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의 심화, 국내 생산인구의 감소로 인 한 인구 대체의 방편으로 국제이주 및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Lee, 2014). 특히 한국은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돌파 속도 가 선행 국가보다 빨라 국내의 경제적, 사회적 문제가 더욱더 심각 하다(Jeon, 2020). 다문화 가정, 즉 결혼이민자와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다문화가족 지원법 제2조)의 유입은 우 리나라의 인구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농촌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유입되기 시작한 1990년대 말부 터 현재까지 국내에 정착하고 있는 외국인과의 결혼으로 다문화 가 정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결혼 이주여성의 인권 침해와 생활 적응의 어려움, 자녀의 발달단계의 문제 가능성 등이 드러나고 있다. Kim (2011)은 다문화 정책이 초기지원과 결혼이민자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다문화 가족 내에 발생하는 역동적이고 다양한 욕 구를 포괄하지 못하는 정책의 한계점이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다문 화가족의 빈곤 예방을 위해 결혼이민자의 인적 자원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를 개발하여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Kim (2015)의 연구에 서도 결혼이민자의 사회 적응 지원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배우자 를 포함한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 다. 또한, 다문화 1세대의 낮은 학력과 직업 능력은 장기적으로 지 속할 것이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가정 보육 수준의 결여가 교육 수준의 질적 수준과 연결되는 자녀로의 대물림에 관한 문제를 제기 하였다(Ji, 2012). 현재 국내 거주 외국인 수와 결혼 이민자 등 다문 R E S E A R C H A R T I C L E Open Acces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eauty Education Methodology and Content Requirem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Roodiah Bak1, Jae Eun Lee2, Hae-Jung Chon1* 1Department of Beauty Design, Sungkyul University, Anyang-si, Gyeonggi-do, Korea 2Department of Chaming Skin Care, Kimpo University, Gimpo-si, Gyeonggi-do, Korea *Corresponding author: Hea-Jung Chon, Department of Beauty Design, Sungkyul University, 53, Seonggyeoldaehak-ro, Manan-gu, Anyang-si, Gyeonggi-do 14097, Korea Tel.: +82 31 467 8383 Fax: +82 31 467 8908 Email: hjchons@hanmail.net Received October 18, 2020 Revised November 28, 2020 Accepted December 08, 2020 Published December 30, 202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methodologies of beauty education and to ascertain the curricular requiremen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ulticultural families comprising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living in Ansan and Suwon in Gyeonggi-do. The SPSS 23.0 program was utilized to perform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es. A chi-square test (χ2-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al examination was also undertaken to determine the differential demands for beauty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 Results: Most multicultural families desire hair and nail education and desire training from technical instructors and employed beauticians in the form of specialized lectures or field training in the hope of acquiring skills that will help them become employed in the future. They also want the curriculum to include hair cutting, facial skin care, essential nail care, nail art, and basic make-up education. The desired course content should be designed to impart foundational skills to match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Multicultural families would also prefer the course to encompass practical training that will confer the requisite skills. Conclusion: Beauty education with hands-on training can accord multicultural families a means of finding stable employment. This study found that beauty education programs may serve as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could facilitate a more stable settlement in Korean society for first-generatio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children. Keywords: Multicultural families, Beauty education methods, Beauty education content, Field-oriented education, Skill acquisition ISSN 2466-2046 (Print) ISSN 2466-2054 (Online) Asian J Beauty Cosmetol 2020; 18(4): 629-641 http://dx.doi.org/10.20402/ajbc.2020.0092 630 Multicultural Families http://dx.doi.org/10.20402/ajbc.2020.0092 화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 중 다수가 편견과 차 별을 경험하며 한국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문화 자녀 역시 이러한 문제점들이 예상된다. 이러한 점들이 해결되지 않는다 면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은 새로운 소외계층이 될 가능성이 크 다. Park & Lee (2015)에 의하면 가정 및 학교 교육은 개인의 인지 능력과 지식 및 기술 습득을 향상하고 생산성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뿐 아니라 안정적인 일자리에 취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고 하였다. 따라서 다문화 1세대와 자녀들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대비하 기 위한 교육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Song & Song (2012)은 다문화 교육을 위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 하여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고 다양한 문화권을 확보 해 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문화 가정에 평등한 교 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적합한 교육 내용 및 방법 을 고려하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미용 교육은 피부와 모발, 얼굴, 손톱 등의 건강과 상태를 살피며,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미용 분야의 교육과 실습을 통한 현장 전문가 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용 기술 및 지식을 습득함 으로써 빠른 기간 안에 취•창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미용 기술 서비 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특성이 있어 고객과의 접점이 중요시된다. 