화의 도구를 버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비 개성적인 기성제품들을 심미적 감각의 작용을 배 제하여 시각적인 무관심 상태에서 선택하여 서명 하거나 도발적인 제목을 붙여 창조함으로써 예술 가의 선택에 의해 산업적 오브제를 예술적 오브제 로 승화시켰다(Oh & Park, 2005). 또 다다이스트들은 새로운 이상적인 이미지를 끌어내고 새로운 통일성을 창조할 목적에서 사진 을 소재로서 활용하 다. 이들은 의도적으로 포스 터, 삐라, 정치적인 선전 책자 등 인쇄매체를 통해 얻은 이미지를 배합하고 왜곡하여 모든 전달 수법 의 이미지를 창조했으며, 이로써 회화에서 채색과 4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 132 - 드로잉의 필요성을 제거하게 된다(Son & Kim, 2005). 포토몽타주의 발명자인 Raul H ausman은 포토몽타 주의 특수한 시각적 요소가 다양한 용도의 예술적 소재임을 발견하고, 오려낸 사진 이미지로 만들어 진 겹쳐진 이미지를 통해 사진의 기록적인 진실과 환상적인 세계를 결합할 수 있게 하 다(Fig. 2). 즉, 포토몽타주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모든 재료를 제공해 함으로써 가장 전통적인 예술개념을 무시 한 행위이며, 전통적 의미의 콜라주 개념을 확산시 킨 것이라 할 수 있다(Choi, 1991). 3) Surrealism 초현실주의는 비합리적인 세계를 과감하게 인간 의 이성으로부터 해방시키려한 것이 그 근본이념 이었으며, 일상생활의 사물들이 지닌 성격과 형태 들을 환치시키거나 자동기술법에 의하여 콜라주함 으로써 의외의 환상이나 경이로운 우연적 사건을 표현하 다. 따라서 이들은 까닭 없이 모든 것을 부정하기보다는 근본적인 동기와 언어적인 혹은 시 각적인 착시성과 연관하여 전개되었는 데, 초현실 주의 콜라주는 현실, 전위, 프로타주, 데칼코마니의 효과와 자동화에서 발생되는 탈일상성의 방법으로 전개되며 표현되었다(Jung, 1998). 프로타주 기법은 Ernst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 초 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에 대한 그의 개인적 반응 으로 콜라주 기법을 발전시킨 탁본형식의 기법이다 (Shim, 2009). 프로타주란 ‘마찰’이라는 의미의 프랑 스어 ‘frotter’에서 기원한 것으로 목재, 나뭇잎, 올 이 굵은 천 등 재질감 있는 표면 위에 종이를 놓고 문질러 독특한 효과를 얻는 기법으로, 수동적인 제 작과정 때문에 잠재의식의 역에 보다 깊게 관련 을 맺는다. 그의 프로타주 기법의 특성은 예술창작 에 객관적으로 제외된 것과 의식의 조정에 의하여 발생하 으며, 프로타주를 발견한 이후 보다 표현 적이며 공상적인 방향으로 작품을 하게 되는데(Kim, 2001), 이것은 곧 3차원적인 세계를 통하여 비현실 적인 세계까지 나타내는 환상적인 회화를 보여주 고 있는 것이다(Fig. 3). 또 Ernst는 1935년 O scar D omingues가 발견한 자 유연상을 위한 수동적인 방법의 데칼코마니기법을 받아들여 이를 더욱 발전시키게 되는데(Shim, 2009), 데칼코마니는 종이 위에 잉크방울이나 물감을 떨 어뜨린 후 마르기 전에 접거나 다른 종이를 붙 다 떼면 접혀진 부분이나 다른 종이에 똑같은 대칭무 늬가 찍히게 되는 전사기법이다(An, 1999). 이 기법 은 연상적인 우연의 효과를 나타내고, 그것이 다른 이미지로 바뀔 때 환각을 가로지르는 방법으로 정 신분석학적 통찰력을 초월해서 기법의 우연성을 탐구함으로써 매혹적인 형태와 질감을 획득하게 하 다(Son & Kim , 2005). 즉, 이것은 초현실주의 의 콜라주에서 인간의 잠재의식과 무의식, 꿈, 환상 의 세계를 추구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표현 된 것으로 서로 화합할 수 없는 것을 화합하여, 그 사이에 일어나는 우연한 효과에 의해 비유나 상징 을 내세워 보는 자의 연상 작용에 강하게 호소하는 것 이었다(Oh & Park, 2005). 4) Pop art 팝아트의 작가들은 일상생활에 범람하는 기성이 미지나 일상적으로 흘러넘치는 상에서 소재를 취 했는데, 이는 현대문명에 대한 절망이나 염증이 동 기로 되어 표현한 다다와는 달리 오히려 상업 문화를 그들 회화적 주제의 무한한 원천으로 보았다(Kim, 2001). 이에 따라 팝아트 콜라주는 테크놀로지나 매스미디에서 대중 속에 있는 조형적 요소를 몽타 주하여 작품 속에 짜 맞추는 형태로 콜라주에 새로 운 오브제를 등장시켜 앗상블라주 형태로 나타났다. 앗상블라주는 주로 주변의 잡동사니나 일상적 오 브제들을 한 화면에 집성시키거나 일상적 오브제 들을 한 화면에 집성시키거나 입체적으로 조립하 는 것으로 평면적 성격의 콜라주에 입체성을 부과 시킨 형태이다. 따라서 콜라주나 파피에 콜레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며, 집합과 병치, 구성과 절단 등과 같은 기교들로 표현되기도 한다(Monthly art, 1995). 즉, 오브제 창작이 아닌 오브제 집합의 의미에 가까운 주로 삼차원적 형태의 콜라주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Picasso나 D uchamp의 레디메이 드에서 그 전신을 찾아 볼 수 있으며, 1950년대 이 후 팝아트에서 발전된 기법이다(Oh & Park, 2005). 앗상블라주는 우선적으로 오브제의 크기와 형태, 재 질감, 색채 등과 관련을 가지며, 그 특성은 그것을 생산하는 방법 즉 자르기, 찢기, 태우기, 꿰매기, 톱 제 20 권 제 2 호 김 선 5 - 133 - Picasso, 1912. From K im. (1996). p. 355. Raul H ausm an, 1920. From Raul. (2011). p. 245. Ernst, 1925. From Ernst. (2009). http:// blog.daum .net Richard Hamilton, 1956. From Choi. (1997). http:// cafe.daum .net 질하기, 압축시키기, 못질하기, 용접(K im , 2001) 등 에 의해서 결정된다. 팝아트 작가 Jeam Dine은 옷가지, 샤워기 등을 캔 버스에 부착시키고, 여기에 자유분방한 붓 자국으로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하 고(Jung, 1998), Richard H am ilton은〈Fig. 4〉에서와 같이 현대 대중사회의 일면을 콜라주로 표현한 작품을 통해 팝아트 특성 을 구체적으로 나타냈으며, Robert Rauschenberg는 신문과 잡지사진을 실크스크린 인쇄물과 결합하여 미국 역사와 대중문화를 혼합한 이미지를 창조해 내었고(“Collage”, 2011), 또 사진이미지들을 직접 문질러 복사하거나 다양한 기성이미지들을 조합하 고 또 삼차원적인 오브제를 회화의 부속물로 붙이 는 콤바인 페인팅(Com bine Painting)으로 콜라주를 발전시키기도 하 다. 