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407 http://dx.doi.org/10.14400/JDC.2016.14.10.407 화 ‘엑스맨(X-Men)’의 변신모티 에 나타난 타피직스 분석 *, 진헌** 동 학 상 학원 티미 어학과 사과 * , 동 학 상 학원 티미 어학과 수 ** Analysis on Pataphysics of the Metamorphosis in Film ‘X-Men’ Seyoung Chang*, Jeanhun Chung** Dept. of Multimedia, Graduate School of Digital Image &Contents, Dongguk University, Doctor's Course* Dept. of Multimedia, Graduate School of Digital Image &Contents, Dongguk University, Professor** 약 ‘X-men’ 변신(metamorphosis) 주 티브 등 과 경 시각 과 만들어 내 내러티브 끌어간다. 본 연 목 변신 티브가 슈 히어 특징 하나 ‘ 타피직스(pataphysics)’ 가상 , 재 새 운 가상 변신 티브 미학 특 수 시하고 한다. 타피직스는 20 럽에 시 어 통에 탈피한 리 사 에 한 등 타포 상징에 한 고 특 가진 가상 다다 과 실주 , 아트, 포스트 니 어지는 술운동에 큰 향 주었다. 러한 술 에 나타난 타피직스 특 하고 에 나타난 변신 에 용하 다. 그 결과, 에 나타난 변신 미학 특 슈 히어 과 내 힘 양태 시각 하 , 또한 술 가상 과 어 가상과 실 첩 루어진 타피직스 , , 탈 재 함 고찰하 다. 주 어 : 슈 히어 , 변신, 가상 , 타피직스, X-men Abstract The movie, X-men, develops the narrative with metamorphosis as the main motif making visual effects of characters and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metamorphosis motif can be materialized based on the virtuality of "pataphysics" as one of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uperhero movies and the newly materialized virtuality can b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etamorphosis motif movies. With the virtuality tha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with metaphorical symbols such as satire on an absurd society out of existing traditions, pataphysics started in mid-twentieth century and has had an impact on art movements of dadaism, surrealism, pop art, and postmodernis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ataphysics which were shown in these artworks, we applied it to metamorphosis scenes of the movie.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it visualized the shape and aspect of inner and outer strength of a superhero with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etamorphosis scenes and it realized the presence, hybridity, and ex-formal properties of pataphysics consisting of overlapped virtual and physical reality, with technical virtuality. Key Words : Superhero, Metamorphosis, Virtuality, Pataphysics, X-men Received 16 August 2016, Revised 19 September 2016 Accepted 20 October 2016, Published 28 October 2016 Corresponding Author: Jeanhun Chung (Dept. of Graduate School of Digital Image and .Professor) Email: evengates@gmail.com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ISSN: 1738-1916 ‘엑스맨(X-Men)' 변신 티브에 나타난 타피직스 408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Oct; 14(10): 407-414 1. 