따라서 미용 종사자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며(Park & Park, 2017), 고객과의 교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므로 미용 교육은 한국에서 다문화 가정이 사회•문화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직업군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에 따 라, 연구 대상자가 원하는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에 관해 분 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 1세대와 자녀를 포함한 다 문화 가정에 미용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현장 기술을 습득하게 함 으로써 안정적인 일자리와 우리 사회 정착에 긍정적인 결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ethods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56 14.0 Female 344 86.0 Age Teenager 24 6.0 20–29 years 141 35.3 30–39 years 132 33.0 40–49 years 86 21.5 50 and older 17 4.3 Nationality Northeast Asia 208 52.0 Southeast Asia 101 25.3 Other 91 22.8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ss than 5 years 117 29.8 6–10 years 95 23.8 11–20 years 63 15.8 More than 20 years 125 31.3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55 13.8 1–2 million won 123 30.8 2–3 million won 44 11.0 3–4 million won 25 6.3 4 million won or more 56 14.0 I do not know 97 24.3 Job Housewife 135 33.8 Office worker 126 31.5 Student 70 17.5 Other 69 17.3 Total 400 100 631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 http://www.e-ajbc.org 둘째,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 요구도를 알아본다. 셋째,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내용 요구도를 알아본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미용 교육 방법과 내용 요구를 분석하여 미용 기술 직업 교육에 반영하여 다문화 가정의 직업안정에 유용한 자료 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2016년 4월 12일부터 5월 12일까지 경기도 안산시와 수원시에 거주하는 다문화 학교, 다문화 지원센터 등을 직접 방문하 여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이주자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 로 조사를 하였다. 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 성실한 응답 30부를 제외한 총 400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질문지의 구성은 인구 통계학적 특성 6문항, 미용 교육 방법 요 구도 4문항, 미용 교육 내용 요구도 28문항으로 총 38개의 측정 문 항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4.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 23; IBM,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 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 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 요구도, 미용 교육 내 용 요구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제 곱 검정(χ2-test), 기술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able 2. Preference for beauty education methodolog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Beauty education method (Frequency and %) Total χ2 (p )Specialized lecture Field practice Online instruction Individual coaching Other Gender Male 11 (19.6) 22 (39.3) 14 (25.0) 6 (10.7) 3 (5.4) 56 (100.0) 16.924** (0.002)Female 149 (43.3) 127 (36.9) 38 (11.0) 22 (6.4) 8 (2.3) 344 (100.0) Age Teenager 11 (45.8) 9 (37.5) 2 (8.3) 2 (8.3) 0 (0.0) 24 (100.0) 30.226* (0.017) 20–29 years 55 (39.0) 52 (36.9) 22 (15.6) 9 (6.4) 3 (2.1) 141 (100.0) 30–39 years 46 (34.8) 54 (40.9) 19 (14.4) 13 (9.8) 0 (0.0) 132 (100.0) 40–49 years 38 (44.2) 27 (31.4) 9 (10.5) 4 (4.7) 8 (9.3) 86 (100.0) 50 and older 10 (58.8) 7 (41.2) 0 (0.0) 0 (0.0) 0 (0.0) 17 (100.0) Nationality Northeast Asia 82 (39.4) 71 (34.1) 34 (16.3) 18 (8.7) 3 (1.4) 208 (100.0) 218.010*** (0.000)Southeast Asia 56 (55.4) 29 (28.7) 10 (9.9) 6 (5.9) 0 (0.0) 101 (100.0) Other 22 (24.2) 50 (55.0) 6 (6.6) 6 (6.6) 3 (3.3) 91 (100.0)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ss than 5 years 39 (33.3) 42 (35.9) 24 (20.6) 9 (7.7) 3 (2.6) 117 (100.0) 42.504*** (0.000) 6–10 years 43 (45.3) 40 (42.1) 9 (9.5) 3 (3.2) 0 (0.0) 95 (100.0) 11–20 years 27 (42.9) 21 (33.3) 5 (7.9) 10 (15.9) 0 (0.0) 63 (100.0) More than 20 years 51 (40.8) 46 (36.8) 14 (11.2) 6 (4.8) 8 (6.4) 125(100.0)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24 (43.7) 20 (36.4) 8 (14.6) 3 (5.5) 0 (0.0) 55 (100.0) 54.406*** (0.000) 1–2 million won 46 (37.4) 38 (30.9) 25 (20.3) 11 (8.9) 3 (2.4) 123 (100.0) 2–3 million won 24 (54.5) 15 (34.1) 2 (4.5) 0 (0.0) 3 (6.8) 44 (100.0) 3–4 million won 14 (56.0) 6 (24.0) 0 (0.0) 5 (20.0) 0 (0.0) 25 (100.0) 4 million won or more 14 (25.0) 35 (62.5) 3 (5.4) 4 (7.1) 0 (0.0) 56 (100.0) I do not know 38 (39.2) 35 (36.1) 14 (14.4) 5 (5.2) 5 (5.2) 97 (100.0) Job Housewife 70 (51.9) 41 (30.4) 17 (12.6) 7 (5.2) 0 (0.0) 135 (100.0) 73.860*** (0.000) Office workers 43 (34.1) 56 (44.4) 16 (12.7) 11 (8.8) 0 (0.0) 126 (100.0) Student 29 (41.4) 31 (44.3) 5 (7.1) 2 (2.9) 3 (4.3) 70 (100.0) Other 18 (26.1) 21 (30.4) 14 (20.3) 8 (11.6) 8 (11.6) 69 (100.0) *p<0.05, **p<0.01, ***p<0.001. 