이와 같이 팝아트에서 오브제가 갖고 있는 일상 성을 회화의 소재로 끌어들 다는 것을 회화를 일 루전화에서 해방시켜 직접적인 현실을 사물화 하 여 얻어진 보편성과 무명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 라 할 수 있으며(Jung, 1990), 이러한 콜라주 개념은 정크아트(Junk art)나 해프닝(H appening) 등 현대미 술의 표현적 기법에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Ⅲ. The Techniques of Collage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현대패션에 나타난 콜라주 기법은 복식에 사용 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새롭고 실 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동시에 부조적인 형태로 조형성을 강 조하게 되고, 또 패션을 통해 현대 물질문명의 리 얼리티를 그대로 제시하는 의미를 갖는다. 패션과 관련한 콜라주의 선행연구에 있어 콜라 주기법을 이용한 니트 디자인 연구를 수행한 Kim (2001)은 콜라주 기법을 응용한 현대의상을 동일 소재의 결합, 이질 소재의 결합, 포토몽타주로 구분 하 으며, 현대패션과 헤어장식에서 콜라주의 표현 양식을 연구한 Son and K im (2005)은 입체주의, 다 다이즘, 초현실주의의 콜라주로 구분하 고, 패션 디자인 발상을 위한 콜라주 활용에 관한 연구를 수 행한 Lee(2003)는 다원성과 탈구조성, 상대성의 구 현으로 구분하 으며, O h and Park(2005)은 현대메 이크업에 나타난 콜라주의 형태 및 표현 특성에 관 한 연구에서 종이, 패브릭, 인조보석과 같은 소재적 인 측면과 구상적, 기하학, 추상적, 무형태의 형태 적 측면으로 구분한 바 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 들은 각 미술사조별로 특징을 나타내는 콜라주기 법에 대한 분류나 연관관계가 아닌 패션이나 헤어, 또는 메이크업에서의 콜라주기법만을, 또는 문화현 상과 연관하여 콜라주를 해석하고 진행한 것이다. 또한 포토몽타주나 레디메이드, 앗상블라주 등 단 일 콜라주 기법에 관한 연구의 경우, 미술사에 관 련된 연구이거나 패션디자인과 관련된 경우 콜라 주의 다양한 기법이 아닌 단일 기법에 관한 연구로 콜라주 기법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데 한계를 나타 낸다고 할 수 있다. 2000S/S부터 2010S/S까지의 패션컬렉션에 발표 된 작품사진과 인터넷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현대 6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 134 - 패션에 나타난 콜라주의 표현은 종이나 일상사물 과 같은 이질적인 소재의 사용이라는 재료적인 측 면과 프린트된 사진을 이용하거나 데칼코마니와 같은 콜라주의 표현기법적인 측면을 통해 그 조형 적 양식을 나타냈다. 이에 본 장에서는 선행연구와 앞서 고찰한 현대 미술사조의 콜라주기법에 근거 하여 현대패션에 나타난 콜라주의 표현기법을 파 피에 콜레, 레디메이드, 앗상블라주와 같은 이질적 인 소재의 사용이라는 재료적인 측면과 포토몽타 주와 데칼코마니와 같은 표현기법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하 고, 현대미술에서의 콜라주 기법 이 현대패션에 수용됨에 있어 어떠한 특성을 나타 내는지 그 연관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선행연구 와의 차별성을 두었다. 파피에 콜레, 레디메이드, 앗상블라주 모두 기존의 의복 소재가 아닌 이질적 인 소재의 사용이라는 점에 있어 공통적인 요소이 나 각 재료나 조형적 형태에 있어 차이를 두고 있 으므로 미술사조에 근거한 고유의 단어를 사용하 여 구분하 으며, 프로타주의 경우 실제 작품이 아 닌 사진자료에 근거하여 그 재질감의 표현을 정확 하게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제외하 다. 1. Use of foreign materials 1) Papier Collé Picasso와 Braque 등 입체주의자들에 의해 시도 John G alliano, 2000F/W. From John. (2011). http://www.style.com O n aura tout vu, 2007S/S. From On aura tout vu. (2007b). p. 134. Russell Sage, 2001F/W . From Russell. (2011). http://www.style.com M artin M argiela, 2008F/W . From M artin. (2008). p. 140. 된 파피에 콜레는 평면적 회화에서 현실적 사물을 가미하여 화면의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했는데, Barr는 그의 저서에서 입체주의를 언급하면서 화면 에 다른 재료를 붙여서 사용하는 것을 콜라주라고 한정하고, 이 가운데서 종잇조각을 사용하는 경우 를 파피에 콜레라고 불렀다. 이때의 종이는 종이 위에 그려진 이미지의 가치보다는 종이 자체의 질 감과 색채가 조형적 가치로서, 그 기능을 가질 때 파피에 콜레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하 다(A lfred, 1993). 이러한 기법은 현대패션에 있어 종이를 직 접 붙이거나 신문지, 트럼프 등 각종 인쇄물을 의 복의 소재로 이용하여 콜라주함으로써 종이의 재 질적 표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종이의 색 채를 의복의 색으로 그대로 전이시킴으로써 파피 에 콜레의 조형적 가치를 나타냈다. 입체주의자들이 표현한 파피에 콜레가 화면에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듯 이〈Fig. 5〉는 마치 종이인형의 옷과 같이 종이로 된 옷으로 인체를 가려 평면적인 회화에 실제 인간 의 몸이라는 현실적인 오브제를 가미하여 새로운 공간감과 조형성을 느끼게 한 것이다. 종이라는 소 재는 입체파 화가들의 파피에 콜레부터 시작하여 기존의 회화 개념을 파괴시키는 일종의 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지만, 사실상 종이는 현대소비사 회에서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물품 중 하나로 종이 의 형태와 종류, 표현방법에 따라 현대패션에서도 제 20 권 제 2 호 김 선 7 - 135 - 다양하게 활용되었다.