1.1 연 경과 목 슈퍼히어로 화는 만화를 원작으로 만들어진 21세기 블록버스터의 장르 치를 확고히 하며 다양한 매체로 융합되어 문화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슈퍼히어로 화는 변신을 모티 로 이루어지는 인의 웅캐릭터를 등장시켜 재 되며, 외형과 내재 인 변신의 슈퍼히어로 의 시각 변형을 보이며, 변신모티 는 슈퍼히어로 화에서 작품으로 몰입시킬 수 있는 화 고유의 기술 가상성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변신의 가상성은 과거 주술 상상력에서 탄생한 가상성에서 과학 기술에 의 한 디지털 가상으로 발 되었다. 한 최근 디지털 기술 의 융합과 발 으로 인해 가상과 실의 경계를 넘나들 며 타포(pataphor) 상상력을 실 하는 증강 실의 새로운 가상의 개념으로 변모하고 있다. 2016년 7월 게임 ‘포켓몬 Go'[1]의 세계 인 열풍은 이를 반 하고 있다. 알 드 자리(Alfred Jarry)의 타피직스(pataphysics) 는 이와 같은 사회 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상과 실 의 첩된 세계를 의미하는 새로운 가상성의 개념으로 빌렘 루서(Vilém Flusser)의 테크놀로지를 통해 물질 로 실 되는 기술 상상력에 근 하여 잠재된 가상의 상상력이 실화되고 있는 술과 문화 장르에 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슈퍼히어로 화의 변신모티 와 타 피직스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변신 모티 의 기술 가상성을 기반으로 시각 재 이 이루어지는 슈퍼히어 로 화의 변신 장면을 분석하여 타피직스의 표 특 성이 구 되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럼 으로써 슈퍼히어로 화의 변신모티 의 미학 가치를 새로운 가상성의 개념인 타피직스로 고찰하고자 한다. 1.2 연 본 연구의 범 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목 , 범 와 방법을 살펴보 고, 2장에서는 슈퍼히어로 화와 변신모티 의 계, 타피직스의 정의와 술운동에 끼친 향을 통한 타피 직스의 표 특성에 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화 ‘엑스맨’의 변신장면에 나타난 타피직스의 특성을 분석하여 슈퍼히어로 화의 변신모티 가 가지는 디지 털 미학의 가치로서 타피직스를 고찰하고자 한다. 4장 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과 향후 연구 방향에 해 정리, 설명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변신에 한 선행논문과 문헌을 통해 슈퍼히어로의 변신 모티 를 정의내리고, 타피직스에 련된 국내외 문헌을 통해 나타난 이론과 술작품을 통해 표 특성을 도출하 으며, 화의 변신모티 와 타피직스의 연 성을 용하기 해 표 인 슈퍼히 어로의 변신 모티 가 한 화 엑스맨(X-men) 시리 즈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외형과 내 인 힘의 변신 장면 을 분석하여 타피직스의 특성을 고찰하 다. 2. 슈 히어 변신 티브 타피직스 2.1 슈 히어 변신 티브 슈퍼히어로(superhero) 장르 화는 'super'에서 알 수 있듯이 인 인 힘을 가진 웅 캐릭터를 심으로 20세기 문화의 한 상으로 코믹스에서 시작되어 미국의 상업성과 사회 이데올로기가 통합된 신화 아 이콘으로 화화되어 만들어졌다. 월 이며 경이로운 변신을 통해 윤리가치를 지키는 슈퍼히어로는 조셉 캠벨 (Joseph Campbell)이 말하는 ‘출발, 입문, 귀환’의 여정을 거치면서 인간의 보편 모습에서 자연 인 세계로의 자기 극복의 순례자로서 도덕성을 가지고 사회의 이상 가치를 실 한다. 변신(Metamorphosis)이란 '바꾸다, 넘어서’의 뜻을 가 진 Meta와 ‘형태, 형성과정’의 Morphose의 합성용어인 라틴어의 Metamorphose에서 유래된 말로 ’변성(變成), 변 (變轉), 변모(變貌), 변신(變身) 등의 의미로 풀이된 다[2]. 