632 Multicultural Families http://dx.doi.org/10.20402/ajbc.2020.0092 Results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대, 국적, 한국 거 주기간, 월 평균소득)에 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에 따 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 56명(14.0%), '여성' 344 명(86.0%), 연령대는 '10대' 24명(6.0%), '20대' 141명(35.3%), '30 대' 132명(33.0%), '40대' 86명(21.5%), '50대' 이상 17명(14.3%) 으로 조사되어 2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으로는 '동 북아시아' 208명(52.0%), '동남아시아' 101명(25.3%), '기타' 91명 (22.8%)으로 조사되어 중국과 일본, 몽골 등의 동북아시아 국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거주기간으로는 '5년 미만' 117명 (29.8%), '6-10년' 95명(23.8%), '11-20년' 63명(15.8%), '20년 이 상' 125명(31.3%)으로 20년 이상 장기 거주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평균소득으로 '100만원 미만' 55명(13.8%), '100-200만원 미 만' 123명(30.8%), '200-300만원 미만' 44명(11.0%), '300-400만원 미만' 25명(6.3%), '400만원 이상' 56명(14.0%), 그리고 '잘 모르겠다' 는 응답이 97명(24.3%)으로 나타나 거주기간 대비 소득이 불안정한 것으로 보였다. 직업으로는 '전업주부' 135명(33.8%), '직장인' 126명 (31.5%), '학생' 70명(17.5%), '기타' 69명(17.3%)으로 조사되어 전업주 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 요구도 분석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방식 요구도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방식에 관한 요 구도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미용 교육방식 요 구도를 살펴보면, 남성은 '현장 실습'이 22명(39.3%), 여성 '특강' 149명 (43.3%)으로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χ2=16.924, p<0.01) Table 3. Desired beauty education subjec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Desired area of beauty education (Frequency and %) Total χ2 (p ) Hair beauty Skin beauty Nail art beauty Make-up beauty Other Gender Male 39 (69.6) 11 (19.6) 0 (0.0) 0 (0.0) 6(10.7) 56 (100.0) 59.882*** (0.000)Female 112 (32.6) 60 (17.4) 114(33.1) 53(15.4) 5 (1.5) 344(100.0) Age Teenager 0 (0.0) 7 (29.2) 7 (29.2) 10 (41.7) 0 (0.0) 24 (100.0) 75.603*** (0.000) 20–29 years 63 (44.7) 18 (12.8) 43 (30.5) 14 (9.9) 3 (2.1) 141(100.0) 30–39 years 39 (29.5) 28 (21.2) 45 (34.1) 14 (10.6) 6 (4.5) 132 (100.0) 40–49 years 47 (54.7) 10 (11.6) 19 (22.1) 8 (9.3) 2 (2.3) 86 (100.0) 50 and older 2 (11.8) 8 (47.1) 0 (0.0) 7 (41.2) 0 (0.0) 17 (100.0) Nationality Northeast Asia 83 (39.9) 38 (18.3) 41 (19.7) 37 (17.8) 9 (4.3) 208 (100.0) 72.091*** (0.000)Southeast Asia 52 (51.5) 19 (18.8) 25 (24.8) 5 (5.0) 0 (0.0) 101 (100.0) Other 16 (17.6) 13 (14.3) 48 (52.8) 12 (13.2) 2 (2.2) 91 (100.0)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ss than 5 years 54 (46.2) 25 (21.4) 15 (12.9) 17(14.6) 6 (5.1) 117(100.0) 87.883*** (0.000) 6–10 years 40 (42.1) 20 (21.1) 27 (28.4) 8 (8.4) 0 (0.0) 95 (100.0) 11–20 years 28 (44.4) 17 (27.0) 13 (20.6) 2 (3.2) 3 (4.8) 63 (100.0) More than 20 years 29 (23.2) 9 (7.2) 59 (47.2) 26 (20.8) 2 (1.6) 125 (100.0)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27 (49.1) 6 (11.0) 16 (29.1) 6 (10.0) 0 (0.0) 55 (100.0) 85.880*** (0.000) 1–2 million won 52 (42.3) 35 (28.5) 25 (20.3) 5 (4.1) 6 (4.9) 123 (100.0) 2–3 million won 13 (29.5) 0 (0.0) 23 (52.3) 5 (11.4) 3 (6.8) 44 (100.0) 3–4 million won 3 (12.0) 6 (24.0) 12 (48.0) 4 (16.0) 0 (0.0) 25 (100.0) 4 million won or more 21 (37.5) 6 (10.7) 13 (23.2) 14 (25.0) 2 (3.6) 56 (100.0) I do not know 35 (36.1) 18 (18.6) 25 (25.8) 19 (19.6) 0 (0.0) 97 (100.0) Job Housewife 64 (47.4) 19 (14.1) 42 (31.1) 7 (5.2) 3 (2.2) 135 (100.0) 49.302*** (0.000) Office workers 44 (35.0) 24 (19.0) 36 (28.6) 19 (15.1) 3 (2.4) 126 (100.0) Student 15 (21.4) 18 (25.7) 18 (25.7) 19 (27.1) 0 (0.0) 70 (100.0) Other 28 (40.6) 10 (14.5) 18 (26.1) 8 (11.6) 5 (7.2) 69 (100.0) ***p<0.001. 633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 http://www.e-ajbc.org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으로는 30대에서는 '현장 실습'이 54 명(40.9%)으로 가장 높았고,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특강' 수 업의 진행방식 요구도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χ2=30.226, p<0.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으로는 동북아시아 82명 (39.4%) 동남아시아가 56명(55.4%)으로 '특강'을 요구했고, 기타 국 적에서는 '현장 실습'이 50명(5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χ2=218.010, p<0.001)가 있었다. 한국 거주 기간으로 5년 미만 '현장 실습' 42명(35.9%), 6-10년 43명(45.3%)과 11-20년 27명(42.9%) 그리고 20년 이상 51명(40.8%)이 '특강'을 요 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χ2=42.504, p<0.001)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소득이 400만원 이상인 경우 현장 실습을 원 하였고, 나머지 소득 군에서는 모두 '특강'이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χ2=54.406, p<0.001)가 있었다. 직업으로 전 업주부가 '특강' 70명(51.9%), 직장인 56명(44.4%)과 학생이 31명 (44.3%), 기타 21명(30.4%)이 '현장 실습'을 요구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χ2=73.860, p<0.001)가 있었다.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 분야 요구도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 분야 요구 도는 Table 3과 같다. 성별에 따른 미용교육 분야에 관한 요구도 를 살펴보면, 남성은 '헤어' 39명(69.6%), 여성인 경우 '네일' 114명 (33.1%), '헤어' 112명(32.6%)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59.882, p<0.001). 