〈Fig. 6〉은 드레스 위에 낙서 된 수백 장의 포스트잇을 콜라주한 것으로 부조적 인 조형미와 함께 일시적이고 순간적인 현대사회 의 일면을 나타내고 있으며,〈Fig. 7〉은 15파운드와 20파운드의 실제 지폐를 서로 콜라주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한 것으로 실제 지폐라는 인쇄물은 지 폐가 갖고 있는 고유의 문양과 색상으로 의복위에 하나의 문양으로 표현되며, 또 인간의 몸 위에서 재구성되어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 다.〈Fig. 8〉은 각종 인쇄물을 가늘게 잘라 서로 엮고 콜라주하여 구성된 재킷으로 지면을 구성한 화려한 컬러와 질 감은 분해되어 다시 재구성됨으로써 재킷을 구성 하는 디자인 요소로 새롭게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파피에 콜레는 회화에서 재료의 한계 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공간을 구성하 듯이, 현대 패션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조형적 가치를 나타 냈다. 즉, 실제 종이를 이용하거나 각종 인쇄물을 옷 위에 콜라주함으로써 종이 자체의 질감을 부각 시켜 독창적인 조형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패션 소 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 다. 또, 입체파 화가들이 현실적인 물질을 화면 에 이입시켜 현실적인 이미지를 나타냈듯이 포스 트잇이나 실제 지폐를 의복의 표면 위로 가져옴으 로써 현대 물질사회의 한 단면을 풍자적으로 표현 하 다는 점에서 그 조형적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2) Ready made 전통의 가치, 이성의 우위, 예술의 형식을 부정 한 다다의 콜라주기법 중 하나인 레디메이드는 전 통적인 예술의 개념을 부정하기 위해 사용되었으 며, 기성오브제를 등장시켜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 을 갖고 우연적이면서도 행동적인 모습으로 등장 시켜 극도의 물질적 이미지를 표현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레디메이드의 기법은 현대패션에 있어서 다양한 기성용품들을 콜라주하여 소재의 왜곡을 나타냄과 동시에 유희적이고 현대사회의 물질적 이미지를 또 다른 이미지의 오브제로 전환시켜 표 현함으로써 레디메이드라는 콜라주의 조형적 가치 를 나타냈다. 〈Fig. 9〉는 다양한 단추를 콜라주하여 의복의 아 이템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의복의 여밈 도구인 단 추는 그 본래의 용도 대신 재킷과 팬츠를 구성하는 중요수단으로 활용되어 위치 전환된 레디메이드의 한 기법을 나타냈다. 이는 원래의 목적을 벗어난 기성오브제를 그대로 사용하여 의상을 장식하고 구성하는 하나의 직접적인 도구로 표현하여 인체 라는 하나의 화폭에 물질적인 이미지를 보다 강조 하게 한다.〈Fig. 10〉 역시 블랙 선글라스의 렌즈만 을 원피스 위에 콜라주하여 선글라스라는 기성오 브제의 의미는 사라진 채 렌즈는 의상을 장식하는 하나의 도구로 표현되고 있으며, 무작위로 놓인 렌 즈의 배열은 우연이라는 상황을 연출하여 보다 추 상적인 이미지를 갖게 한다. 〈Fig. 11〉은 Martin Margiela의 작품으로 다양한 형 태와 색상의 머리빗을 콜라주한 원피스이다. Martin M argiela는 머리빗뿐만 아니라 볼펜 뚜껑을 콜라주 한 재킷, 플라멩코에 사용되는 부채를 콜라주한 볼레로, 다양한 색상의 스트로를 콜라주하여 재킷 의 표면에 하나의 문양으로 전환시키는 등 기성오 브제를 활용하여 독특한 작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는 일상적 오브제가 패션디자이너에 의해 하나 의 예술적 소재로 위치 전환함으로써 또 다른 예 술품으로 변형되어 표현된 것이라 하겠다.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기성오브제들을 본래의 용도나 심미적 감각의 작용은 배제한 채 그대로 사용하여 패션 소재에 대한 종래의 개념을 부정하고, 소재 표현의 자유로움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일상용품 외에도 다양한 패션의 아이템 들 역시 하나의 오브제로 전환되어 나타났는데, 새 로운 의복의 형태를 구성하는 대신 이미 완성된 넥 타이나 스카프를 여러 겹 콜라주하여 원피스나 드 레스로 전환시키기도 하고, 또〈Fig. 12〉와 같이 드 레스 위에 기성 완제품의 갓난아이 옷을 그대로 콜 라주하여 유희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하 다. 이와 같이 현대패션에 있어 레디메이드는 다양 한 일상용품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그대로 옷 위 에 콜라주하거나 이미 완성된 패션의 여러 아이템 을 콜라주함으로써 자유로운 소재표현의 의지를 나 타냈다. 이는 다다이스트들이 일상용품을 낮선 장 소에 배치시켜 고유의 유용성을 박탈하고, 사물 고 유의 목적성을 탈피하여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 것 8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 136 - Jean Paul Gaultier, 2003S/S. From Jean. (2011). http://w w w.style.com Cheap & Chic, 2008F/W. From Cheap & Chic. (2011). http://www.style.com Martin Margiela, 2009S/S. From Martin. (2009). p. 139. Dupre Santarbarbara, 2005S/S. From Dupre. (2005). p. 68. 과 같이 의복 위에 콜라주된 일상용품들 역시 그 고유의 기능적 특성은 배제된 채 의복 위에서 부조 적인 특성의 장식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하나의 오브제로 재탄생하여 나타남으로써 독특한 재질감 을 나타냈다. 그러나 다양한 오브제의 혼합적인 사 용을 통해 극도의 물질감을 나타낸 다다이스트들 의 콜라주는 현대패션에 있어 하나의 의복 아이템 에 단일한 오브제를 사용하고, 또 다른 디테일 없 이 넓은 면적에 오브제를 배치함으로써 오브제의 고유형태를 부각시키고, 의복의 장식적인 디테일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전환하고 있다는데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또 사용된 제품은 예술적 인 맥락에서 위치 전환되어 본래 용도 대신 또 다 른 예술적 오브제로 승화됨과 동시에 의외성의 효 과로 극도의 물질적 이미지보다는 유희적인 이미 지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3) Assemblage William C. Seitz는 “앗상블라주란 칠하고 본뜨 고 새기기보다는 주로 끌어 모으는 것을 의미하며, 전체이건 부분이건 앗상블라주를 구성하는 요소들 은 미술의 소재로 여겨지지 않았던 가공되지 않은 자연 또는 인공의 소재, 사물 단편조각 등이다”라 고 하 다(A nderson, 1979/1991). 