슈퍼히어로 화에서 변신은 내러티 를 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요한 모티 로서 신화, 민담설화, 설 등에서 시작된 비 실 인 가상의 세계를 표 하는 주술 상상력이 시각성을 요구하는 회화나 사진, 화에 나 타나는 기술 상상력으로 인해 가상이 실화가 되어 구 되고 있다. 먼 변신을 정의 내리는데 있어서, 선행 연구의 논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인간과 비인간 의 계에서 이루어지는 외형 변모’[3], ‘자의나 타의에 의해서 어떤 원형이 다른 형태로 바 는 것’[4], ‘생시든 Analysis on Pataphysics of the Metamorphosis in Film ‘X-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409 죽어서든 다른 형태로 변화하는 것[5]’, ‘인간, 동물, 이계 인, 정령들의 탈신, 둔갑과 같은 변형담[6]’, ‘인간의 합리 인 사고로는 이해할 수 없는 신비한 힘에 의하여 한 존 재가 다른 존재로 물리 인 변화를 일으키는 상[7]’, ‘한 존재 는 한 종속(species)이 다른 형태로 변화되는 일종의 역 (逆轉的) 상징체계[8]’ 등이다. 슈퍼히어로 화에서 변신모티 가 시각 으로 재 될 때 고려되는 부분은 ‘변신 형태’로 변신 주체가 외형 인 변화를 가졌 는지, 내 인 변화를 가졌는지에 따른 ‘형(形)과 질 (質)[9]’의 표 에 해당될 수 있다. 이는 몸을 통해 변형되 는 주체의 ‘보이는 것’의 외 인 ‘형(形)’의 변화와 내 심상의 변화인 ‘보이지 않는’ 내 의지나 욕망, 그리고 능력과 같은 내 인 ‘질(質)’의 과정과 함께 이루어진다. type Appearance Inner aspects contents change in the body one's will, desire, superpower body, mask, costume, gadget cgi visual effects, camera-working for the character's psychology Type of the metamorphosis-shape 2.2 변신 가상 과 타피직스 2.2.1 변신(變身) 가상 (假象性) 변신은 변신과정을 경험하는 주체가 가진 내재 의 지와 외부 힘에 의해 연속과 반복의 실과 실제하지 않는 가상을 오고가는 상상의 시뮬 이션을 거치는 A+B 의 혼종된 '변신되기’이다. 변신은 역사 으로 주술 미 신에서 비롯된 가상의 욕망으로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現前) 만드는 것이 상징 메타포의 가상화의 과 정인 ‘-되기’이다. ‘-되기’(devenir)는 들뢰즈와 가타리 (Guattari, Félix)가 말하는 ‘내가 스스로 다른 것으로 되 어가는 과정’을 뜻한다[10]. 이 ‘-되기’(becoming)의 변신 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화매체는 CGI라는 기술 가 상의 힘으로 포장된 합성의 시뮬 이션 과정을 통해 가 상의 변이된 형태로 재 된다. 화에 나타나는 슈퍼히 어로의 변신은 우연한 사고로 얻은 물질성으로 능력을 얻기도 하며, 보이지 않는 물질과 결합된 몸은 변화의 시 뮬 이션 과정을 보이며, 몰핑(morphing)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로 합성되어 재 된다. 그리고, 이 가상 이미지의 재 과정은 사진의 단순한 기계 복제가 아닌 변신하 고자 하는 상체와의 유사성에 근거한 ‘변형된 복제’의 메타포로 나타난다. 한, CGI의 기술 가상성에 의해 실과 가상의 경계가 흐려지고, 재 되는 형태의 양상 은 다양해지면서 정형화된 질서에서 벗어난 이질감을 느 끼게 하는 변신의 형태들을 객들은 극 으로 수용하 게 되고 즐기게 된다. 기존의 극사실 리얼리티로 재 하고자 하는 상과의 동일성을 논하는 것은 진부해지고, 극사실 이미지가 아닌 실과 허구의 상상물로 시뮬라 시옹의 가상성이 된 것이다. 2.2.2 타피직스(pataphysics) 경과 특 랑스 극작가, 알 드 자리(Alfred Jarry 1873∼1907) 의 타피직스(pataphysics)[11]는 형이상학의 메타피직 스(metaphysics)로 설명할 수 없는 비논리 이며 부조리 함을 표 하는 일종의 풍자와 패러디로 근 과학의 이 성 사유에 한 항으로 나타난 20세기 엘리트의 철학 사유로 시작되었다. 타피직스는 과학과 기술을 유한 상상력으로 빌렘 루서(Vilem Flusse)의 기술 형상에 의한 상상력에 가깝지만 진지한 태도로 가상의 힘을 유희 으로 표 하며, 반 고흐(Van Gogh), 종합주 의(Synthetism), 세잔의 로방스(Cezanne Provence), 신인상주의(Neo-impressionism)로부터 향을 받았으 며 후에는 실주의(Surrelism), 다다이즘(Dadaism), 미래 (Futurism), 순수주의(Purisam), 기계미학(Machine Esthetic), 큐비즘(Cubism)에 향을 주었다. 