연령대로는 10대 ' 메이크업' 10명(41.7%), 20대 '헤어' 63명(44.7%), 30대 '네일' 45 명(34.1%), 40대 '헤어' 47명(54.7%), 50대 '피부' 8명(4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75.603, p<0.001). 국적으로 동북아시아 '헤어' 83명(39.9%), 동남아시아 ' 헤어' 52명(51.5%), 기타 '네일' 48명(52.8%)으로 높아 통계적으로 Table 4. Demands from beauty educa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Desired beauty educator (Frequency and %) Total χ2 (p ) Professor Technical instructor Employed worker Other Gender Male 9 (16.1) 16 (28.6) 22 (39.3) 9 (16.1) 56 (100.0) 23.742*** (0.000)Female 41 (11.9) 176 (51.2) 117 (34.0) 10 (2.9) 344 (100.0) Age Teenager 3 (12.5) 14 (58.3) 7 (29.2) 0 (0.0) 24 (100.0) 23.884* (0.021) 20–29 years 19 (13.5) 78 (55.3) 35 (24.8) 9 (6.4) 141 (100.0) 30–39 years 21 (15.9) 57 (43.2) 51 (38.6) 3 (2.3) 132 (100.0) 40–49 years 7 (8.1) 33 (38.4) 39 (45.3) 7 (8.1) 86 (100.0) 50 and older 0 (0.0) 10 (58.8) 7 (41.2) 0 (0.0) 17 (100.0) Nationality Northeast Asia 13 (6.3) 118 (56.7) 68 (32.7) 9 (4.3) 208 (100.0) 139.382*** (0.000)Southeast Asia 23 (22.8) 46 (45.5) 29 (28.7) 3 (3.0) 101 (100.0) Other 14 (15.4) 32 (35.2) 43 (47.3) 2 (2.2) 91 (100.0)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ss than 5 years 21 (18.0) 60 (51.3) 24 (20.6) 12 (10.3) 117 (100.0) 42.697*** (0.000) 6–10 years 13 (13.7) 44 (46.3) 38 (40.0) 0 (0.0) 95 (100.0) 11–20 years 2 (3.2) 39 (61.9) 22 (34.9) 0 (0.0) 63 (100.0) More than 20 years 14 (11.2) 49 (39.2) 55 (44.0) 7 (5.6) 125 (100.0)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16 (29.1) 23 (41.9) 16 (29.1) 0 (0.0) 55 (100.0) 45.506*** (0.000) 1–2 million won 14 (11.4) 61 (49.6) 42 (34.1) 6 (4.9) 123 (100.0) 2–3 million won 5 (11.4) 19 (43.2) 17 (38.6) 3 (6.8) 44 (100.0 3–4 million won 6 (24.0) 8 (32.0) 11 (44.0) 0 (0.0) 25 (100.0) 4 million won or more 0 (0.0) 24 (42.9) 30 (53.6) 2 (3.6) 56 (100.0) I do not know 9 (9.3) 57 (58.8) 23 (23.7) 8 (8.2) 97 (100.0) Job Housewife 24 (17.8) 74 (54.8) 37 (27.4) 0 (0.0) 135 (100.0) 46.730*** (0.000) Office workers 14 (11.1) 46 (36.6) 61 (48.4) 5 (4.0) 126 (100.0) Student 9 (12.9) 42 (60.0) 13 (18.6) 6 (8.6) 70 (100.0) Other 3 (4.3) 30 (43.5) 28 (40.6) 8 (11.6) 69 (100.0) *p<0.05, ***p<0.001. 634 Multicultural Families http://dx.doi.org/10.20402/ajbc.2020.0092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72.091, p<0.001). 한국 거주기간으로는 20년 이상이 '네일' 교육을 59명(47.2%)이 가장 원 했으며, 그 외 거주기간은 모두 '헤어'미용을 가장 교육받기를 원하 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87.883, p<0.001). 월 평균소득으로는 100만원 미만 '헤어' 27명(49.1%), 100-200만원 미만 '헤어' 52명(42.3%), 200-300만원 미만 '네일' 23명(52.3%), 300-400만원 미만 '네일' 12명(48.0%), 400만원 이 상 '헤어' 21명(37.5%), 잘 모르겠다 '헤어' 35명(36.1%)이 희망하 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85.880, p<0.001). 직업으로는 전업주부, 직장인, 기타에서 모두 '헤어' 교육 을, 학생의 경우 19명(27.1%)이 '메이크업' 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49.302, p<0.001). Table 5. Demographic-based prospective career expectations from beauty education Classification Future career demands from beauty education (Frequency and %) Total χ2 (p )Obtain professional license Employment Acquire technical expertise College Other Gender Male 16 (28.6) 8 (14.3) 20 (35.7) 3 (5.4) 9 (16.1) 56 (100.0) 16.760** (0.002)Female 85 (24.7) 90 (26.2) 147 (42.7) 7 (2.0) 15 (4.4) 344 (100.0) Age Teenager 5 (20.8) 5 (20.8) 10 (41.7) 4 (16.7) 0 (0.0) 24 (100.0) 42.217*** (0.000) 20–29 years 26 (18.4) 44 (31.2) 60 (42.6) 3 (2.1) 8 (5.7) 141 (100.0) 30–39 years 40 (30.3) 27 (20.5) 56 (42.4) 3 (2.3) 6 (4.5) 132 (100.0) 40–49 years 22 (25.6) 17 (19.8) 39 (45.3) 0 (0.0) 8 (9.3) 86 (100.0) 50 and older 8 (47.1) 5 (29.4) 2 (11.8) 0 (0.0) 2 (11.8) 17 (100.0) Nationality Northeast Asia 56 (26.9) 39 (18.8) 94 (45.2) 5 (2.4) 14 (6.7) 208 (100.0) 115.493*** (0.000)Southeast Asia 30 (29.7) 40 (39.6) 29 (28.7) 0 (0.0) 2 (2.0) 101 (100.0) Other 15 (16.5) 20 (22.0) 48 (52.8) 5 (5.5) 3 (3.3) 91 (100.0)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ss than 5 years 32 (27.4) 25 (21.4) 46 (39.4) 3 (2.6) 11 (9.4) 117 (100.0) 62.408*** (0.000) 6–10 years 38 (40.0) 28 (29.5) 29 (30.5) 0 (0.0) 0 (0.0) 95 (100.0) 11–20 years 13 (20.6) 19 (30.2) 24 (38.1) 4 (6.3) 3 (4.8) 63 (100.0) More than 20 years 18 (14.4) 26 (20.8) 68 (54.4) 3 (2.4) 10 (8.0) 125 (100.0)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20 (36.4) 23 (41.9) 12 (21.9) 0 (0.0) 0 (0.0) 55 (100.0) 117.996*** (0.000) 1–2 million won 22 (17.9) 20 (16.3) 67 (54.5) 3 (2.4) 11 (8.9) 123 (100.0) 2–3 million won 11 (25.0) 22 (50.0) 3 (6.8) 0 (0.0) 8 (18.2) 44 (100.0) 3–4 million won 3 (12.0) 9 (36.0) 10 (40.0) 3 (12.0) 0 (0.0) 25 (100.0) 4 million won or more 8 (14.3) 10 (17.9) 38 (67.9) 0 (0.0) 0 (0.0) 56 (100.0) I do not know 37 (38.1) 14 (14.4) 37 (38.1) 4 (4.1) 5 (5.2) 97 (100.0) Job Housewife 48 (35.6) 45 (33.3) 39 (28.9) 0 (0.0) 3 (2.2) 135 (100.0) 109.885*** (0.000) Office workers 22 (17.5) 17 (13.5) 79 (62.7) 3 (2.4) 5 (4.0) 126 (100.0) Student 11 (15.7) 16 (22.9) 33 (47.1) 7 (10.0) 3 (4.3) 70 (100.0) Other 20 (29.0) 20 (29.0) 16(23.2) 0 (0.0) 13 (18.8) 69 (100.0) **p<0.01, ***p<0.001. Table 6. A study on beauty education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families (N=400) Curricular area 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Average S.D. Ranking Hair care 400 1.00 5.00 1.658 0.661 3 Skin care 400 1.00 5.00 1.601 0.689 4 Nail art 400 1.00 5.00 1.707 0.819 2 Make-up 400 1.00 5.00 1.828 0.820 1 General topics 400 1.00 5.00 1.545 0.779 5 S.D, standard deviation. 