이러한 앗상블라 주는 그 자체로 독특한 기교로서, 회화나 조각뿐만 아니라 섬유예술을 포함한 현대패션에서도 기존의 모든 오브제들을 통해 삼차원의 집합적 유대관계 를 이루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자연물이든 인공물이든 우리 일상생활 주변에 흔히 접할 수 있는 사물들은 새로운 예술작품을 위 한 무한한 소재로 패션에 있어서도 독창적인 이미 지를 표현하도록 한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앗상블 라주의 경우 의복의 소재로 여겨지지 않았던 모든 오브제들의 입체적인 콜라주를 통해 장식적인 효 과와 함께 소재의 왜곡, 그리고 보다 풍부한 표현 성을 전달해준다.〈Fig. 13〉은 스커트 위에 어린아 이들의 인형을 앗상블라주하여 스커트의 연속적인 형태를 만들어낸 것으로 키덜트적인 이미지를 나 타낸다. 유아적인 소품인 인형은 본래의 용도가 아 닌 길게 확장된 길이로 형태의 왜곡을 통해 스커트 의 일부분으로 흡수되어 장식의 효과뿐만 아니라 의복으로 동일시되어 표현되었다. 반면,〈Fig. 14〉 와 같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캐릭터 인형 들은 집적이라는 앗상블라주의 기교를 나타내듯 서로 겹겹이 콜라주 되어 인형의 집합체와 같은 입 체적인 스커트의 형태를 나타내기도 하 고,〈Fig. 15〉는 실제 쥐와 흡사한 쥐 형상의 장난감 인형을 옷 위에 콜라주하여 기괴하고 혐오스러운 그로테 스크한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 또,〈Fig. 16〉과 같이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손 목시계, 시계의 원판, 리본, 끈 등 잡다한 소재들을 동시에 콜라주하여 키치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하 고, 모피와 레이스 등 혼성적인 소재의 원피스 위 에 플라스틱 원판, 구슬, 끈, 유리 등 각종 이질적 제 20 권 제 2 호 김 선 9 - 137 - Dupre S antarbarba ra, 2006F/W . From D upre. (2006). p. 139. D & G , 2003S/S. From D&G. (2011). http://www. style.com Gareth pugh, 2008S/S. From Gareth. (2011). http://www.style. com O n aura tout vu, 2004S/S. From O n aura. tout vu. (2004). p. 141. Fred Sathal, 2005S/S. From Fred. (2005). p. 50. O n aura tout vu, 2007S /S. From On aura tout vu. (2007a). p. 133. G areth pugh, 2007S /S. From G areth. (2011). http:// www.style.com 이고 잡다한 소재를 층층이 콜라주한〈Fig. 17〉은 입체적인 콜라주를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내 기도 하 다. 반면,〈Fig. 18〉은 현대 정보통신 문 화를 대표하는 모바일 폰을 의상 위뿐만 아니라 인 체 위까지 콜라주하여 현대물질문명의 이기와 단 면을 풍자적으로 나타냈으며,〈Fig. 19〉와 같이 일 상용품이 아닌 공업용품이나 버려진 고철, 플라스 틱, 비닐, 폐품 등을 이용해 콜라주함으로써 정크아 트의 이미지나 기계화된 현대사회의 한 단면을 그 로테스크하게 표현하기도 하 다. 이와 같이 현대패션에 수용된 앗상블라주는 대 량생산된 기성 오브제들이 그대로 도입되거나 부 속품 또는 절단되고 변형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 면서 집합과 집적이라는 앗상블라주의 독특한 기 교를 통해 표현되었다. 이는 팝아트에서 나타나는 앗상블라주와 유사하지만, 일상생활 속에 모든 기 성 오브제들을 자르고, 찢고, 압축시키고 용접하는 등의 오브제 집합이 아닌 단순히 소비적인 기성용 품의 집적을 통해 키치적인 장식성의 이미지를 나 타내거나 의복의 조형적 형태를 불확실적이고 변 형된 형태로 나타나게 하 다. 즉, 현대사회의 일상 속에서 접할 수 있는 기존의 모든 오브제를 의상이 라는 공간위에 콜라주하여 각 오브제가 가지고 있 는 일상성을 패션에 접합시키고, 입체적인 인체 공 간 위에서 보다 강조된 하나의 삼차원적인 집합적 구조물로 표현됨으로써 입체적 조형성을 부각시키 고 개성적인 패션이미지를 나타냈다. 2. Photo montage 다다이스트들이 사용한 포토몽타주 기법은 인쇄 매체와 매스미디어의 모든 이미지들을 통해 이를 배합하고 왜곡하여 기록적인 진실과 환상적인 세 계와의 결합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 으로 패션에 포토몽타주 기법을 활용할 경우 잡지, 사진, 카탈로그, 신문, 책의 삽화 등 주로 인쇄물의 이미지를 주로 활용하여 다다이스트들이 활용한 포토몽타주와 유사점을 나타내나, 의복이라는 특성 상 오려붙이거나 찢어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기보 다는 원단에 프린트하여 나타나게 된다. 〈Fig. 20〉은 네덜란드 아티스트 Tim Roeloffls의 작품이 프린트 된 원피스 위에 다양한 이미지를 합 성하고, 또 부조적인 콜라주를 통해 포토몽타주의 기법을 나타낸 것이고,〈Fig. 21〉은 다양한 잡지 표 지의 사진을 포토몽타주 기법을 사용하여 프린팅 하고, 또 잡지의 형태를 그대로 살려 다시 콜라주 하여 보다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Fig. 22〉는 원피스 위에 수많은 사람들의 사진을 눈을 가린 채 짜깁기 하듯 콜라주하고 ‘Made in People’ 이라는 글귀의 타이포그래피를 다시 재조합해 복 합적인 이미지를 나타낸 포토몽타주로 서로를 가 10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 138 - Versace, 2008F/W. From V ersace. (201 1). http:// w w w .style.com Seredin & Vasiliev, 2001S/S. From Seredin & V asiliev. (2001). p. 80. Castelbajac, 2004S/S . From Castelbajac. (2 011 ). h ttp:// w ww .style.com A rkadius, 2002S /S. From A rkadius. (2011). http://www.style.com A rkadius, 2002S/S. F rom A rkadius. (2011). http://www.style.com P hilip Tracy, 2003S/S. F rom Philip. (2011). http:// w w w.style.com 장하고 익명성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 반면, 재조합된 사진이나 드로잉 된 이미지는 우연에 의한 추상적인 이미지를 나타냄 과 동시에 구조적이고 원근법적인 대비로 인해 부 조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하나의 문양으로 의복 공 간 위에서 시선을 집중시키기도 한다. 