그리고, 1960년 에 타피직스는 팝아트의 다양한 순수조형요 소의 개념의 원리로 사용되곤 했다. 표 으로 장 보드 리야르(Jean Baudrillard)를 시한 철학, 존 이지(John Cage)의 음악,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시각 술,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건축 등에서 향을 끼침을 살펴볼 수 있다[12]. 타포(Pataphor)는 타피 직스에 기 하여 확장된 은유를 뜻하는 메타포(metaphor) 를 신하는 표 방법이다[13]. 메타포는 가상과 실이 분리되지만, 타포는 분리되지 않고 첩된다. 타피직 스는 형이상학을 뜻하는 메타피직스를 패러디했지만 우 리의 일상뿐 아니라 술에서도 실재와 은유가 첩되어 있음을 뜻한다. 이는 디지털 기술이 발달한 세계에 용될 수 있는데, 가상 실(virtual reality)과 증강 실 (augmented reality)이 첩된 세상으로 상상과 이성, 허 구와 사실, 환상과 실재 사이의 단 을 이어주는 타피 직스 세계라는 것이다[14]. ‘엑스맨(X-Men)' 변신 티브에 나타난 타피직스 410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Oct; 14(10): 407-414 이제 타피직스의 주제와 표 특성을 구체 으로 살 펴보기 해 반미학 , 반 술 운동의 술양식으로 나타난 문학, 미술 작품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 , 타 피직스를 이끈 알 드 자리의 부조리의 실주의 희곡을 표하는 상징과 풍자로 표 된 19세기말 ‘ 비 왕(Ubi Ro,1896)'에서 타피직스의 주제를 찾아볼 수 있다. 극에 등장하는 ’ 비‘는 비 웅 인 외형과 성격 결함을 지닌 캐릭터로 그로테스크하게 표 되며, 과 거 모방의 재 , 이상 인 웅, 감정의 정화, 논리 인 과와 시간의 흐름을 특징으로 하는 아리스토텔 스의 통 비극에서 벗어나 희비(喜悲)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 부조리를 설명하는 왕이자 로서의 상충된 존재 감을 모방이 아닌 재성을 시하는 (presentation) 으로 객 앞에서 바로 시뮬 이션 된다. 한 통 시 학에서 보이는 ’3일치‘[15]의 논리 시공간 개념을 괴 하며 공간과 롯을 넘나드는 극의 흐름을 보여 다. 그 리고 공연 에 일상에서 하는 무작 인 욕을 권력 에 항하는 패러디로 직 으로 객에서 내뱉는 작품 의 성과 풍자, 패러디의 극에서 보이는 표 주제와 다다(Dada) 시문학 운동을 주도한 트리스탄 차라 (Tristan Tzara)의 ’무작 시‘의 표 방법은 통 인 개념에서 탈피한 일상의 소재와 혼종(昏鐘)된 표 인 콜 라주, 포토몽타주, 디메이드와 같은 시각 표 양식을 통한 창조물로 정신을 표 하고자 했던 다다이즘과 실주의, 그리고 1960년 팝아트와 같은 문화 운동에 향을 주었음을 여러 작가의 작품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Fig. 1] Left: Alfred Jarry, character of 'Ubu Roi(1896)', Center : Ernst Max,'Ubu Imperator(1923)', Right: Erenst Max, Illustration 'A week of kindness(1934)’ 특히 다다이즘의 표 작가인 막스 에른스트(Max Ernst)는 자리의 희곡 ’ 비 왕‘을 보고 타피직스에서 보여주는 실의 부조리에 한 술 감을 그의 작 품에 그 로 반 한다. 그 로 그의 주된 주제로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페르소나인 인간과 새가 혼종된 ’로 롭 (Loplop)‘을 통해 부조리와 냉소의 사회 풍자 인 실과 환상의 흐려진 경계를 콜라주, 로타주 기법으로 표 하여 기묘한 가상의 세계를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마르 셀 뒤샹(Marcel Duchamp)은 실주의 인 작품 ’1마 일의 끈(Mile of String,1942)‘을 유클리드의 기하학 선 에서 벗어나 비뚤어진 타피지컬한 실과 끈을 사용한 설치 공간을 통해 상상과 비 실 으로 통 인 기하학 원근법 투시가 이루어지는 물리 근을 차단하고, 시각 통만을 가능하게 하여 고정되어진 틀에서 벗어 나 실의 공간을 표 한다. 한 공공집단의 공간을 개 인 으로 실과 끈으로 차단, 해석함으로서 집단의 정체 성에 한 비 으로 보여 지기도 한다. 