635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 http://www.e-ajbc.org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 교육자 요구도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희망하는 미용 교육 교 육자에 관한 요구도는 Table 4와 같다. 성별에 따른 희망하는 미용 교육 교육자에 관한 요구도를 살펴보면, 남성은 현장 '실무종사자' 22명(39.3%), 여성은 '기술 강사' 176명(51.2%)으로 가장 높아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3.742, p<0.001). 연령대로는 40대에서 39명(45.3%)이 '실무종사자'를 원하였으며 나 머지 모든 연령대에서는 '기술 강사'를 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23.884, p<0.05). 국적으로 동북 아시아 118명(56.7%)과 동남아시아 46명(45.5%)에서 '기술 강사' 를 가장 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χ2=139.382, p<0.001). 한국 거주기간이 20년 이상 55명(44.0%) 이 '실무 종사자'를 가장 원하였으며, 그 외 거주기간은 모두 '기술 강사'를 요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χ2=42.697, p<0.001). 월평균 소득으로 300-400만원 미만 11명 (44.0%)과 400만원 이상 30명(53.6%)이 '실무 종사자'를, 나머지 소 득 군에서는 모두 '기술 강사'를 요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45.506, p<0.001). 직업으로는 전업주부 '기술 강사' 74명(54.8%), 직장인 '실무 종사자' 61명(48.4%), 학생 42명(60.0%)과 기타로 30명(43.5%)이 '기술 강사'가 가장 높게 나 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46.730, p<0.001).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을 통한 향후 진로 기대 요구도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교육을 통해 향후 어떠한 진로를 기대하는지에 관한 요구도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성별에 따른 미용 교육을 통해 향후 어떠한 진로를 기대하는지에 관한 요구도를 살펴보면, 남성 20명(35.7%)과 여성 147명(42.7%) Table 7. What multicultural families desire from beauty textbooks (N=400) Curricular area Curricular content 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Average S.D. Ranking Hair care Shampoo 400 1.00 5.00 1.778 0.869 21 Cut 400 1.00 5.00 1.358 0.660 3 Permanent 400 1.00 5.00 1.518 0.858 7 Hair dyeing 400 1.00 5.00 1.560 0.871 9 Hairstyling 400 1.00 5.00 1.560 0.783 10 Use of hair care products 400 1.00 5.00 1.700 0.898 18 Scalp and hair management 400 1.00 5.00 1.513 0.782 6 Special hair treatment 400 1.00 5.00 2.283 1.254 28 Skin care Face treatment 400 1.00 5.00 1.300 0.621 1 Body treatment 400 1.00 5.00 1.630 0.906 16 Special treatment 400 1.00 5.00 1.828 0.935 22 How to use beauty devices 400 1.00 5.00 1.768 0.900 20 How to use cosmetics 400 1.00 5.00 1.478 0.759 5 Nail art Nail basic Management 400 1.00 4.00 1.570 0.861 11 Nail length Extension 400 1.00 5.00 1.828 0.951 23 Nail repair 400 1.00 5.00 1.580 0.866 13 Gel nail 400 1.00 5.00 1.665 0.927 17 Planar nail art 400 1.00 5.00 1.740 0.938 19 Fusion nail art 400 1.00 5.00 1.860 0.981 24 Make-up Basic makeup 400 1.00 5.00 1.348 0.677 2 Wedding make-up 400 1.00 5.00 1.625 0.840 15 Stage performance Make-up 400 1.00 5.00 2.068 1.114 26 Special effects make-up 400 1.00 5.00 2.153 1.137 27 Art make-up 400 1.00 5.00 1.945 1.054 25 General topics Customer consultation 400 1.00 5.00 1.573 0.884 12 Hygiene control 400 1.00 5.00 1.553 0.900 8 Business management 400 1.00 5.00 1.590 0.854 14 Service management 400 1.00 5.00 1.465 0.755 4 S.D, standard deviation. 636 Multicultural Families http://dx.doi.org/10.20402/ajbc.2020.0092 이 모두 '기술 습득'을 가장 기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6.760, p<0.01). 연령대로 10대-40대에 서 '기술 습득'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50대 이상인 경우만 '자격증 취득' 8명(47.1%)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χ2=42.217이고, p<0.001). 국적으로 동북아시아는 ' 기술 습득'이 94명(45.2%)로 가장 높았으며, 동남아시아 '취업' 40명 (39.6%), 기타 '기술 습득'이 48명(52.8%)으로 가장 높아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15.493, p<0.001). 한국 거주기간을 살펴보면, 6-10년 '자격증'이 38명(40.0%), 5년 미 만 46명(39.4%), 11-20년 24명(38.1%), 20년 이상 68명(54.4%)이 '기술 습득'을 기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χ2=62.408, p<0.001). 월평균 소득으로 100만원 미만의 소득 군이 23명(41.9%), 200-300만원 미만 22명(50.0%)이 '취업'을 기 대하였으며, 100-200만원 미만이 67명(54.5%), 300-400만원 미 만 소득이 10명(40.0%), 400만원 이상 38명(67.9%)이 '기술 습득'을 기대하였다. 그 외로 본인의 평균소득에 대해 '잘 모르겠다'라고 답 한 군에서는 자격증 취득 37명(38.1%)과 기술 습득 37명(38.1%)으 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χ2=117.996, p<0.001). 직업으로 전업주부가 '자격증 취득' 48 명(35.6%), 직장인 79명(62.7%)과 학생 33명(47.1%)이 '기술 습득' 을 기대하였고, '기타' 직업 군에서 자격증 20명(29.0%)와 취업 20명 (2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χ2=109.885, p<0.001). 3.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내용 요구도 1)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교과 영역 요구도 다문화 가정이 가장 요구하는 미용 교육 교과 영역 요구도를 알아 본 결과 Table 6과 같다. 헤어 미용 교육 교과 영역 요구도를 살펴보 면, 평균이 1.658이고 표준편차는 0.661로 나타났다. 피부 미용 교 육 평균이 1.601이고 표준편차는 0.689로 나타났다. 