또,〈Fig. 23〉은 사진을 형상화하여 프린트한 티 셔츠 위에 실을 콜라주하고, 각각의 실 끝에 알파 벳을 매달아 공간감을 부여하고 있으며,〈Fig. 24〉 는 평면적인 화폭 속에 얼굴부분만을 파낸 후 모델 의 얼굴을 화면 속 하나의 부분으로 입시키고, 그 주변은 의복의 실제 재료를 콜라주 시켜 현실적 이면서 복합적인 포토몽타주 기법으로 조형적인 효과를 강조한 것이다.〈Fig. 25〉는 유명모델 나오 미 캠벨의 얼굴사진에 캠벨스프 깡통을 콜라주하 고, 이를 실제 나오미 캠벨의 헤어장식으로 이용하 여 포토몽타주의 콜라주 형태를 이용하여 풍자적 이면서 유머러스한 이미지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포토몽타주 기법은 현대패션에 있어 신문이나 잡지 등 인쇄매체에서 오려낸 사진이미 지들의 합성과 인쇄된 문자와의 자유로운 조합으 로 복합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또는 드로잉 된 이미지 위에 이질적인 소재를 다시 콜라주하여 부 조적인 조형미와 함께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내 다 다이스트들의 포토몽타주와 유사하면서도 상이한 면을 나타냈다. 오려낸 사진의 이미지로 만들어지 고 겹쳐진 이미지를 통해 포토몽타주의 표현을 나 타낸 다다이즘과는 달리 프린트를 통해 의복에 있 어 하나의 문양과 같이 표현되었으며, 기타 이질적 인 소재의 조합을 통해 입체적인 효과를 강조하기 도 하고, 의복을 착용한 모델을 직접 작품에 개입 시켜 포토몽타주의 개념을 확산 시키는 등 구조적 인 측면에서의 대조, 질감의 대비 등 우연의 원리 에 따라 모순되고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함께 조합 시킴으로써 인체 위 의복 공간에서 독특한 조형미 를 형성하 다. 3. Décalcomanie 초현실주의의 콜라주기법인 데칼코마니는 아무 도 예측할 수 없는 우연의 결과로 추상적이면서도 환상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게 한다. 이 연상적인 우 연의 효과는 다른 이미지로 바뀔 때 환각을 가로지 르는 방법으로 식물은 동물로 건축의 형상은 동상 으로 바뀌어서 그것이 어떤 때는 식물 또는 사람의 부분이나 전체의 모양을 이루면서 화면의 구체적 인 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Son & Kim , 2005). 이러한 기법은 현대패션에 있어 대부분 프린트를 통해 하나의 문양으로 표현되는데, 의도되지 않은 우연의 효과는 다양한 연상 작용을 유도하게 하여 초현실주의 데칼코마니 기법과 유사한 조형미를 제 20 권 제 2 호 김 선 11 - 139 - 연출하게 한다. 〈Fig. 26〉은 미래의 붕괴된 생태계를 경고하는 메시지를 담은 A lexander Mcqueen의 작품으로 데 칼코마니 기법의 디지털프린트를 통해 표현한 것 이다. 바다 생태계와 파충류의 표면과도 같은 이미 지를 연상시키는 몽환적인 프린트는 화려한 비즈 의 콜라주와 함께 미래적인 하이테크의 이미지까 지도 갖게 하 다.〈Fig. 27〉은 블랙과 화이트의 모 노톤으로 마치 인체 내부의 골격을 연상시키는 추 상적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Fig. 28〉은 데칼 코마니 기법을 통해 마름모꼴의 기하학적인 형상 을 나타내고, 여기에 다시 둥근 비즈를 콜라주하여 그 형상의 내부를 채움으로써 마치 데칼코마니기 법의 프린트인 것처럼 착시를 갖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데칼코마니기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의 경우, 초현실주의의 콜라주기법에서와 같이 경 이롭고 환상적인 이미지로 보는 자에게 강한 연상 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며, 좌우대칭의 완벽한 구도 로 안정적인 이미지를 주지만, 의도하지 않은 우연 의 효과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와 독특한 질감의 효 과, 그리고 이질적인 소재의 콜라주를 더해 보다 추상적인 형태감을 나타냈다. 현대미술에 있어 화면의 재인식을 위한 하나의 기법으로 일차원적인 평면에서 이차원 혹은 삼차 Alexander M cqeen, 2010S/S. From Alexander. (2011). http:// ww w .style.com Narciso Rodrigez, 2010S/S. From N arciso. (2011). http://www.style. com M arni, 2009S/S. From M arni. (2011). http:// w ww .style.com 원적인 조형미를 나타낸 콜라주기법은 현대패션에 수용됨에 있어 기존 의복에 사용되던 소재 이상의 이질적인 소재의 사용, 다양한 소재와 프린트에 의 한 문양으로의 활용, 각종 오브제의 부착에 따른 형태미의 변화 등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각 요소에 변화를 가져와 패션이라는 공간구성에 다양한 변 화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고찰한 현대미술사조에 따른 콜라주기법과 현대패션에 수용 콜라주기법에 관해 정리하면〈Table 1〉과 같다. Ⅳ. Conclusion 회화에 있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 성하는 기법인 콜라주는 다양한 활용에 의해 그 역이 확장되고, 다른 예술 역뿐만 아니라 현대패 션에서도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 새로운 조형미 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 의 표현기법을 분석한 것으로, 이를 위해 20세기 현 대미술의 여러 양식에 걸쳐 표현된 콜라주 기법을 고찰하고, 여기에서 도출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근거하여 현대패션에 나타난 콜라주의 표현기법을 파피에 콜레, 레디메이드, 앗상블라주와 같은 이질 적인 소재의 사용이라는 재료적인 측면과 포토몽 타주와 데칼코마니와 같은 표현기법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하 