작품 ’3표 정지 기(3 Stoppages Ḗtalon, 1913-14)‘는 과학 이며 객 측정이 이루어진 세 개의 실을 력에 맞추어 떨어뜨린 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우연한 실의 상태를 보여주며 ’비가시 인 수선(invisible mend)의 표 정지기 (stopper)‘를 의미하는 모호한 용어, '3Stoppages Ḗtalon' 로 타피직스의 실험을 시도한다[16]. 이는 기존의 고정 된 보편성과 불변성의 정통 과학에서 벗어나 변화된 시 각으로 재해석하는 탈정형화된 개념의 타피직스에 한 그의 심을 보여 다 할 수 있다. 한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역시 데페이즈망 (dépaysement) 기법을 통해 공 에 띄워놓은 큰 바 , 낮 이 밤으로 변해 있는 등의 이미지에서 보여주듯이 물체 나 상을 그것이 놓여 있던 본래의 일상 인 질서나 배 경, 분 기에서 떼어내 그 사물의 속성과는 연 성 이 없는 엉뚱한 장소에 놓아 작품을 표 한다. 이는 보는 이로 하여 탈정형화된 이질 인 상황으로 인한 오 제 의 고립, 수정, 혼합된 이 이미지, 우연한 만남, 역설에 의한 이미지의 결합으로 비 실 인 가상의 공간을 실 과 혼합하여 보여주는 타피직스에 향 받았음을 보여 다. [Fig. 2] Marcel Duchamp, Left: Sixteen Miles of String, 1942 (part of his installation for the First Papers of Surrealism exhibition, NY), Center: 3 Stoppages Ḗtalon; 3 Standard Stoppages(1913-14), Right: René Magritte, The castle in the pyrenees(1959) Analysis on Pataphysics of the Metamorphosis in Film ‘X-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411 이와 같은 타피직스에 직 으로 향을 받은 술 작품을 통해 첫째, 알 드 자리의 희곡에 나타난 캐 릭터와 작품의 자유로운 형식과 주제를 통한 통 모 방의 재 이 아닌 경계 존재의 앞에서 직 으로 시뮬 이션되는 ‘ 성(現前性, Presence)’, 둘째, 이에 향을 받은 다다이즘과 실주의 술운동에 나타난 표 작가의 작품, 막스 에른스트의 비 습 재료 와 이미지의 ‘혼종성(昏鐘性, Hybridity)’, 셋째, 마르셀 뒤샹, 르네 마그리트와 같은 작가의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었던 이성과 과학의 형식화된 형태와 고정된 공간에서 벗어난 오 제와 공간으로 표 된 상황의 ‘탈정형성(脫 定形性, Ex-Formal)’은 비논리 인 상황과 실과 가상 을 첩시키는 타포 은유를 가지며 타피직스의 특 성이 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3. '엑스맨(X-Men)' 변신 티브에 재 타피직스 화 ‘엑스맨’은 1963년 마블 코믹스로 시작하여 그 역 사가 오래되었으며 1990년 미국에서 TV 시리즈 애니 메이션으로 방 , ‘엑스맨(X-men, Bryan Singer,2000)' 을 시작으로 ’엑스맨 2(X-men 2, Brayn Singer, 2003), ‘엑스맨: 최후의 쟁(X-men:the last stand, Bret Ratner, 2006), ’엑스맨 탄생: 울버린(X-men origins:wolverine, Gavin Hood, 2009),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X-men:first class, Mattew Vaughn, 2011), 더울버린(The wolverine, James Mangold, 2013), 엑스맨 데이즈 오 퓨처 패스트 (X-men Days of future past, Bryan Singer, 2014), 엑스 맨: 아포칼립스(X-men :Apocalypse, Bryan Singer, 2016)의 시리즈로 화화되었다. 