네일 미용 교 육 평균이 1.707이고 표준편차는 0.819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미용 교육 평균이 1.828이고 표준편차는 0.820로 나타났다. 공통 교육 교과 영역 평균이 1.545이고 표준편차는 0.779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다문화 가정이 가장 필요로 하는 미용 교육은 메이 크업 교육이며 다음은 네일 미용 교육, 헤어 미용 교육의 순으로 나 타났으며, 공통교육이 요구도가 가장 낮았다. 이 결과로 미용 분야 중 가장 접근하기 쉬운 산업 분야를 가장 많이 교육을 요구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2)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교과 내용 요구도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교과 내용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 음 Table 7과 같다. 헤어 미용 교육 교과 내용 중 커트(평균=1.358, 표준편차=0.660)의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피부는 얼굴 관리(평 균=1.300, 표준편차=0.621), 네일 아트 미용 교육은 네일 기본관리 (평균=1.570, 표준편차=0.861)의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 이크업 미용 교육 교과 내용에서는 기본 메이크업(평균=1.348, 표 준편차=0.677)의 요구도가, 공통 미용 교육 교과 내용에서는 서비 스 관리(평균=1.465, 표준편차=0.75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iscussion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에 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성별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의 남 성은 헤어 교육을 현장 실습을 통하여 현장 실무 종사자에게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을 습득하기를 원하였다. 이것은 가장으로서 경제 적 책임을 져야 하는 남성의 경우 교육 후 바로 현장 투입이 되어 실 무를 빠르게 습득하여 소득의 창출과 증대가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 였다. 반면 여성은 네일 교육을 전문 기술 강사에게 미용 특강이나 수업을 통해 현장 기술을 습득할 것을 요구하였다. 둘째, 연령대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10대는 메이크 업을 요구했지만 20대에서 헤어 교육을 원하였으며 두 연령대 모두 특강을 통하여 전문 강사에게 현장 기술을 습득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다문화 가정의 10-20대의 자녀들이 미용 직업 교육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미용 취업과 직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 및 관 리가 필요하다. 30대는 네일 교육을 현장 실습을 통하여 전문 강사 에게 기술을 습득할 것을 원하였고, 40대는 헤어 교육을 특강을 통 하여 현장 실무 종사자에게 기술을 습득하기를 요구하였다. 50대 이 상인 경우 향후 미용 교육을 통해 피부 미용사 국가 기술 자격증을 취득하고픈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미용 분야의 취업 또는 창업을 할 때 국가자격증 보유가 필수이고, 50대가 취업하기는 현실 적으로 쉽지 않아 국가 자격증 취득 후 취•창업의 기회를 얻고자 하 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다문화 가정의 미용 관련 교육프로그램 설계 시 취•창업 준비에 있어서 국가 자격증 취득과 관련된 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적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동북아시아와 동 남아시아의 경우 미용 교육 방법에 있어서 헤어 교육을 기술 강사에 게 특강 교육을 받기를 원하였다. 미용 교육을 통한 향후 기대하는 진로 요구로는 동북아시아에서 기술 습득을, 동남아시아에서 취업 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 가정은 미용 교육을 통 해 기술을 습득하여 취업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목적 및 방 법에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보였다. 넷째, 한국에 거주한 기간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5 년 미만과 6-10년 동안 거주한 경우 헤어 교육을 전문기술 강사에 게 특강을 통해 습득하기를 원하였다. 그러나 미용 교육을 통한 향 후 기대하는 진로에서 5년 미만 거주한 경우는 미용 기술 습득을, 6-10년 거주한 경우 자격증 취득을 하고픈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37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 http://www.e-ajbc.org 11-20년 동안 한국에 거주한 경우 헤어 교육을 기술 강사를 통해, 20년 이상 거주한 경우 네일 교육을 실무 종사자를 통해 교육받기를 희망한다고 요구하였고, 이들 모두 미용 특강을 통해 기술을 습득할 것을 기대하였다. 미용 교육은 기술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으 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 방법과 교육자의 전문성에 따라 교육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Yeo et al. (2015)의 연구에 의하면 교육자의 교육 태도와 자 긍심, 사회적 지위와 같은 인식이 피교육자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적용할 때 현장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적절한 교 육 방법과 교•강사의 자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월평균 소득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메이크업 교육을 통해 취업을 요구하 였고, 100-200만원 미만인 경우 헤어 교육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기 를 원하였고, 두 군 모두 특강의 교육 방식을 통하여 강사에게 기술 을 습득하기를 요구하였다. 월 200-300만원 미만인 경우 네일 교육 을 강사의 특강 교육을 통해 취업을 기대하였다. 월 300-400만원 미만인 경우 네일 교육을 특강을 통한 교육을, 월 400만원 이상인 경우 헤어 교육을 현장 실습을 통한 교육을 원하였고, 두 군 모두 실 무 종사자를 통해 현장 기술을 습득하기를 요구하였다. 여섯째, 직업에 따른 미용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전업주부인 경 우 헤어 교육을 기술 강사에게 특강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기를 원 하였다. 직장인인 경우 헤어 교육을 실무 종사자에게, 학생인 경우 메이크업 교육을 기술 강사에게 현장 실습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기 를 요구하였다. 이는 Kim (2018)의연구에서 현장실습이 학교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과 실제로 산업체에서 진행되는 고객 서비스 간 의 직무의 차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어 중요한 교육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이러한 요구를 반영함이 필요하다. 전업주부 에게 직업 교육은 생활에서 느꼈던 단절감에서 치유되는 등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새로운 진로 발견과 직업의식을 강화하고 구직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가져온다고 하였다(Yoon, 2008). Kim & Lee (2015)의 연구에서도 경력단절이 된 여성들에게 재취업 교육은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켜 미래 직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감 을 높인다고 하였다. 또한 국가자격증 취득을 위한 기술 교육뿐 아 니라 실습을 통해 취업 후 부적응에 따른 이직 현상과 중도 포기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Kim & Lee (2018)는 미용 서비 스 산업 종사자의 높은 이직률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 및 훈련, 직원 간의 의사소통, 권한 위임 등의 직무 만족을 통한 동기부여를 제안 하였다. 