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질적 소재의 사용이라는 재료적인 측면에 있 어 첫째, 입체주의의 대표적인 콜라주 기법인 파피 에 콜레는 재료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공간적 깊이 나 색채의 특징, 물체의 질감을 강조해 줌으로써 화 면에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현대패션에 있어서도 실제 종이를 이용 하거나 각종 인쇄물을 옷 위에 콜라주함으로써 종 이 자체의 질감을 부각시켜 독창적인 표면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다다이즘의 콜라주 기법은 극도의 물질성을 이루는 형태로 입체주의와 구분되는 데, 대 표적인 콜라주 기법인 레디메이드는 전통적인 회화 의 도구를 버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비개성적인 기성제품들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산 업적 오브제를 예술적 오브제로 승화시켰다. 이러 한 레디메이드의 기법은 현대패션에 있어서 단추, 머리빗, 볼펜 뚜껑, 선글라스의 렌즈 등 다양한 일 12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 140 - Collage techniques found in arts trend & accepted in modern fashion Collage techniques found in arts trend Cubism Papier collé -Attachment of printed materials such as newspaper, musical score and ticket onto part of a picture. -Stress on spatial depth, features in color and feel of material; addition of a new spatial sense on canvas. Dadaism Ready made -Gluing the daily necessaries on canvas. -High lighting the material property extremely and sublimating the industrial objet into artful one. Photo montage -Utilization of print media image including poster, flier and political brochure. -Dissemination of collage concept in terms of traditional sense. Surrealism Décalcomanie -Expression of fantastic material feel obtained accidentally from a technique by which applying ink or dyestuff on a sheet of paper and then folding it or pressing onto another surface of paper. Pop art Assemblage -Putting together the objets found in daily routine life or the ready-made products onto one single canvas or making the three-dimensional compositions via cubic setup process. ↓ Collage techniques accepted in modern fashion Papier collé Use of foreign materials -Application of post-it, paper money, various kinds of paper or printed materials onto clothes. -Creating the spatial sense through composing a clothing-like shape with paper; making some clothing pattern by putting a variety of papers on clothes with emphasis on special feels. Ready made Use of foreign materials -Adding and attaching the diverse daily necessaries and clothes to clothing as decorative element. -Giving the unexpected effects and humoristic images through sublimation into decorative objets instead of originally intended usage. Photo montage Integration of print technique -Realization of patterns by printing out different photo & print media images. -Combined application of drawings and foreign materials; integration of figuratively unique beauty and extended montage concept by making the wearers involved in art works directly. Décalcomanie Integration of print technique & use of foreign materials -Expression of abstract and geometrical pattern by integrating the print technique. -Realizing the stabilized image with a right-left symmetrical format & stress on accidentally unique surface feel; providing the abstract sense of shape via integrating the collage combined with foreign materials. Assemblage Use of foreign materials -3-dimensional collages by integrating all the objets not considered as clothing material. -Sort of kitsch and grotesque decoration effect, distortive denotation from material, and 3-dimensional figurativeness. 상용품이나 이미 완성된 넥타이, 스카프 등 패션의 아이템들을 콜라주하여 소재의 왜곡과 표현의 자 유를 나타냈으며, 또 사용된 제품은 예술적인 맥락 에서 위치 전환되어 본래 용도 대신 또 다른 예술 적 오브제로 승화되었다. 셋째, 팝아트의 대표적인 콜라주인 앗상블라주는 주변의 잡동사니나 일상적 오브제들을 한 화면에 집성시키거나 입체적으로 조립하는 것으로 오브제 창작이 아닌 오브제 집합 제 20 권 제 2 호 김 선 13 - 141 - 의 의미에 가까운 주로 삼차원적 형태의 콜라주라 할 수 있다. 