그리고, 게임과 같은 디 지털 콘텐츠로도 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등장인물 의 변신모티 를 만들어내는 CGI의 가상성을 시각 효 과로 화의 내러티 를 이끄는 표 인 작품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인지도가 높고, 변신모티 가 작품에서 요한 역할을 하는 화 엑스맨 시리즈에 여 러 편에 등장하는 주요 슈퍼히어로인 Xavier(a), Magneto(b), Storm(c), Blink(d), Marvel Girl(e), Iceman(f), Shadowcat(g), Nightcrawler(h), Quicksilver(i), Colossus(j), Mystique(k), Beast(l), Wolverine(m), Angel(n)의 외형 변화나 내 인 능력의 힘이 재 된 공간 변화 등의 변신 장면을 통해 변신의 가상성과 타피직스의 특성이 연 되어 재 되 고 있음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Fig. 3] Characters in 'X-Men' Film 3.1 (現前性, Presence) 화 ‘엑스맨’에 재 된 변신은 슈퍼히어로 캐릭터의 외형의 변화에서 연속 이며 직선 인 시간을 ‘지 ’이라 는 시간 안에서 변신하기 의 과거, 변신하는 재의 경 계 상태와 변신 후의 미래의 모습을 시간과 공간에서 동 시에 보여 다. 변신의 단순한 결과론 인 움직임이 아 닌 시각 구조의 변화 과정을 디지털 이미지의 표 방 법인 A에서 B로 변형되는 간 과정의 몰핑(morphing) 의 디지털 유동성을 통해 가상과 실을 이어주는 실 인 감각을 실시간으로 보여 다. Mystique Iceman Colossus Quicksilver [Fig. 4] Metamorphosis of Pataphysic's Presence 표 인 캐릭터로 미스틱(Mystique)의 타인을 복제 하여 자신의 몸을 변형시키는 과정, 아이스맨(Iceman)의 얼음의 형태로 본인의 몸이나 사물을 변화시키는 장면, 콜로서스(Colossus)의 강철로 변신하는 과정, 퀵실버 (Quicksilver)의 시공간을 멈추어 시뮬 이션 장면은 알 ‘엑스맨(X-Men)' 변신 티브에 나타난 타피직스 412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Oct; 14(10): 407-414 드 자리의 희곡에서 그로테스크한 비 왕이 객 을 앞에 두고 부조리의 풍자 사를 직 으로 내 뱉어 표 하거나 주의 회화에 나타난 자동기술 으 로 바로 떠오르는 사고를 표 하듯이 화에서 변신을 일으키는 상의 속성이 변화되는 과정의 후와 형태의 경계를 넘나드는 변신체를 앞에서 그 로 보여주는 성을 경험하게 한다. 3.2 (昏鐘性, Hybridity) 외형의 변신이 한 캐릭터는 신체가 다른 이형의 존재로 동식물 는 사물, 이성의 인간이나 타인이 되는 변이의 과정을 일으킨다. 화 ‘엑스맨(X-men)'에 나타 난 슈퍼히어로는 돌연변이의 소외된 실의 인물과 가상 의 형태를 가진 타포의 메타포로 결합된 이종의 변신 체로 혼종된 외형으로 재 된다. 외형의 변화를 갖는 변 신모티 를 가진 표 인 캐릭터로는 늑 의 발톱을 연 상시키는 양손에 튀어 나온 속 골격과 헤어스타일의 울버린(Wolverine), 늑 인간을 그 로 재 한 듯한 비 스트(Beast)의 신, 인간과 혼종된 새의 날개를 가진 엔 젤(Angel), 악마의 외형을 연상시키는 듯한 귀와 꼬리를 묘사한 나이트크롤러(Nightcrawler) 등에서 살펴 볼 수 있다. Wolverine Angel Beast NightCrawler [Fig. 5] Metamorphosis of Pataphysic's Hybridity 이들은 왜곡된 형태로 마치 추미학(醜美學)을 재 한 듯한 애매한 경계 존재의 외형들을 보이며 다원 해 석이 가능한 혼성 이미지로 재 된다. 타피직스의 문학작품 기법인 상징과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여 만들어 낸 창작 방식이자 에른스트 등을 시한 다다이즘과 실주의 작가의 작품에서 표 된 기법과 유사하게 재 된다. 한 화에서 이들이 가진 이질 인 변신의 외형 은 기성화된 사회에서 동떨어진 소외된 실에서 느끼는 부조리한 사회로부터 차별 받는 주제를 직 으로 표 하고 사건의 내러티 를 이끌어가는 주요 모티 가 되기 도 한다. 이는 디지털 이미지가 가지는 서로 통행하거나 혼성되는 상을 가 시키며, 이미지 간에 혼합, 교 의 방식으로 형상화하는[17] 특성과 변신이 보여주는 타 피직스 특성과 일치함을 살펴볼 수 있다. 3.3 탈 (脫定型性, Ex-formal) 화에서 외형의 시각 변신이 드러나지 않고 슈퍼 히어로의 내재된 보이지 않는 변신의 힘을 가진 능력 은 실의 시공간이 수정되거나 고립되어 혼합된 가상의 변신으로 시공간을 이질 인 상황으로 재 , 두 가지 상 황이 동시에 나타나는 시공 경험을 실에서 변형시킨 다. 