또 Park et al. (2019)는 전략적인 인적 자원관리가 미용 조 직에 대한 직무 몰입을 증대 시켜 직무수행능력을 강화하고 종사자 의 이직 의도를 약화한다고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령과 근 무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인적 자원관리의 차이가 높게 나타나 미용 서비스업을 처음 시작하는 단계 종사자들의 체계적인 인적 자원관 리를 계획하고 진행하여야 할 것이라 하였다. 이에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이론 및 기초기술 교육 외에도 현장 기술에 관한 교육 내용뿐 아니라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과정을 반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곱째, 다문화 가정이 요구하는 미용 교육 교과 내용을 살펴보 면, 헤어 미용 교육에서는 '커트' 교육을 희망하는 요구도가 가장 높 았으며, 피부 미용 교육에서 '얼굴 관리', 네일 미용 교육에서는 '네 일 기본관리'를, 메이크업 교육에서 '기본 메이크업'을, 공통 교육으 로 '서비스 관리' 교육을 받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미용의 경우 '얼굴 관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Chon (2017)의 연구에서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국가직무 능력표준) 능력별로 자가 진단한 결과 '얼굴 관리'가 가장 기초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항목으로 나타나, 피부미용직무에 있어 서 산업 현장 활용이 높음을 의미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현장 직무 능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설계 시에 참고한다면 수업 만족도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고 하였다. NCS는 현장성을 강화 하고 산업 현장의 직무수행을 위하여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실무 능력 중심 수업으로의 전환에 그 의의를 두고 있으며(Kim & Park, 2017), NCS 기반 학습체계가 교육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NCS에서 기초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교과 내용을 우 선하여 요구한 결과로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이 현장 중심으로 이 루어져야 할 것을 입증하고 있으며, 추후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미용 교육 내용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onclusion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요구도를 살펴보면 헤어 미용과 네 일 미용 분야 교육을 전문 기술 강사로부터 현장에서 교육받기를 원 한 반면 온라인과 개별 교육방식의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러한 결과는 미용이 실습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반증하는 것으 로 미용 교육은 현장 실습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으로는 교육의 만족도를 충족하기 어렵다. 따라 서 다문화 가정을 위한 미용 교육은 기술을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습 득할 수 있는 특강 교육이나 현장에서 적용되는 실습 교육이 적용되 어야 하며, 더불어 미용직무 특성을 반영하고 교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현장에서 미용 종사자와 고객 사이에 상호작용이 반드시 이루 어 질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훈련 경험은 안정된 일자리 창출의 방 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 1세대와 자녀를 포함한 다문화 가정에 미용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한국 사회에서 더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미용 교육에 관한 연구 들에서 미용 고등학 638 Multicultural Families http://dx.doi.org/10.20402/ajbc.2020.0092 교, 대학생, 취업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았으나,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가 적어 비교 내용이 부족하였다. 이 에 다문화 가정의 실제 교육 현황을 점검하기가 쉽지 않았다. 다문 화 자녀 수를 포함한 다문화 가정이 계속 증가하는 현실에서 이들의 요구도를 반영할 수 있는 미용 기술 직업교육과 직업안정을 위한 추 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uthor's contribution JEL reinterpreted the master's thesis of Sungkyu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which RB wrote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overall thesis. HJC was general manager of paper writing and analysis. Author details Roodiah Bak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Design, Sungkyul University, 53, Seonggyeoldaehak-ro, Manan-gu, Anyang-si, Gyeonggi-do 14097, Korea; Jae Eun Lee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Chaming Skin Care, Kimpo University, 97 Gimpodaehak-ro, Wolgot- myeon, Gimpo-si, Gyeonggi-do 10020, Korea; Hae-Jung Chon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Sungkyul University, 53, Seonggyeoldaehak-ro, Manan-gu, Anyang- si, Gyeonggi-do 14097, Korea. References Chon HJ. Analysis of aesthetic curriculum and differences in self-diagno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using experience of taking cours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3: 141-152, 2017. Jeon YS. The future of Korean population and consumption. Trustbooks, Seoul, pp 24-26, 2020. Ji Y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East Asia: comparative perspective, 11: 7-54, 2012. Kim MJ. Affecting and satisfaction factors for practical training of skin care related college studen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 221-232, 2018. Kim HM. The rol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 employment of marriage immigrant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 75-95, 2015. Kim SJ, Lee IH. The effects of a cosmetology education for reemployment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 4432-4440, 2015. Kim TY, Lee S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 555-567, 2018. Kim YK. Multicultural aspects of family change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75: 45- 62, 2011. Kim YR, Park EJ. Learning system, job competency, and curriculum of college of beauty and NCS-based learn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445-455, 2017. Lee HK. Research trends i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 studies in S. Korea. Journal of Social Research, 15: 129-161, 2014. Park JE, Park EJ. Eff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Journal of Social Research, 15: 333-344, 2017. Park JE, Yoo AJ, Park EJ. Human resourc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service worke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331-343, 2019. Park SY, Lee BJ. A study on employment path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10: 87- 106, 2015. Song JS, Song JY.