집합과 집적이라는 앗상블라주의 독특 한 기교는 현대패션에 있어 모든 오브제들을 그대 로 도입하거나 또는 변형된 형태로 의상 위에 콜라 주하여 각 오브제가 가지고 있는 일상성을 패션에 접합시키고, 하나의 삼차원적인 집합적 구조물로 표현하여 충격적인 의외의 효과나 유머러스함을 나 타내는 등 패션의 이미지를 보다 풍부하게 하 다. 또 표현기법적인 측면에 있어 다다이즘의 콜라 주기법 중 하나인 포토몽타주는 신문, 잡지 등 인 쇄매체에서 오려낸 사진의 이미지와 인쇄된 문자 를 사용한 것으로 새로운 이상적인 이미지와 통일 성을 위해 콜라주의 개념을 보다 확산시킨 것이다. 이러한 기법은 현대패션에 있어 다양한 이미지의 사진을 형상화하여 프린트하여 구조적이고 원근법 적인 대비로 인해 부조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하나 의 문양으로 독특한 이미지를 나타냈고, 또 그 위 에 다시 이질적인 소재를 콜라주하여 부조적인 조 형미와 새로운 공간감을 나타냈다. 초현실주의 콜라주는 현실, 전위, 프로타주, 데 칼코마니의 효과와 자동화에서 발생되는 탈일상성 의 방법으로 전개되며 표현되는데, 특히 데칼코마 니는 우연의 효과와 그것이 다른 이미지로 바뀔 때 환각을 가로지르는 방법으로 매혹적인 형태와 질 감을 표현하 다. 이러한 기법을 활용한 패션디자 인의 경우 프린트를 통해 주로 표현되며 좌우대칭 의 완벽한 구도로 안정적인 이미지와 함께 의도하 지 않은 우연의 효과에 따른 추상적 이미지와 독특 한 질감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또 이질적인 소재의 콜라주를 더해 보다 입체적인 추상공간을 형성하 다. 이와 같이 화면의 재인식을 위한 기법으로 탄생 된 콜라주는 다양한 기법을 통해 그 역이 확장되 고, 패션에까지 적용되어 미술사조에서 나타난 다 양한 조형적 특성을 그대로 반 하기도 하고, 또 상이한 측면을 나타내면서 상호복합적인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움직이는 인체라는 3차원적 공간을 바탕으로 표현되는 현대패션에서의 콜라주 기법들 은 패션에서 연상되는 고정관념의 틀을 새롭게 하 며, 미술양식에 나타난 기법이나 재료적인 측면에 서도 보다 광범위한 혁신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질적인 각 요소들 간의 부조화를 독창적인 조화로 전환시키고, 다원적인 의미와 탈 구조적인 조형미를 표현함으로써 고정관념을 뛰어 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 다. 패션소재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모든 오브제 는 디자이너의 창조성을 자극하여 새로운 패션의 흐름을 유도하기도 하고, 다양한 예술양식의 기법 활용은 패션에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게 한다. 따 라서 콜라주 기법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과 다양한 장르에 대한 열린 시각으로 패션디자인을 전개하 여 보다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References Alexander, M.(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 ww .style.com / fashionshows/complete/S2010RTW-AMCQUEEN A lfred, H . B.(1993). C ubism & abstract art. New York: The M useum of Modern A rt. A n, Y . H .(1999). Dictionary of m odern art. Seoul: Mijinsa. A nderson, H . H .(1991). H istory of m odern art 1 (Y . C. Lee et al, Trans.). Seoul: International Art Design. (O riginal w ork published 1979) A rkadius.(2011, February 20). Style.com .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 ww .style.com / fashionshows/com plete/S2002RTW -ARK AD IU S Castelbajac.(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 ww .style.com / fash ionshows/com plete/S2004RTW -CA STELBA JA C Cheap&Chic.(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 ww .style.com / fashionshows/com plete/F2008RTW -CCH IC Choi, J. S.(1991).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 lopm ent of collage. U 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 niversity, Seoul. Choi, S. G .(1997). Western art history 100 scenes. Seoul: G aram . Collage.(2011, February 20). Daum. Retrieved February 14 현대패션에 수용된 콜라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 142 - 20, 2011, from http://enc.daum.net/dic100/contents. do?query1=b21k3614a D&G.(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ww.style.com/fashionshows/ com plete/S2003RTW -D G D upre, S.(2005, A pril 1). Fashion new s. 101, p. 68. D upre, S.(2006, Septem ber 15). G ap. 16, p. 139. Ernst.(2009, A ugust 28). Ernst.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cafe.daum .net/lovingmusic/ 4EFo/10?docid=1D 7ZS|4EFo|10|20090828105255 Fred, S.(2005, April 1). Fashion new s. 101, p. 50. G areth, P.(2011, February 20). Style.com .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w w .style.com/ fashionshow s/com plete/S2007RTW -PU GH G areth, P.