이와 같은 일정한 틀에서 벗어나 고정된 공간에서 벗 어난 즉흥 조형형태가 복합 으로 병치되어 나타나는 탈정형성은 변신의 비선형 인 조형 형태로 순간 인 변 신 공간을 연출하며 화에서 재 하고 있다. Magneto Xavier Blink MavelGirl Storm ShadowCat [Fig. 6] Metamorphosis of Pataphysic's Ex-formal 그 로 매그니토(Magneto)의 속 자기장의 힘을 이 용하여 스태디움 공간을 공 으로 띄워 이동하는 변신, Analysis on Pataphysics of the Metamorphosis in Film ‘X-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413 사비에(Xavier)의 시공간을 조정하여 실의 인간의 정 신과 몸을 과거나 미래로 이동 는 시공간을 넘나드는 변신, 블링크(Blink)의 재의 시공간에 다른 시공간 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문을 만들어내는 변신, 마블걸 (Marvel Girl)의 텔 시를 통해 재의 시공간 분자를 조작하여 괴하거나 만들어내는 변신, 스톰(Storm)의 재 기후 변화를 마음 로 조정하여 새로운 공간으로 만들어내는 변신, 도우캣(Shadowcat)의 재의 공간 을 뚫고 이동하거나 의식을 다른 시간으로 넘어서는 변신은 모두 재의 시공간과 가상의 비일상 인 시공간 을 동시에 재 한다. 마치 비정형 공간을 작품으로 보 여 다다이스트 뒤샹의 작품이나 마그리트, 기리코 등 의 실주의 작가들의 작품에서 보이는 일상의 물리 한계에서 벗어난 실과 환상 인 무의식 인 가상성이 돋보이는 데페이즈망과 같은 비정형 인 기법들이 동시 에 재 되는 듯한 미장센을 연출하고 있다. 정리하면 이 러한 변신모티 는 비논리 이며 일상에서 벗어난 규범 화되지 않는 시공간을 시각화하여 실에 존재하지 않는 탈정형 상태의 타피지컬한 실과 가상의 공간을 첩시켜 재 하고 있다 할 수 있다. 4. 결 본 연구에서는 슈퍼히어로의 변신이 무엇이며, 알 드 자리의 타피직스가 다다이즘과 실주의와 같은 인간 실에서의 한계를 월한 잠재된 상상력으로 기존 의 이성 합리주의에 반발하는 주제를 가지고 가상의 시공간을 나타낸 다양한 술 운동에 그 향을 미쳤으 며 이를 통해 타피직스의 표 특성을 ‘ 성’, ‘혼 종성’, ‘탈정형성’으로 분석되었다. 한 슈퍼히어로 화 ‘엑스맨’에 재 된 실과 가상 이 혼재된 슈퍼히어로의 외형 형태와 내 인 인의 힘을 발 하는 변신모티 는 잠재된 가상의 힘을 기술 가상으로 재 함으로서 상과 이미지의 실재성에 한 새로운 계를 만들어내는 타포 상상력으로 표 되 고 있음을 장면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슈퍼히어로의 부분은 실재하는 인간이지만 변신 후엔 가상의 몸이 되어 실의 존재로 재 되거나, 가상의 시공간으로 넘 나드는 타포 등장인물로 재 되거나 는 타피지 컬한 변신의 공간을 만드는 슈퍼히어로의 힘으로 시각화 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슈퍼히어로의 변신모티 를 통해 재 된 타피직스의 표 특성으로 슈퍼히어로 캐릭터의 외형에 나타난 변신 과정을 직 으로 몰핑기 법을 통해 객에게 보여주는 ‘ 성’, 돌연변이 변신의 외형 특징인 이종 결합에 의한 ‘혼종성’으로 나타나는 소외된 존재와 부조리의 주제와 외형 표 , 내재된 변 신의 힘을 일상의 실을 탈피한 시공간의 변화에 의한 ‘탈정형성’으로 논의하 다. 이상으로 본고는 슈퍼히어로의 CGI의 기술 가상력 에 의해 표 되는 변신모티 의 시각 조형성이 디지털 상의 미학 가치로서 새로운 가상의 개념인 타피직 스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REFERENCES [1] DOI:,https://namu.wiki/w/%ED%8F%AC%EC%BC %93%EB%AA%AC%20GO. 2016.7 [2] Seonha Je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ieces Germaine Richier of metamorphose",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sis, 1989 [3] Jinok Kang, “Narrative shown the world's awareness aspects be treated”, Literature and criticism Vol 5., 1988 [4] Sangil Lee, “Theory and Development of transformation narrative case centers on the Comparison of Korea, Germany”, Sungkyunkwan University doctoral thesis , 1978 [5] Duksoon Jang,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81 [6] Pai Won-Ryong, “The aspects of transmogrification in Transmogrification tales“, Seokyeong University Journal, Vol 11, p2, 1983 [7] Miran Kim, “Korean