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an subj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ociety. Korean Thought and Culture, 62: 331-347, 2012. Yeo YJ, Park JH, Park EJ.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educational awareness of the beauty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majo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3: 797-804, 2015. Yoon HK. An analysis on vocational exploration experiences of highly educated middle-aged women with discontinued employment.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4: 83-112, 2008. 639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 http://www.e-ajbc.org 국문초록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 박루디아1, 이재은2, 전해정1* 1성결대학교 뷰티디자인학과, 경기도 안양시, 한국 2김포대학교 챠밍스킨케어과, 경기도 김포시, 한국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 경기도 안산시와 수원시에 거주 하는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이주자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 용하여 미용 교육 방법 요구도, 미용 교육 내용 요구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제곱 검정(χ2-test), 기 술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다문화 가정은 미용 교육 방법에 있어서 미용 교육 분야로 대부분 헤어와 네일 교육을 원하며, 교 육방식으로는 미용 특강이나 현장실습을 통해 기술강사, 실무 종사자에게 교육을 받기를 요구하였으며, 교육을 통해 향후 기술 습 득과 취업을 기대하였다. 또한 미용 교육 내용으로 헤어는 커트 교육을, 피부는 얼굴 관리, 네일 아트는 네일 기본관리, 메이크업은 기본 메이크업 교육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교과 내용은 NCS에서의 기초 기술 습득 단계로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이 기술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현장 중심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였다. 결론: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훈련은 안정된 일자리 창출의 방 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다문화 1세대와 자녀를 포함한 다문화 가정에 미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면 한국 사회에서 더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다문화 가정, 미용 교육 방법 요구도, 미용 내용 요구도, 기술 습득, 현장 중심 교육 참고문헌 김문주. 피부미용 관련학과 재학생의 산업체 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만족도.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6: 221- 232, 2018. 김수정, 이인희. 미용교육이 재취업여성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6: 4432-4440, 2015. 김유경. 다문화가족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75: 45-62, 2011. 김영래, 박은준. 미용학과 NCS 기반 학습의 학습체계, 직무능력,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5: 445-455, 2017. 김현민.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한국언어문화학,2: 75-95, 2015. 김태열, 이성내. 뷰티서비스업 구성원의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아시안뷰티화장품학 술지, 16: 555-567, 2018. 박신영, 이병준. 다문화 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경험에 따른 취업경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0: 87-106, 2015. 박정은, 유애진, 박은준.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의 특성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연구.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7: 331- 343, 2019. 송진숙, 송진영. 한국의 문화: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제. 한국사상과 문화, 62: 331-347. 2012. 여이주, 박재홍, 박은준. 전공별 미용학과 대학생의 교육자 인식과 교육 만족도의 영향관계.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3: 797-804, 2015. 윤혜경.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 83-112, 2008. 이혜경. 국제이주, 다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 한국사회, 15: 129-161, 2014. 전해정. 피부미용 교육과정실태 및 수강경험에 따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자가진단 차이 분석. 대한미용학회지, 13: 141-152, 2017. 640 Multicultural Families http://dx.doi.org/10.20402/ajbc.2020.0092 전영수. 대한민국 인구∙소비의 미래: 충격적 인구 변화에 맞춘, 소비분야 해법 제시. 트러스트북스, 서울, pp24-26, 2020. 지윤숙.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동아시아: 비교와 전망, 11: 7-54, 2012. 641 다문화 가정의 미용 교육 방법 및 내용 요구도 http://www.e-ajbc.org 中文摘要 多元文化家庭的美容教育方法论与内容要求 朴루디아1₁,李在銀₁2,全海淨1* 1圣洁大学美容设计学科,京畿道安养市,韩国 2金浦大学Chaming皮肤美容学科,京畿道金浦市,韩国 目的: 本研究旨在调查美容教育的方法,并确定多元文化家庭的课程要求。方法: 对居住在京畿道安山市和水 原市的外国工人和国际结婚移民等多元文化家庭进行了调查。₁ SPSS₁ 23.0程序用于执行百分比,均值和标准差 分析。还进行了卡方检验(χ2检验)和描述性统计检验,以确定对美容教育方法和内容的不同需求。结果: 大 多数多元文化的家庭都希望对美发和美甲进行教育,并希望通过技术讲座或现场培训的形式,从技术指导人员 和受雇的美容师那里接受培训,以期获得能够帮助他们将来就业的技能。他们还希望课程包括剪发,面部皮肤 护理,必要的指甲护理,美甲和基本化妆教育。所需的课程内容应设计为传授基本技能,以符合国家能力标准 (NCS)。多元文化家庭也希望该课程包括实践培训,以提供必要的技能。结论: 通过动手培训进行美容教育可 以使多元文化家庭找到稳定的工作。这项研究发现,美容教育计划可以作为教育机会,有助于在韩国社会中为 有孩子的第一代多元文化家庭提供更稳定的解决方案。 关键词: 多元文化家庭,美容教育方法,美容教育内容,场外教育,技能培养