(2011, February 20). Style.com .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w w .style.com/ fashionshow s/com plete/S2008RTW -PU GH Jang, A. R.(2005). Nail art design applied Jean Dubuffet's assem blage. Journal of the K orean Society of Costumes, 55(4), 29-37. Jean, P. G .(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w w .style.com/ fashionshow s/com plete/S2003RTW -JPGA U LTI John, G .(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w w .style.com/ fashionshow s/com plete/F2000RTW -JN GA LLN O Jung, H. S.(1998). A study on custom design of applying geom etric m otive. U 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 om en's U niversity, Seoul. Jung, J. M.(1985).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collage. U npublished master's thesis, H ongik University, Seoul. Jung, N. Y.(1990).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collage in modern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 im, Y . K .(2001). Study on knitting design using collage technique based on hand. U npublished master's thesis, Kukm in U niversity, Seoul. Kim, Y. N.(1996). The origins of western contemporary art. Seoul: Sigongsa. Lee, I.(1992). G enealogy of w estern art. Seoul: AP International. Lee, M. S.(2003). A study on collage as a m eans of generating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The Re - 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 ulture, 11(5), 65-78. Marni.(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ww.style.com/fashionshows/ com plete/S2009RTW -MA RNI M artin, M .(2008, Septem ber 21). G ap. 20, p. 140. M artin, M .(2009, March 24). G ap. 21, p. 139. M onthly art.(1995). W orld dictionary of art. Seoul: Joongangilbo. N arciso, R.(2011, February 20). Style.com .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 ww .style.com / fashionshows/com plete/S2010RTW -NRO DRIG U O h, G . S.(1979). The art of transition. Seoul: Yeolh - wadang. Oh, J. E., & Park, S. H .(2005). A study on the form 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collage applied in m odern m ake-up. Journal of the K orean Society of C ostum es, 55(6), 136-150. O n aura tout vu.(2004, M arch 12). Gap. 11, p. 141. O n aura tout vu.(2007a, March 1). Gap. 17, p. 133. O n aura tout vu.(2007b, M arch 1). Gap. 17, p. 134. Philip, T.(2011, February 20). Style.com.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 ww .style.com / fashionshows/com plete/S2003CTR-PTREACY Raul, H.(2011, August 12). Raul H ausman. Retrieved August 20, 2011, from http://blog.daum.net/galleria soonsoo/929 Russell, S.(2011, February 20). Style.com .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 ww .style.com / fashionshows/com plete/F2001RTW -RSA GE Seredin & Vasiliev.(2001, March 10). Gap. 34, p. 80. Shim, R. S.(2009). A study on fine art expression using fabric collage technique. Unpublished m aster's thesis, Chosun U niversity, Gw angju. Son, M. K ., & Kim , H. Y.(2005). A study on the ex- pression style of collage seen in m odern fashion and hair decoration. Life Sciences, 8, 105-133. Sung, W. K., & Kim, A. R.(1994). Concepts of modern 제 20 권 제 2 호 김 선 15 - 143 - art. Seoul: Moonye. V ersace.(2011, February 20). Style.com . Retrieved February 20, 2011, from http://ww w .style.com/ fashionshow s/com plete/F2008RTW -V ERSA CE Y u, W. S.(1991). Study of expression m aterials and techniques in the m odern em broidery by the collage and the qui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 ha W omans U niversity,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