folktale transformation, Research-Centered a few basic cause”, Korean classical study of literature Vol 4, 1988 [8] J. E. Cirlot, “Symbol of Inversion, Dictionary of Symbols,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1962 [9] Sangjin Jeong, “Which means romantic and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forming motifs”,1990 ‘엑스맨(X-Men)' 변신 티브에 나타난 타피직스 414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Oct; 14(10): 407-414 [10] Philosophy Dictionary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80915&cid=4 1978&categoryId=41985, 2016.8 [11] Alfred Jarry, “A Pataphysical life”, The MIT Press Cambridge, p.30, Massachusetts London, England, 2011 [12] Peter Olshavsky, "Questions concerning architectural machines; or pataphysics in early modern architecture", School of Architecture McGil University, 2012 [13] DOI:https://en.wikipedia.org/wiki/%27Pataphysics [14] Junggwon Jin, "Image of the humanities 1", Imagine 1000, 2014 [15] Fergusson, Francis. "Introduction. Aristotle’s Poetics", By Aristotle. Trans. S.H. Butcher. New York: Hill and Wang, 1961 [16] D'Hamoncourt and McShine, eds., "Marcel Duchamp", pp.273-274, Prestel Pub, 1989 [17] Lister, Martin, U Seon-a, "The Photographic Image in Digital Culture", pp. 72-73, Visual Languge, 2000 [18] Eunyoung Jung, "Surrealism in Labyrinth: Marcel Duchamp's Mile of String for "First Papers of Surrealism",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Vol.15, 2013 [19] Seyoung Chang, "A Study on the Comic Strip Style in the movie La Chinoi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2, No.9, 2014 [20] D'Hamoncourt and McShine, eds, ‘Marcel Duchamp’, Prestel Pub, 1989 [21] Jungsoo Han, "Color and Brightness Calib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for 5D Virtual Reality Attrac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7, No.1, 2016 (Seyoung Chang) ․1997년 8월 : 숙명여 상미디어 디자인 석사 (MFA) ․2015년 8월 : 동국 학교 상 학 원 멀티미디어학과 박사 수료 ․2007년 3월 ∼ 재 : 안양 학교 디 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심분야 : Contents Design, Animation, Motion-graphic ․E-Mail : zukiya@naver.com 진 헌(Jeanhun Chung) ․1992년 2월 : 홍익 학교 시각디자 인학과 (BFA) ․1999년 11월 : 미국, Academy of Art University Computer Arts (MFA) ․2001년 3월 ~ 재 : 동국 학교 상 학원 멀티미디어학과 교수 ․ 심분야 : VR, Contents Design, 입체 상, 3D Computer Graphic, Computer Animation, Visual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